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탄소저감 현장 실증을 위한 모델정원 설계와 조성 - 국립세종수목원 탄소저감 모델 정원을 사례로 -

Designing and Creating a Model Garden to Demonstrate Carbon Reduction - Case Study of Carbon Reduction Model Garden at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

  • 박병훈 (경관연구소 피에이치앤 ) ;
  • 서자유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투고 : 2023.10.30
  • 심사 : 2023.12.14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는 조경·정원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역할로서 자연기반해법의 실증을 위한 실험적 설계를 제시하고,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공간 전략적 방안과 문화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환경 보호와 탄소중립 사회 형성을 목표로 저 관리형 정원으로서의 탄소저감 효과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델정원의 기능과 공간 요소, 탄소중립과 관련된 내용들을 보다 과학적인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도록 실질적 모델정원을 설계하고 조성하였다. 대상지는 국립세종수목원 내에 위치한다. 탄소저감 기능을 측정하는 실험구를 중심적으로 배치하며, 그 외 공간은 드라이가든과 커뮤니티 가든, 초화원 등으로 전시와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두었다. 실험구는 바이오차 부설 양, 식재밀도, 식재 수종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를 분석할 수 있게 타입을 구분하였다. 탄소저감을 위한 시설 적용과 시공 방식은 '지구를 위한 10가지 탄소정원 가꾸기'의 방식을 적용하였다. 대표적으로 빗물의 활용시설, 저탄소 인증 목재 활용, 인근지역 자재 사용을 적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시설 및 시공 방식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중요한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정원 산업 등 지속 가능한 발전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an experimental design for demonstrating the role of nature-based solutions to climate change in the landscape and garden sector. The study suggests spatial strategies for a carbon-neutral society and its role as a cultural industry.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of a low-maintenance garden as part of a strategy for carbon reduction with the goal of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forming a carbon-neutral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involved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realistic model garden to provide scientific data on the functions, spatial elements, and carbon neutrality of carbon-reducing gardens. The target site is located in 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The test area in which the carbon-reducing function is measured is located in the centre of the site, and other spaces include dry gardens, community gardens, and flower gardens intended for exhibition and relaxation. The experimental area is divided into several smaller areas within which the carbon-reducing effect is analy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iochar installed, the planting density, and the plant species present. The application of facilities and construction methods to promote carbon reduction were based on the method known as '10 types of carbon gardening for the earth'. In the model garden, we employed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and used low-carbon certified wood and local materials. The carbon reduction effect of each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is compared and presented her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realizing a carbon-neutral society and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various fields that require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the garden industry.

키워드

과제정보

This research advanced the results of Develop the Carbon Reduction Model Garden(the Sejong National Arboretum). And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Environment Industry &Technology Institute (KEITI) through 'Climate Change R&D Project for New Climate Regime.', fund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22003570004).

참고문헌

  1. 국립산림과학원(2023) 산림.임업전망. 연구자료 1052: 402-438. 
  2. 기상청(2020)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 기상청. 
  3. 김준연, 남영우(2013) 탄소저감을 위한 국내.외 탄소중립도시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8(4): 103-112. 
  4. 김학구, 김형섭, 홍용식, 윤이슬, 임윤경, 강신구, 김찬범(2022) 도시숲 및 정원 주요 관목의 탄소흡수계수 개발 및 탄소저장량과 흡수량 비교.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6(4): 131-139.  https://doi.org/10.34272/FOREST.2022.26.4.011
  5. 김학구, 홍용식, 임윤경, 윤이슬, 도기석, 정찬형, 이지문, 노회은, 강신구, 김찬범(2023) 국립세종수목원 교목 4종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평가. 환경영향평가 32(1): 41-48.  https://doi.org/10.14249/EIA.2023.32.1.41
  6. 박광석(2021) 탄소중립을 위한 청량음료 한 모금. 기상청 기상기술정책 14(2): 3-4. 
  7. 박은영, 김복영, 김세나, 남연서, 소선덕(2022) 국립세종수목원 탄소 제로 '숨[SUM] 더하기' 모델정원 설계.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8(4): 268-277.  https://doi.org/10.22849/JKIGD.2022.8.4.004
  8. 산림조합(2021) 산림경영지도원 임용전형 학습모듈 임산가공(기본서). 16-18. 
  9. 서자유, 박찬(2022) 조경 공종에서의 온실가스 고려 사항 및 어린이공원 시공 단계의 배출량 산정. 한국정원디자인학회 8(1): 27-34. 
  10. 설종진(2023) 정원, 심미적 차원을 넘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녹지로. Lafent기사. 2023. 10. 12. 
  11. 오일영(2023) 자연기반해법(nature based solution)의 이해와 활용, Lafent기사. 2023. 8. 28. 
  12. 이경회, 이강희(1996) 건축활동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97-204. 
  13. 이애란, 정나라(2020) 사회통합형 커뮤니티정원의 모델정원 기본계획. 휴양및경관연구 14(3): 81-87.  https://doi.org/10.51549/JORAL.2020.14.3.081
  14. 정환도(2018)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도시 녹색 숲의 기여도 연구.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4(1): 33-40.  https://doi.org/10.22849/JKIGD.2018.4.1.004
  15. 최종화, 김희준, 정순철, 장광민(2019), 순천만 국가정원의 탄소 흡수 잠재량 평가 및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 전과정평가학회지 20(1): 21-26.  https://doi.org/10.62765/kjlca.2019.20.1.21
  16.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2022) 지구를 위한 10가지 탄소정원가꾸기. 
  17. Ingerson, A.(2011) 2011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6(3): 307-323.  https://doi.org/10.1007/s11027-010-9267-5
  18. Corner, J.(2006) Terra Fluxus. Landscape Urbanism Reader. 
  19.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탄소발자국계산기. https://www.kcen.kr/tanso/intro.green 
  20. KAWC. https://www.kawc.or.kr/page/foundation/system/carbonstorage.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