DOI QR코드

DOI QR Code

1기 신도시의 도시 성장 과정 고찰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신문기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Examining the Urban Growth Process of the 1st New Town -Focusing o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using Text Mining-

  • 정다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충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23.10.10
  • 심사 : 2023.12.08
  • 발행 : 2023.12.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문기사를 통해 건설 이후 약 34년 동안 1기 신도시의 도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이슈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웹크롤링 기법을 활용하여 1기 신도시 관련 신문기사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토대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 신도시 건설 초기에는 생활인프라, 부동산, 교통, 도시개발 및 정비, 안전, 주택 공급의 6개 부문에서 이슈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점차 부동산과 도시개발 및 정비로 좁혀졌다. 둘째, 신도시 건설단계 및 도시 안정화 단계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구조가 유지되었는데, 이는 1기 신도시가 지리적으로 서울 근교에 건설되면서 발생한 이슈에 대해 서울과 비교하는 기사가 다수 나타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도시 노후화에 대한 이슈는 준공 후 10년부터 나타났으며, 준공 후 30년의 시점부터는 도시 노후화에 따른 도시 재정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는 1기 신도시의 도시 성장 과정 전반에서 발생한 이슈를 탐색하였으며, 1기 신도시 재정비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rban issues that have arisen in the urban growth process of the 1st New Town for about 34 years since its construction through newspaper articles. For this purpos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1st New Town were collected using web crawling,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ext mining.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nstruction of the 1st New Town, issues were diverse in the following six sectors: living service facilities, real estate, transportation, urba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afety, and housing supply, but gradually narrowed down to those of real estate and urba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econd, during the new town construction and urban stabilization stages, the network structure centered on 'Seoul' was maintained,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1st New Town was geographically located on the outskirts of Seoul, and many articles compared the issues to Seoul. Third, the issue of urban aging appeared from the 10th year after construction, and the discussion on urban reorganization due to urban aging began in earnest from the 30th year after construc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explored the urban issues that occurred throughout the urban growth process of the 1st New Town,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eparing a plan to reorganize the 1st New Town.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2R1F1A1063498).

