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도 한국농촌간호학회 수탁연구지원을 받아 작성한 것임.
참고문헌
- 보건복지부. 코로나 우울 대응을 위한 전 국민 심리지원 서비스 강화. 서울: 보건복지부 보도 참고 자료; 2021.2.5.
- 박성원, 김유빈. 세계적 감염병 이후 사회 변화. 서울: 국회미래연구원 보고서; 2020.9호.
- 이윤경, 강은나, 황남희, 주보혜, 김세진. 노인정책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9.22.
- 강효민, 최석환, 손일락. 고령친화환경과 사회참여활동 및 주관적 건강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20; 81(1):323-332. https://doi.org/10.51979/KSSLS.2020.07.81.323
- 이은환. 코로나 19, 감염재난이 국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수원:경기연구원 보고서: 2021.121.
- 강환웅. 코로나19 국민의 불안과 분노 대폭 상승하고 있다. 한의신문. 2020.3.4. http://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38411
- 전진아, 이지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마음건강 돌봄 현황 및 과제, 보건 복지・Issue & Focus. 2020;375(1):1-8. https://doi.org/10.23064/2020.03.375
- 이소윤, 여관현. 저소득층 청각장애 노인의 정서심리 상태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접근: 원예활동이 우울감,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질연구. 2020;4(4):29-56.
- 김소연.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고찰.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2023;12(1):43-49. 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510
- 최연희, 김나영.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3;24(3):346-357.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46
- 이제행, 조건상. 시니어 골프 참여자의 자아탄력성과 자아 존중감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7;8(10):407-416.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1764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407
- 김진국, 최경호. 숲 체험 프로그램이 뇌파와 맥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13(4):185-194. https://doi.org/10.21184/jkeia.2019.6.13.4.185
-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338. https://www.jstor.org/stable/j.ctt183pjjh
-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974;11(1):107-129.
- 김성한. 기독교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 영성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 2012. 39 p. UCI I410-ECN-0102-2014-200-001658156
- Stones NP, Kozma A. Issuse relation to the usage and conceptualization of mental haelth construct emplyoed by gerontolog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980;11(4):269-281. https://doi.org/10.2190/43W5-P9WE-3V42-5RJ0
- 윤진. 발달단계에 따른 심리 부적응: 노년기의 정신병리와 우울증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985;3(1):5-15.
-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B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i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83;17(1):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1996;35(2):298-307. KMID: 0368819960350020298
- 김정기, 박인해, 박수정. 소근육 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2;14(2):123-130. https://doi.org/10.34264/jkafa.2022.14.2.123
- 오명희, 성승연. 자전공연을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02;17(2):247-276.
- 이주희, 박현옥, 박순희. 여성 독거노인을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2023;14(3):3123-3138. https://doi.org/10.22143/HSS21.14.3.221
- 박상기. 노인의 여가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경영연구. 2018;5(2):361-378. UCI I410-ECN-0102-2019-300-001176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