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학적 미학을 적용한 가톨릭 피정시설 환경설계 - 순천 예수회 영성센터를 대상으로 -

An Environmental Design of the Catholic Retreat Center Adopting the Theoretical Aesthetics - In the Case of the Suncheon Jesuits Spiritual Center -

  • 윤예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 김민 (예수회 인권연대연구센터 )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Yun, Ye-Hwa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 Kim, Min (Jesuit Research Center for Advocacy and Solidarity, Society of Jesus ) ;
  • Sung, Jong-Sa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투고 : 2023.10.20
  • 심사 : 2023.11.07
  • 발행 : 2023.12.31

초록

최근 내면의 치유를 위해 떠나는 종교여행객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불교의 '산사체험'이나 개신교의 '수련회', 가톨릭의 '피정'이 일종의 대안 휴가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토착화가 이루어진 불교와 달리 범기독교계의 피정시설은 일반적인 휴양시설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며, 후원에 의존함으로써 전체적인 틀을 구축하지 못한 채 조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정의 방법인 '영신수련' 과정을 토대로 '신학적 미학'을 반영하여 '피정의 집'에 적합한 외부 환경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먼저 영신수련은 '내적 순례'라고 표현되는 만큼, 각 기도주제에서 체험하게 되는 이미지와 신학적 미학에 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피정시설에 필요한 기능 및 공간 특성을 분석하고, 종교적 공간의 구성원리를 파악하였다. 또한 실제 대상지의 경관을 조사하고, 참여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일정에 따른 선호 공간을 도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의식의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는 외부공간을 구상하고, 기도 메커니즘과 부합하는 물리적 환경 속에서 참여자의 체험 스펙트럼이 확장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자원의 잠재력이 많은 피정시설을 선정하여 신학적 미학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영신수련의 기도법인 '관상기도(觀相祈禱)' 시에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불러일으키고 종교적 체험을 보조할 수 있는 시적((詩的) 경관의 가능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등한시된 종교시설의 다양한 외부공간 설계어휘를 도출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Nowadays, the increasing number of religious travelers seeking inner healing has led to the popularity of Buddhist 'temple stays', Protestant and Catholic 'retreats' as alternative vacations. However, unlike Buddhist temples, which are inculturated, Christian retreat centers follow the formula of general recreational facilities and lack an overall framework due to relying on sponsorship. This study attempts to design appropriate outdoor environments for a retreat by reflecting 'theological aesthetics' based on the process of 'Spiritual Exercises', the main method of retreat. First, as the Spiritual Exercises are often described as an 'inner pilgrimage', the images and theological aesthetics experienced in prayer themes were examined.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required for the facility were analyzed, and the composition of religious spaces was proposed. Also the landscape resources of the site were investigated, and the retreatants' behavior to derive spatial preferences was analyzed. Overall, outdoor spaces were planned to induce a shift in consciousness and broaden the spectrum of the retreatants' experience through a physical environment consistent with the mechanism of prayer. This study aimed to implement theological aesthetics by selecting a retreat center with high potential for landscape resource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veal the 'poetic landscape' to effectively evoke images during 'contemplative prayer', and to support religious experi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d in deriving various design vocabularies for outdoor spaces of religious facilitie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윤예화의 석사학위논문 「가톨릭 '영신수련' 과정을 적용한 피정시설 환경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지도교수: 성종상)의 내용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서울대 환경계획 연구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참고문헌