참고문헌

  1. 권영섭.김선희.손은영.배준구.이주일.이동우, 2016, 「국토계획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평가제도 발전방안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2. 김성수.이다예.문새하.변세일.김중은.김현중.김진유, 2020, 「수도권 신도시 정책의 평가 및 향후 발전 방향」, 세종: 국토연구원.
  3. 민성희.이용우.이순자.김동근.차은혜, 2018, 「국토계획평가기준에 관한 제도 개선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4. 배순석.김현식.박상우.김경석.김덕례.최희철, 2000, 「수도권 도시성장관리와 신도시개발」, 안양: 국토연구원.
  5. 신정철.민범식.김혜승.이범수, 1999, 「수도권 신도시 종합평가분석 연구: 최종보고서」, 성남: 한국토지공사.
  6. 윤정중.최상희.최대식.윤정란.진규남.권오준.송태호, 2021, 「1.2기 신도시 종합평가 연구」, 대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7. 한국토지공사, 2006, 「살고 싶은 신도시 모델 설정」, 성남:한국토지공사.
  8. Cyram, 2017, Sementic Network Analysis, Seoul: Cyram
  9. Hall, P., 1984,The World Cities(3rd ed),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10. Kim, D.K. . Yu, J.C., 2005, Mass media research, Seoul: Nanam.
  11. van den Berg, L. . Burns, L.S. . Klaassen, L.H., 1987, Spatial Cyclres, Aldershot: Gower.
  12. 강혜정, 2021, 코로나19 전후 다문화 정보격차 비교분석: 신문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17(6), pp.37-54.
  13. 구동회, 2018, 도시발전단계에 관한 이론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2(4), pp.481-497.
  14. 길호현, 2018,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한국어 불용어 목록 연구, 「우리말 글」, 78, pp.1-25. https://doi.org/10.18628/urimal.78..201809.1
  15. 김건영.김민지, 2014, 수도권 1기 신도시의 교통부문 지속 가능성 평가: 환경, 사회적 지표를 중심으로, 「교통연구」, 21(4), pp.33-45. https://doi.org/10.34143/JTR.2014.21.4.33
  16. 김경식.한승백, 2018, 최근 10년간 보도된 스포츠-승부조작 신문기사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1(3), pp.21-41. https://doi.org/10.22173/ksss.2018.31.3.2
  17. 김광식, 1995, 수도권 5개 신도시 교통부문 계획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국토계획」, 30(1), pp.169-195.
  18. 김복환.양광식, 2007, 동태적 신도시 성장모델의 개발과 검증, 「국토계획」, 42(5), pp.7-31.
  19. 김선재.이수기, 2020, 수도권 2기 신도시 주거환경만족도요인 분석: 웹크롤링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5(7), pp.5-20. https://doi.org/10.17208/jkpa.2020.12.55.7.5
  20. 김성묵.김영준, 2020, 텍트스 마이닝을 이용한 리빙랩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pp.37-48. https://doi.org/10.14400/JDC.2020.18.8.037
  21. 김성배.이건영, 1995, 신도시 개발과 개발이익, 「국토계획」, 30(5), pp.197-213.
  22. 김어진.구자훈, 2020, NetMiner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참여주체의 시기별 소셜 네트워크 변화 특성 분석: 순천시 원도심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9(1), pp.1-16. https://doi.org/10.9716/KITS.2020.19.1.001
  23. 김준영.박남희, 1997, 신도시 지역의 주거환경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8(3), pp.99-109.
  24. 김현수, 2007. 2기 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 1기 신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韓國地域開發學會誌」, 19(4), pp.249-270.
  25. 김흥순, 2015, 분당 신도시 개발사업에 대한 사후평가: 효과성, 능률성, 형평성, 대응성을 기준으로, 「韓國地域開發學會誌」, 27(1), pp.23-48.
  26. 남재형.김흥순, 2018, 수도권 1기 신도시의 관리 우선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2(3), pp.373-388.
  27. 남진.윤병훈.박관우, 2015, 도시성장단계평가를 통한 도시 재생의 타당성 분석: 차별적 도시화 모델과 순환적 도시화 모델 적용, 「국토계획」, 50(3), pp.153-177.
  28. 노성화.김정, 2022,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한국어 범용 불용어 목록 연구, 「한말연구」, 68(13), pp.1-15.
  29. 박경열, 2019, 2020 관광개발 전망, 「한국관광정책」, 78호, pp.20-26.
  30. 박진균.김택윤.송민, 2017,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윤동주 연구의 개체계량학적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1), pp.191-207.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1.191
  31. 안국현.이명훈, 2006, 수도권 도시의 자족도에 관한 연구: 수도권 신도시 소재 도시를 중심으로, 「韓國地域開發學會誌」, 18(3), pp.233-254.
  32. 양승우.백인길, 1997,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분당, 일산, 평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2(6), pp.23-33.
  33. 윤정중.윤정란, 2019, 수도권 신도시에 대한 주민의 인식 평가 연구, 「지역연구」, 35(3), pp.45-58. https://doi.org/10.22669/KRSA.2019.35.3.045
