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tilization of Pavilions by a Group of Governors in Jeolla-do and Gyeongsang-do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Revealed by Miam Diary and Jaeyeongnam Diary

『미암일기』와 『재영남일기』에 드러난 조선 전기 전라도·경상도 관찰사 일행의 누정 활용

  • 임한솔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3.07.20
  • Accepted : 2023.12.10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utilization of the pavilion by a group of governors in the mobile office system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wo diaries written in the 16th century. Miam Diary by Yu Hee-chun, a governor of Jeolla Province, and Jaeyeongnam Diary by Hwang Sa-woo, a chief aide of Gyeongsang Province, are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reveal the utilization patterns of the pavilion by the governor, who was the decision maker and main user of governmental pavil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wo diaries, the utilization of governmental pavilions was concentrated in the hot summer season, May to Jul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While pavilions are mostly used as office and banquet places, some notable usage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When there were several governmental pavilions in a town, the order of appreciation wa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scenery, and the pavilions were also used as a place to encourage learning as governors taught Confucian scholars well. Governmental pavilions functioned as a device to visualize hierarchy through seating and accommodation arrangements. The authors of the diaries left comments on the famous pavilions and sometimes went to see the pavilions after asking for permission from the superior.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nstructed the relationship network and phases of the times of governmental pavilion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through institutions and daily life.

Keywords

References

  1. 「世宗實錄」
  2. 「世祖實錄」
  3. 「中宗實錄」
  4. 「經國大典」
  5. 「新增東國輿地勝覽」
  6. 具鳳齡, 「栢潭集」
  7. 金齊閔, 「鰲峯集」
  8. 柳希春, 「眉巖日記草」(담양향토문화연구회 편역, 「眉巖日記草」 제3집, 담양, 담양향토문화연구회, 1994)
  9. 成俔, 「虛白堂文集」
  10. 丁若鏞, 「牧民心書」
  11. 河受一, 「松亭集」
  12. 洪迪, 「荷衣遺稿」
  13. 黃士佑, 「在嶺南日記」(황위주 역, 「(脫草譯註)在嶺南日記」, 대구, 嶺南文化硏究院, 2006)
  14.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34권,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95
  15. 김경숙, 「15세기 정소(呈訴) 절차와 관찰사의 역할」, 「역사와 현실」 59, 한국역사연구회, 2006, 69~99쪽 https://doi.org/10.1063/1.2349740
  16. 김경숙, 「16세기 전라도 관찰사의 순행길」, 「지방사와 지방문화」 13(2), 역사문화학회, 2010, 43~86쪽
  17.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한국의 탐구 8,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18. 김창현, 「누정 산책」, 서울, 민속원, 2019
  19. 문화재청, 「밀양 영남루 실측조사보고서」, 1999
  20. 박종기, 「새로 쓴 5백 년 고려사」, 서울, 푸른역사, 2008
  21. 박준규, 「韓國의 樓亭巧」, 「호남문화연구」 17,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1987, 1~27쪽 https://doi.org/10.14731/kjir.1987.09.27.1.17
  22. 성재만, 「조선시대 객사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조경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송재용, 「「미암일기」의 서지와 사료적 가치」, 「퇴계학 연구」 12, 단국대학교퇴계학연구소, 1998, 117~151쪽
  24. 심경호, 「조선시대 개인일기의 종류와 기록자 계층」, 「동아한학연구」 14,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2020, 39 1~456쪽
  25. 여상진, 「朝鮮時代 客舍의 營建과 性格 變化」,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6. 여상진, 「18世紀 忠淸監司의 監營處 및 道內 邑治施設 利用: 交龜, 巡歷 및 行禮를 中心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1),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143~153쪽 https://doi.org/10.5762/KAIS.2008.9.1.143
  27. 여상진, 「「完營日錄」에 나타난 19C초 전라감사의 집무와 전주부 관영시설 이용」,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2),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658~665쪽 https://doi.org/10.5762/KAIS.2010.11.2.658
  28. 여상진, 「지방 邑治施設 복원 및 활용을 위한 조선시대 지방관의 日記類분석 기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7),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2676~2686쪽 https://doi.org/10.5762/KAIS.2010.11.7.2676
  29. 여상진, 「18C末 황해감사 徐邁修의 집무와 해주목 관영시설의 이용: "海營日記"(徐邁修)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9),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4244~4252쪽 https://doi.org/10.5762/KAIS.2012.13.9.4244
  30. 여상진, 「18~19C초 황해도 관찰사의 순력(巡歷)과 도내 읍치시설 이용」,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9),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5835~5843쪽 https://doi.org/10.5762/KAIS.2014.15.9.5835
  31. 여상진, 「18세기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巡歷) 노정과 주요 업무」,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84~91쪽 https://doi.org/10.5762/KAIS.2017.18.9.84
  32. 이수건,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서울, 민음사, 1989
  33. 이수환, 「조선전기 慶尙監司와 都事의 巡歷과 통치기능: 在嶺南日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3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6, 513~541쪽
  34. 이연진, 「인조-숙종대 교생고강(校生考講) 제도 연구」, 「교육사학연구」 23(2), 교육사학회, 2013, 95~131쪽 https://doi.org/10.18105/hisedu.2013.23.2.004
  35. 이왕기, 김석희, 「미암일기에 나타난 유희춘가옥의 건축적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8(4),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13~20쪽
  36. 이연노, 「2000년 이후 관아와 객사건축에 관한 연구성과 및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8, 287~288쪽, 23(2), 교육사학회, 2013, 95~131쪽.
  37. 이은창, 「朝鮮時代의 官衙園林硏究 : 領湖南地方의 官衙園林遺跡을 中心으로」, 「연구논문집」 29(1),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4, 185~256쪽
  38. 이종숙, 「조선시대 개인 일기의 현황과 특징」, 「문화재」 52(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142~153쪽 https://doi.org/10.22755/KJCHS.2019.52.4.142
  39. 이호열, 「16世紀末 士大夫家 客廳 造營事例 硏究: 柳希春의 「眉巖日記草」를 中心으로」 「건축역사연구」 1(2), 1992, 9~38쪽
  40. 이호열, 「밀양 영남루 연혁 및 건축형식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9(1), 한국건축역사학회, 2000, 7~25쪽
  41. 전영옥, 「조선시대 官營園林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42. 정연식, 「조선조의 탈것에 대한 규제」, 「역사와현실」 27, 한국역사연구회, 1998, 177~208쪽
  43. 정정남, 「16.17세기 사대부주택의 공간구성과 활용」,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44. 최종희 성재만, 「조선시대 객사의 입지 및 배치, 조경적 특성: 벽제관, 전주객사, 금성관, 진남관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한국전통조경학회, 2009, 74~83쪽
  45. 한동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누정조의 사적(史的)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 15~18쪽
  46. 황상돈, 「朝鮮時代 官衙庭園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47. 황상돈 박찬용, 「조선시대 읍성의 관아정원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7(3), 한국정원학회, 1999, 53~66쪽
  48.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
  49.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조실록사전」,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3-CKD-1240001.
  5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s://kyudb.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