  1. 김대식(2008) 영성과 신학적 미학. 파주: 한국학술정보. 
  2. 김민(2010) 이냐시오의 영신수련과 순례 이미지.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석사학위논문. 
  3. 김정신(1988) 한국 가톨릭 성당건축의 수용과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4. 김정신, 김승배(1989) 한국카톨릭수도원 건축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2): 213-216. 
  5. 남병식(2006) 바이블 문화 코드. 서울: 생명의말씀사. 
  6. 류모세(2008) 열린다 성경: 식물 이야기. 서울: 두란노. 
  7. 류모세(2009) 열린다 성경: 광야 이야기. 서울: 두란노. 
  8. 문진호(1986) 종교환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카돌릭 천진암 성지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9. 배정한(2005) 현대 조경설계와 '숭고'의 미학.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 발표회 논문집: 45-48. 
  10. 배정한(2006) 황야에 대한 인식과 미적 경험의 변화: 조경의 이중적 자연관과 그 모순. 한국조경학회지 34(1): 59-68. 
  11. 손광호, 김강섭(2005) 종교건축 수공간의 현상학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6): 193-201. 
  12. 송경연(1997) 안성 구포동 성당 조경 설계: 역사경관 보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양수정(1994) 전주 카톨릭 문화유적 환경계획: 도시형태의 인지과정과 관련하여. 서울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유흥식(2010) 성서 내용의 지리적 배경에 관한 연구: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2(3): 77-91. 
  15. 윤예화(2012) 가톨릭 피정시설의 시적경관 디자인. 월간 환경과조경: 287. 
  16. 이명준, 배정한(2012) 숭고의 개념에 기초한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의 미학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40(4): 78-89.  https://doi.org/10.9715/KILA.2012.40.4.078
  17. 이성원(2008) 한국 교회의 종교적 이미지와 교회 공간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종교학과 석사학위논문. 
  18. 이창복(1994) 원색 성서식물. 서울: 향문사. 
  19. 장경수(1999) 기도원 시설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9: 105-113. 
  20. 정정숙(2007) 정정숙전도사의 성서식물. 서울: 크리스챤뮤지엄. 
  21. 조일웅(1990) 미리내 천주교성지 환경설계. 서울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22. 최화선(2005) 고대 후기 그리스도교 순례에 관한 연구: 4-6세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3. 편명신(2000) 한국 성당의 14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4. 황주영, 조경진(2010) 정원 미로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38(4): 84-95. 
  25. Anzai, S.(2000) イギリス風景式庭園の美學: 「開かれた庭」 のパラドックス. 김용기, 최종희 역(2005) 신의 정원 에덴의 정치학: 영국 풍경식 정원의 미학.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6. Bachelard, G.(1957) La poetique de l'espace, 곽광수 역(2003) 공간의 시학. 서울: 동문선. 
  27. Bachelard, G.(1960) La poetique de la reverie, 김웅권 역(2007) 몽상의 시학. 서울: 동문선. 
  28. Boff, L.(1993) Ecologia, mundializacao, espiritualidade, 김항섭 역(1996) 생태신학. 서울: 가톨릭출판사. 
  29. de Loyola, S. I.(1548) Exercitia spiritualia, 정제천 역(2005) 영신수련. 서울: 이냐시오 영성연구소. 
  30. Debray, R.(1992) Vie et mort de l'image: une histoire du regard en Occident, 정진국 역(1994) 이미지의 삶과 죽음. 서울: 시각과 언어. 
  31. Durand, G.(1964) L'Imagination symbolique, 전형준 역(1983) 상징적 상상력. 서울: 문학과 지성사. 
  32. Eco, U.(1986) Arte e bellezza nell'estetica medievale, 손효주 역(1998) 중세의 미와 예술. 서울: 열린책들. 
  33. Feuillet, M.(2004) Lexique des symboles chretiens, 연숙진 역(2009) 그리스도교 상징사전. 서울: 보누스. 
  34. Gnanakan, K.(1999) God's World: Biblical Insight for a Theology of Environment, 이상복 역(2005) 환경신 학: 생태 위기와 교회의 대응. 서울: UCN. 
  35. Harries, R.(1993) Art and the Beauty of God: A Christian Understanding, 김혜련 역(2003) 현대인을 위한 신학적 미학. 서울: 살림. 
  36. Jordan, M.(2001) The Green Mantle: An Investigation into Our Lost Knowledge of Plants, 이한음 역(2004) 초록 덮개: 식물에 대해 우리가 잃어버린 지식들. 서울: 지호. 
  37. Kennedy, S. S.(2001) Gardening the Soul, 이해인, 이진 역(2003) 영혼의 정원. 서울: 열림원. 
  38. Kustenmacher, M.(2004) Vom Zauber der Blumen und einfachen Dinge, 장혜경 역(2006) 영혼의 정원. 서울: 책씨. 
  39. Smith, J.(1987) To Take Place: Toward Theory in Ritual.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Tresidder, J.(1998) Symbols and Their Meanings, 김병화 역(2007) 상징이야기. 서울: 도솔. 
  41. van der Leeuw, G.(1932). Sacred and Profane Beauty: The Holy in Art, 윤이흠 역(1988) 종교와 예술. 서울: 열화당. 
  42. van Zuylen, G.(1994) Tous les jardins du monde, 변지현 역(1997) 세계의 정원: 작은 에덴동산. 서울: 시공사. 
  43. Viladesau, R.(1999) Theological Aesthetics: God in Imagination, Beauty, and Art. 손호현 역(2001) 신학적 미학: 상상력, 아름다움, 그리고 예술 속의 하나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44. https://findthedivine.com 
  45. https://inigopress.kr 
  46. https://missa.cbck.or.kr/Retr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