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50s and 60s Middle-Aged Men's Upper Body Type - Using on the 8th Size Korea's Direct Measurement Data -

50-60대 중장년 남성의 상반신 체형 분석 - 사이즈 코리아 제 8차 직접측정자료를 중심으로 -

  • Jin Hee Lee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이진희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
  • Received : 2023.06.16
  • Accepted : 2023.12.13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upper body shape of men in their 50s and 60s by analyzing direct measurement data. Sixty one direct measurement items were analyzed. Subjects (n = 752) were classified based on 5 factors into 4 body types. In order to acquire accurate upper body shape information by analyzing body type using the 8th Size Korea direct measurement data, body shapes were classified through factor and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pper body measurements from the 5th to the 8th Size Korea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waist circumference item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from the 5th Size Korea measurements. The upper body type of middle aged males were classified using five factors: the trunk obesity factor, the trunk vertical factor, the width of the back shoulder, the vertical factor behind the back, and the length factor of the upper body. Middle-aged 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body types through cluster analysis. Type 1 is relatively short with big arms, Type 2 has wide shoulders and thin arms, and in Type 3, the upper body is relatively long. Type 4 is the most obese upper body.

Keywords

References

  1. 강대호. (2019. 12. 11). 여기는 40세, 저기는 50세... '중장년'은 대체 몇 살 부터죠?. 오마이뉴스. 자료검색일 2023. 8. 01, 자료출처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94824.
  2. 국가기술표준원. (2004). 제5차 인체치수조사사업-최종보고서-. Size Korea 자료검색일 2023. 08. 01, 자료출처 https://sizekorea.kr/
  3. 국가기술표준원. (2010). 제6차 인체치수조사사업-최종보고서-. Size Korea 자료검색일 2023. 08. 01, 자료출처 https://sizekorea.kr/
  4. 국가기술표준원. (2015). 제7차 인체치수조사사업-최종보고서-. Size Korea 자료검색일 2023. 08. 01, 자료출처 https://sizekorea.kr/
  5. 국가기술표준원. (2021). 제8차 인체치수조사사업-최종보고서-. Size Korea 자료검색일 2023. 08. 01, 자료출처 https://sizekorea.kr/
  6. 김경록. (2023. 10. 18). 뚱뚱한 성인 더 늘었다... 30대 남성 절반은 비만. 뉴시스, 자료검색일. 2023. 10. 20, 자료출처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31018_0002487061
  7. 김수현, 이정란. (2003). 노년남성의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6), 624-634.
  8. 김지은, 김은경. (2017). 액티브 시니어 남성(55~69세) 체형 분석 -중년 남성(35~54세)과 체형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41(4), 722-740.
  9. 김지은, 김은경. (2023). MZ세대(2030대) 남성의 체형비교 및 체형 변화 연구 - 제 7차, 제 8차 사이즈코리아 직접 측정치를 기준으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5(1), 33-47. https://doi.org/10.30751/KFCDA.2023.25.1.33
  10. 김지은. (2016). 액티브 시니어 남성을 위한 아웃도어 웨어 개발 : 55~69세 남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류영실, 최경미, 오순. (2019). 고령자 남성의 측면 체형 연구 - 70세~85세 3D인체형상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4(2), 7-16. https://doi.org/10.21326/KSDT.2019.24.2.001
  12. 박경운. (2021). 중장년 복지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석혜정, 임남영. (2009).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유형화에 관한 연구. 복식, 59(8), 123-131.
  14. 성옥진, 김애린. (2004). 중년 남성의 체형연구. 복식, 54(1), 37-51.
  15. 성옥진, 하희정. (2012). 중년 비만 남성의 체형 연구 - 35세~55세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 포럼, 35, 39-50.
  16. 성옥진. (2004). 중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3), 499-508.
  17. 이민선, 김동은. (2023).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중년 남성 정면 비대칭 체형 특성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47(3), 511-530.
  18. 이소영, 심부자, 서추연. (2007). 노년 남성의 슬랙스 패턴설계를 위한 하반신 체형 분석. 패션 비즈니스, 11(5), 15-34.
  19. 이진희, 김은경. (2022). 50-69세의 중장년 성인여성을 위한 상반신 체형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4(3), 49-61. https://doi.org/10.30751/KFCDA.2022.24.3.49
  20. 정성지, 최수정. (2021). 중장년 남성의 재취업 소요기간 및 일자리 안정성 영향 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40(2), 71-94.
  21. 중장년과 신중년은 누구인가요?. (2021. 04. 22). 충청일보. 자료검색일 2022. 8. 01, 자료출처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2827
  22. 지금은 액티브시니어시대. (2022. 09. 26). 풀무원 건강생활. 자료검색일 2023. 10. 12, 자료출처 https://www.pulmuone-lohas.com/m/brand/life/column_view.do?sw=&page=1&num=55
  23. 차수정. (2019). 중년 남성 의복 개발을 위한 전신 체형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4(10), 117-127. https://doi.org/10.9708/JKSCI.2019.24.10.117
  24. 차수정. (2019). 중년 남성의 상반신 체형 유형화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5(3), 457-467.
  25. 차수정. (2019). 중년 남성의 체형에 대한 인식 유형.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4(4). 137-144. https://doi.org/10.9708/JKSCI.2019.24.04.137
  26. 차수정. (2019). 중년남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 40-50대 남성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20(4), 543-554.
  27. 차수정. (2020).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중년 남성용 보디스 원형 비교.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5), 117-126.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5.117
  28. 차수정. (2020). 60대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 연구 - 지수치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25(4), 17-26. https://doi.org/10.21326/KSDT.2020.25.4.002
  29. 차수정. (2020). 노년 남성의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추이. 기초조형학연구, 21(4), 457-473.
  30. 차수정. (2020). 중년 남성의 신체 계측치를 분석한 실제체형과 인식체형 유형에 대한 비교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1(2), 329-343.
  31. 최진영. (2015). 정장 바지 MTM 생산을 위한 남성 하반신 체형 유형화 및 패턴개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통계청. (2021. 11. 29). 인구 주택 총 조사 표본집계 결과 인구 특성 항목[보도자료].
  33. KOSIS 국가통계포털. 자료검색일 2023. 09. 23, 자료출처 https://kosis.kr/index/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