  34. 이선영.김성연.안동근, 2018,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학습영재성과 창의영재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탐구, 「영재와 영재교육」, 17(2), pp.31-54. https://doi.org/10.21183/kjcm.2018.09.17.3.31
  35.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pp.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36. 이유경, 2017, 신도시 주거지의 사회적, 기능적 혼합에 따른 도시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수도권 1기, 2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창무.여홍구.나강열, 2006, 분당 신도시의 성장과 상권의 변화과정, 「국토계획」, 41(6), pp.65-78.
  38. 이춘호, 2001,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 만족도 비교 분석, 「국토계획」, 36(6), pp.191-204.
  39. 이현주.백혜선.송영일.박신원.임주호.김태균.이은엽.윤은주.윤인숙, 2012, 수도권 제1기 신도시에 대한 평가 및 향후 재편방향 제안, 「도시정보」, 5월호, pp.71-75.
  40. 장한두, 2010, 가족생애주기에 따른 신도시 주거환경의 평가: 분당신도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4), pp.45-56.
  41. 정다운.김흥순, 2010, 수도권 1기 신도시의 자족성 및 중심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pp.103-116.
  42. 정환용, 2003, 한국의 도시성장단계에 관한 연구, 「韓國地域開發學會誌」, 15(2), pp.205-228.
  43. 조성권.류중석, 2013, 복잡계 이론을 적용한 도시계획 및 설계 프로젝트의 특징에 관한 연구: yo2 그룹의 도시계획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3), pp.5-16.
  44. 주현태.이창무.이수기, 2022, 상품 구매행태 분석을 통한 신도시 상업 중심성 변화 연구: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2000-2015), 「국토계획」, 57(1), pp.5-25. https://doi.org/10.17208/jkpa.2022.02.57.1.5
  45. 최막중.박영규, 1999, 도시 상업용지 공급규모에 관한 사후평가: 분당신도시 사례분석, 「국토계획」, 34(3), pp.87-99. https://doi.org/10.1023/A:1006297819663
  46. 최열.김현, 2008, 한국의 신도시계획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자족기반요소에 관한 상호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5), pp.41-48.
  47. 하혜경.김한배, 2016,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한국경관학회지」, 8(1), pp.20-38.
  48. 허재완, 2001, 수도권 신도시 경제기반 평가, 「경기논단」, 3(3), pp.65-83. https://doi.org/10.1515/mamm.2001.65.1.83
  49. 황기현, 2013, 지속가능한 개발 측면에서 본 수도권 신도시 계획의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Annibale Panichella . Bogdan Dit . Rocco Oliveto . Massimilano Di Penta . Denys Poshynanyk . Andrea De Lucia, 2013, How to Effectively Use Topic Models for Software Engineering Tasks?: An Approach Based on Genetic Algorithm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
  51. Geyer, H.S. . Kontuly, T., 1993,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cept of Differential Urbanization,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15(2), pp.157-177. https://doi.org/10.1177/016001769301500202
  52. Klaassen L.H. . Paelinck J., 1979, The Future of Large Town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1, pp.1095-1104. https://doi.org/10.1068/a111095
  53. Tang, Y. . Zhong, M. . Qin, H. . Liua, Y. . Xiang, L., 2019, Negative word of mouth about foreign lands: Dimensions of the shared discomforts narrated in travel blogs,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29(3), pp.311-329. https://doi.org/10.1080/21639159.2019.1622436
  54. 김창성, "[2019 부동산 전망]집값 하락세 지속...유망지역 은?", 머니S, 2019.01.01., 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18122816508091054
  55. 남창균, "'2기 신도시' 인기 끌까?", 머니투데이, 2004.03.0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381694?sid=101
  56. 노명현, "[신도시 성공조건]③2기 신도시부터 살려라", Bizwatch, 2019.01.02., http://news.bizwatch.co.kr/article/real_estate/2018/12/31/0007/naver
  57. 문성일, "[아파트 갈아타기]지역 갈아타기", 머니투데이, 2004.05.1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410273?sid=101
  58. 이경호, "[통계로 본 집값] 내년 집값 하락세 '가속'", 머니투데이, 2004.10.1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464356?sid=101
  59. 이성희, "'3기 신도시'는 정말 필요했을까", 경향신문, 2019. 01.07.,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4&artid=201812311259321&pt=nv
  60. 정상희, "[J턴의 조건]부작용이 더 컸던 부동산 정책, 실패인정이 먼저", 파이낸셜 뉴스, 2019.01.01., https://www.fnnews.com/news/201901011631499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