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eights for Evaluation items of Conformity index of Bird breeding sites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서·남해 연안성 조류번식지 적합성지수 평가항목 가중치 설정

  • Kim, Chang-Hye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Mokpo National University) ;
  • Kim, Won-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University) ;
  • Kim, Kyou-Sub (Technical Qualification Question-Making Bureau,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
  • Lee, Chang-H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김창현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조경학과) ;
  • 김원빈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학과) ;
  • 김규섭 (한국산업인력공단 기술자격출제실) ;
  • 이창훈 (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3.11.23
  • Accepted : 2023.12.2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is part of a foundational research effort aimed at developing a suitability index for breeding grounds related to avian activities along the domestic South and West coasts, including islan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value of the suitability of coastal bird breeding sites, the 'Natural Value(0.763)' was higher than the 'Artificial Value(0.237)'. Other artificial values were identified as sub-ranked except for 'Protected Areas' to ensure continuous integrity of breeding spaces. Second, as a result of re-establishing the 25 evaluation items classified in the two-time FGI as higher concepts, nine natural values and five artificial values were finally selected as a total of 14. Third, the results of the mid-classification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suitability of coastal bird breeding site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Ecological Value(0.392)', 'Topographic Value(0.251)', 'Passive Interference(0.124)', 'Geological Value(0.120)', and 'Active Interference(0.113)'. Fourth, the results of the priority of evaluation items of coastal bird breeding sites were in the order of 'Vegetation Distribution (0.187)', 'Area of Mudflats(0.118)', 'Presence or Absence of Mudflats(0.092)', 'Appearance of Natural Enemies(0.087)', 'Protected Areas(0.08)', 'Island Area (0.069)', 'Over-Breeding devastation(0.064)', 'Soil Composition Ratio(0.056)', 'Distance from Land(0.054)', 'Ocean farm area (0.045)', 'Cultivated land area(0.041)', 'Cultivation behavior(0.038)', 'Angle of the Surface(0.036)', and 'Land Use(0.033)'. It is judged that the weighting result value of the evaluation items deriv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priority evaluation focusing on the coastal bird breeding area space. However, it seems that the correlation with the unique habitat suitability of bird individual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spatial analysis research incorporating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s will be left as a future task.

본 연구는 국내 서·남해안 도서(島嶼) 및 연안 지역을 번식의 근거지로 활동하는 조류와 관련한 번식지 적합성 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안성 조류 번식지 적합성 가치 판단 결과 자연적 가치(0.763)가 인위적 가치(0.237)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번식공간의 지속적 완전성 담보를 위한 '보호구역 지정여부'를 제외한 다른 인위적 가치는 하위순위로 파악되었다. 둘째, 2차례 진행된 FGI에서 분류된 25개의 평가항목을 상위개념으로 재정립한 결과, 자연적 가치가 9개, 인위적 가치가 5가지, 총 14개로 최종 선정되었다. 셋째, 연안성 조류 번식지 적합성 중요도의 중분류 평가 결과는 '생태적 가치(0.392)', '지형적 가치(0.251)', '소극적 간섭(0.124)', '지질적 가치(0.120)', '적극적 간섭(0.113)'의 순서로 파악되었다. 이는 번식공간 자체의 수용적 환경보다는 번식을 위한 생존환경에 우선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연안성 조류 번식지의 평가항목 우선순위 결과는 '식생분포(0.187)', '갯벌의 면적(0.118)', '갯벌의 유무(0.092)', '천적의 출현(0.087)', '보호구역 지정여부(0.08)', '섬 면적(0.069)', '과번식에 의한 황폐화(0.064)', '토양 구성비(0.056)', '육지와의 거리(0.054)', '해양 양식장 면적(0.045)', '경작지 면적(0.041)', '경작 행위(0.038)', '표면의 각도(0.036)', '토지이용(0.033)'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항목의 가중치 결과값은 연안성 조류 번식지 공간에 집중한 우선순위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조류 개체가 갖는 고유의 서식지 적합성과의 상관성 여부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추후 종별특성을 접목한 공간분석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World Economic Forum(2023). The Global Risks Report
  2. 환경부(2020).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
  3. U.S Fish and Wildlife Service(1976). Habitat evaluation procedures.
  4.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and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1996). Endangered species habitat conservation planning handbook
  5. 다나카 아키라(저), 충남발전연구원(역)(2015). 서식지 생태영향평가 방법론. 파주: 한울 아카데미.
  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0). 법정보호 야생조류의 서식환경 평가방안.
  7. 김수경, 김남신, 정석환, 김영훈, 성하철, 박시룡(2008). GIS를 이용한 황새 번식지의 환경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125-137
  8. 국립문화재연구소(2020). 천연기념물 동물 증식.보존 연구(11차)
  9. 국립문화재연구소(2022). 첨단기술을 활용한 천연기념물 증식.보존 연구(2차)
  10. 손석준, 강정훈, 이성경, 오정우, 유정칠(2019). 식생매트를 이용한 천연기념물 조류 번식지 환경 개선 연구. 한국조류학회. 26(2): 49-53.
  11. 환경부(2011). 개발 사업에 따른 멸종위기종 서식지적합성 평가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12. 해양수산부 연안포털. https://coast.mof.go.kr/coastAdmin/research/introduce.do
  13. Saaty, T.(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