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in Rural Populations Using Primary Health Care Posts during the COVID-19: A Mixed Method Study Based on Andersen's Behavior Model

COVID-19 기간 동안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마을 주민의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앤더슨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한 혼합연구

  • Ha, Yeongmi (College of Nursing.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nam (Goseong-gun Ayajin Primary Health Care Post) ;
  • Choi, Hyunkyoung (Gwangyang Public Health Center) ;
  • Yang, Seung-Kyoung (Department of Nursing, Kyungnam University) ;
  • Ko, Young-Suk (Hadong-gun Gapjeong Primary Health Care Post) ;
  • Jung, Mira (Department of Nursing, Hanyeong College) ;
  • Yi, Jee-Seon (College of Nursing.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ungmi (Daejoun, Youseung-gu Sedong Primary Health Care Post) ;
  • Shin, Eun Ji (Goryeong-gun Sinchon Primary Health Care Post) ;
  • Kim, Younkyoung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Kowoon (Department of Nursing, Suwon Women's University) ;
  • Jung, Aeri (College of Nursing, Eulji University) ;
  • Jang, Ji Hui (Suncheon-si Mangyong Primary Health Care Post) ;
  • Kim, Da Eun (College of Nursing.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Innov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Kyunghee (Imsil-gun Songjung Primary Health Care Post) ;
  • Shin, So Young (College of Nursing, Inje University) ;
  • Park, Song Ran (College of Nurs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im, Eun Shil (College of Nursing, Daegu Health College)
  • 하영미 (경상국립대학교 간호대학.의과학연구원) ;
  • 김영남 (고성군 아야진보건진료소) ;
  • 최현경 (광양시보건소) ;
  • 양승경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 고영숙 (하동군 갑정보건진료소) ;
  • 정미라 (한영대학 간호학과) ;
  • 이지선 (경상국립대학교 간호대학.의과학연구원) ;
  • 최영미 (대전시 유성구 세동보건진료소) ;
  • 신은지 (고령군 신촌보건진료소) ;
  • 김윤경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 이고운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 정애리 (을지대학교 의정부캠퍼스 간호학과) ;
  • 장지희 (전남 순천시 망룡보건진료소) ;
  • 김다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혁신연구소) ;
  • 김경희 (임실군 송정보건진료소) ;
  • 신소영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
  • 박송란 (경상국립대학교 간호대학) ;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23.10.28
  • Accepted : 2023.11.24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s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by rural populations in vulnerable area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Andersen's behavior model.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participants in vulnerable rural areas by analyzing qualitative contents through open-ended ques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22 using Qualtrix, a web-based survey platform. A total of 863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𝑥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were type of residential area and underlying disease. The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d; four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saster nursing response model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tial areas and the number of people.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 작성을 위해서 COVID-19 기간동안 고통스럽게 경험한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경험과 의미를 생생하게 전해주신 859명의 농산어촌 마을주민들께 깊은 감사인사를 먼저 전합니다. 더불어 본 논문이 작성될 수 있었던 것은 3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코로나19를 극복하고자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전국 보건진료 전담공무원님들의 헌신 덕분이었습니다. 더불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활동과 마을주민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에 뜻을 함께 해주신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보건진료소장회의 전폭적인 지원 덕분에 이 논문이 출판될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보건인력팀, 보건진료소장회, 그리고 한국농촌간호학회 임원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References

  1. 박은자, 송은솔, 최슬기. 의료서비스와 의약품 이용에 대한 COVID 바이러스감염증-19 의 영향과 정책과제: 미충족 의료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고서번호: 제 2021-16호. https://doi.org/10.23060/kihasa.a.2021.16
  2. 국민건강보험공단. 상반기 건강보험주요통계. 2020. http://lib.nhis.or.kr/search/detail/CAT000000055708
  3. 박은자. COVID-1919 범유행 기간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질환 관리와 미충족 의료 현황. 보건복지 Issue & Focus. 2022;422:1-8. https://doi.org/10.23064/2022.04.422
  4. 김소애, 서영원, 우경숙, 신영전. 국내 미충족 의료 현황 및 영향요인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비판사회정책. 2019;62:53-92. https://doi.org/10.47042/ACSW.2019.02.62.53
  5. 하재현, 이현주.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COVID-1919 대응경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2;33(2):139-152. https://doi.org/10.12799/jkachn.2022.33.2.139
  6. 임은실, 서인주, 김순구.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COVID-19 대응 현황과 지식, 태도, 지지도 비교연구. 한국농산어촌간호학회지. 2020;15(2):57-65. https://doi.org/10.22715/jkarhn.2020.15.2.57
  7. 송시은. COVID-19 팬데믹 초기 상황에서 미충족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2022. 54 p.
  8. Donabedian A. An examination of some directions in health care polic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73;63(3):243-246. https://doi.org/10.2105/ajph.63.3.243
  9. 한지영, 박현숙. 만성질환을 가진 성인의 미충족 의료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1;32(2):131-139. https://doi.org/10.12799/jkachn.2021.32.2.131
  10. 김영선, 강은나.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건강정보이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2017;46(1):85-110. KMID: 0904520170460010085 https://doi.org/10.21489/hass.2017.12.46.85
  11. 송은솔, 박은자, 최슬기. COVID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기간 중 소득에 따른 고혈압.당뇨병 환자의 미충족 의료. 보건사회연구. 2022;42(3):246-259. https://doi.org/10.15709/hswr.2022.42.3.246
  12. 전병주, 김남진. COVI D-19 팬데믹에서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2022;17(1):179-185. https://doi.org/10.21097/ksw.2022.2.17.1.179
  13. Andersen R, Newman JF.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Quarterly. 1973;51(1):95-124. https://doi.org/10.2307/3349613
  14. 곽찬영, 임은실, 이경아, 김아린, 김지향. 보건진료소 기능 재정립 및 건강증진사업 강화 연구. 보건복지부. 2016.
  15. 윤강재. 보건의료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1;9-22. https://doi.org/10.23062/2021.01.2
  16. 김진이, 홍지윤, 손희정, 신영전.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DUR) 평가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사회연구. 2022;42(2):158-178. https://doi.org/10.15709/hswr.2022.42.2.158
  17. Tahir I, Abdul HP, Vikas A, Ying W, Naeem A, Shujaat M, et al. Panic buying in the COVID-19 pandemic: A multi-country examination.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2021;59:102357.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20.102357
  18. Singh J, Rahman SA, Ehtesham NZ, Hira S, Hasnain SE, SARS-CoV-2 variants of concern are emerging in India. Nature Medicine. 2021;27(7):1131-1133. https://doi.org/10.1038/s41591-021-01397-4
  19. 성기옥, 김수진, 문정화. COVID-1919 로 인한 생활변화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2021;18(2):99-129. https://doi.org/10.38082/SWPR.2021.18.02.99
  20. 김귀현, 김세원. 도시 및 농.어촌 지역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 영향요인: 2019년과 2020년 비교. 한국도서연구. 2022;34(4):209-222. https://doi.org/10.26840/JKI.34.4.209
  21. 엄숙, 이경수, 최유진. 전신 및 구강 복합만성질환자의 이환 유형에 따른 외래 의료서비스 이용 비교.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2019;7(3):50-56. https://doi.org/10.33615/jkohs.2019.7.3.50
  22. 전진아. 한국복지패널자료로 살펴본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양상과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2015;1(219):75-84. https://doi.org/10.23062/2015.01.8
  23. 이종식.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원격의료 모니터링의 효용성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2020;15(6):1105-1115. https://doi.org/10.34163/jkits.2020.15.6.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