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우선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고견을 주신 교수님들과 학생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본 연구는 공과대학의 정책과제로 수행되었으며, 공학전문대학원 실전문제연구단의 일부 도움이 있었음을 밝힙니다. 연구비 관리기관인 공학연구원에도 감사를 전합니다.
References
- 강승희(2009). 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2(3), 59-72 https://doi.org/10.18108/JEER.2009.12.3.59
- 김광선(2015). 공학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방향.
- 김세직(2021). 모방과 창조 서울대 김세직 교수의 새로운 한국 경제학 강의 모방과 창조. 브라이트.
- 김세직.정운찬(2007).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과 이를 위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46.
- 남창우.이영태(2020). [공학교육 Part 2] 포스트 코로나 공학 교육에 대한 소고(小考) - 포스트 코로나 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공학교육의 중단기적 계획. 인재니움, 27(2), 31-33.
- 민철구.이춘근(2000). 연구중심대학의 효과적 육성방안. 정책연구, 1-146.
- 신선경(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학교육 혁신 전략 - 6인의 공학교육 리더들에게 묻고 답하다. 인재니움, 27(4), 79-95.
- 여명석 외(2015). 공과대학 창의설계공간 구축 연구과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정책과제.
- 이정동(2015). 축적의 시간 : 서울공대 26명의 석학이 던지는 한국 산업의 미래를 위한 제언. 지식 노마드.
- 이정동(2017). 축적의 길 : 축적의 길 축적의 시간 두 번째 이야기. 지식노마드.
- 이정동(2022). 최초의 질문 : 기술 선진국의 조건. 민음사.
- 임철일.김영전.김동호(2012). 공과대학 학생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인식. 공학교육연구, 15(2), 30-37. https://doi.org/10.18108/JEER.2012.15.2.30
- 임철일.홍미영.이선희(2011).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공학교육연구, 14(4), 3-10. https://doi.org/10.18108/JEER.2011.14.4.3
- 황농문 외, 서울대학교 창의성교육을 위한 교수모임. (2018). 창의 혁명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창조형 인재, 어떻게 키울 것인가?. 코리아닷컴.
- Cropley, D. H.(2015). Promoting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9(2), 161.
- S.-W., Kim(2020). Kepler vs Newton: Teaching programming and math to almost all-majors in a single classroom.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Assessment, and Learning for Engineering.
- S.-W., Kim(2020). Hierarchical Curriculum Structure in Academic Makerspaces.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Makerspaces and Making.
- S.-W., Kim(2020). An interdisciplinary capstone course on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with cross-college collab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36(3), 919-928.
- Wankat, P.(2004). The Emerging Discipline Of Engineering Education. Associ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 - Engineering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