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of Jangbogwan from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장보관(章甫冠)의 보존처리

  • Lee Hyel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Seungw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혜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승원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3.10.10
  • Accepted : 2023.11.21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ocument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fine-hemp official headgear hou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o reconsider its existing name following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of the damaged cultural heritage asset. The headgear consists of a single inner frame with a vertical line at the front, a single outer frame surrounding the inner frame, and a double-layered headband that spans the circumference of the wearer's head and joins the inner and the outer frames. This study applied a conservation treatment to the men's undyed hemp headgear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and repair the partially deteriorated and damaged fabric, thereby restoring and stabilizing the original shape and preparing it for exhibitions. The hemp headgear was sewed both by hand and with a sewing machine. Although its overall composition and style are similar to the same type of official headgear from the Joseon Dynasty, the use of a sewing machine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it was produced in the early 1900s. This study identified similarities between the overall composition and shape of the fully-preserved hemp official headgear and those of the jangbogwan, a type of men's official headgear worn by Confucian scholars as part of their everyday attire, and compared it with the shape of jangbogwan seen in documentary records, illustrations, prior research, and portraits from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xtant jangbowan artifacts, eventually concluding that it is appropriate to classify and name the headgear as a jangbogwan.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포제 관모인 세마관의 보존처리 기록과 손상된 문화재의 원형 회복에 따른 기존 명칭 재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포제 관모는 홑으로 된 내관에 양이 있고 내관을 감싸는 홑으로 된 외관, 머리둘레를 두르는 겹으로 된 무가 내관과 외관을 결합하는 구조이다. 소색 마직물로 만든 조선시대 남자용 관모로 표면에 오염과 이물질 제거, 부분적으로 열화되어 손상된 직물의 수리를 통한 원형 회복과 안정화 및 전시 활용을 위해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포제 관모의 바느질 방법은 손바느질과 재봉틀 바느질이 혼합되어 있다. 전체 구성과 양식은 조선시대 동일 유형의 관모와 유사하지만 재봉틀 바느질이 사용되었으므로 제작 시기는 1900년대 초반으로 보았다. 보존처리가 완료된 포제 관모의 전체적인 구성과 형태에 대해 유생들이 평상복을 입을 때 착용하는 남자 관모의 하나인 장보관과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문헌의 기록과 도설, 선행연구, 조선시대 초상화에 보이는 장보관의 형태 비교, 현전 실물들과의 특징 비교를 통해 대상품인 포제 관모가 장보관으로 분류되어 명명되기에 적정하다고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 외 7인, 한국복식사전, p118, 민속원, 서울, (2015).
  2. 정완진, 이순원, 고구려 관모(冠帽) 연구, 服飾 23, p151-168, (1994).
  3. 강순제, 冠帽 硏究 (III), 생활과학연구논집 16(1), p33-64, (1996).
  4. 강순제. 冠帽 硏究 (IV), 생활과학연구논집 18(1), p23-43, (1998).
  5. 진미희, 권영숙, 한국 고대 관모에 관한 연구, 전통복식 1, p7-20, (1999).
  6. 강순제, 전현실, 고깔형 관모에 관한 연구, 服飾 52(1), p117-128, (2002).
  7. 양진숙, 이난영, 조선시대 중인계층(中人階層)의 관모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2), p97-104, (2005).
  8. 박선희, 홍나영, 신묘사행(辛卯使行] 「도중행렬도(道中行列圖)」에 나타난 통신사 편복 관모 연구, 服飾 61(3), p71-82, (2011).
  9. 이주영, 18세기 이후 통신사 편복 관모에 관한 고찰, 조선통신사연구 23, p1-66, (2017).
  10. 김문자, 가야 관모에 대한 연구, 韓服文化 21(2), p35-49, (2018). https://doi.org/10.16885/jktc.2018.6.21.2.35
  11. 이주영, 조선후기 고후관(高厚冠)의 특성과 유래, 韓服文化 22(3), p25-39, (2019). https://doi.org/10.16885/jktc.2019.09.22.3.25
  12. 진덕순,이은주, 조선시대 생원.진사의 방방 복식제도, 국학연구 45, p341-373, (2021).
  13. 이은주, 조선시대 관아 원역의 관모 종류와 형태, 한국 복식 48, p31-56, (2022). https://doi.org/10.47597/KDS.48.2
  14. 박혜진, 권영숙, 울산 출토 고려시대 칠사관모의 보존 처리 및 재질 분석, 보존과학회지 29(1), p15-24, (2013). https://doi.org/10.12654/JCS.2013.29.1.02
  15. 이미식, 송미경, 배순화, 홍문경, 조선시대 충정관의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3, p29-36, (2001).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01.3.0029
  16. 심연옥, 한국직물 오천년, p44, 고대직물연구소, 서울, (2002).
  17. 이혜린, 박승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가죽버선의 보존처리, 박물관 보존과학 27, p39-56, (2022).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2.27.0039
  18. 박길수, 緇布冠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통의상학과, (2010).
  19. 김혜주, 중국 피변(皮弁)의 형태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의상학과, (2009).
  20. 조우현, 조현진, 세종조 회례연시 관모 재현, 服飾 64(6), p65-77, (2014). https://doi.org/10.7233/jksc.2014.64.6.065
  21.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2023). 「五洲衍文長箋散稿」 「古今冠巾制度辨證說」, "引《通典》百濟樂. 開元中置之. 舞用二人. 紫大袖裙襦, 章甫冠,皮履. 章甫. 商冠也.
  22.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2023). 「常變通攷」 「居家雜儀」, "委貌周道也. 章甫殷道也. 母追夏后氏之道也. 註:委貌,玄冠. 委, 安也, 言所以安正容貌. 章, 明也,以表明丈夫也. 甫或爲父. 母, 發聲也. 追, 猶堆也. 以其形名之. 三冠,皆所常服,以行道也.其制之異,未聞."
  23. 소종, 정완진 외 4, 국역 중국정사 여복지 상, 「후한서」 「여복지」, p21, 민속원, 서울, (2014), "委貌冠.皮弁冠同制...所謂夏之母追,殷之章甫者也."
  24. 「선조실록」 175권, 선조 37년 6월 16일 (을미). "...頃者在泮諸章甫, 瀝血叫閽..."
  25. 「정조실록」 1권, 정조 즉위년 5월 6일 (병자). "大司成金熤上疏曰: 太學章甫之所關, 士論之所出也."
  26. 「숙종실록」 1권, 숙종 즉위년 12월 25일 (갑인). "...而世弼等冠章甫, 集學宮, 相率陳疏,..."
  27. 한국고전종합 DB, https://db.itkc.or.kr, (2023). 「常變通攷」 卷之四 通禮 居家雜儀 下 冠服之制, 《通典》 : 夏后氏牟追冠,長七寸,高四寸,廣五寸,後廣二寸. 制如覆杯,前高廣,後卑銳,殷因之,制章甫冠,高四寸半,後廣四寸,前櫛首.
  28.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2023). 「資治通鑑」 卷一百三十七 齊紀三 世祖武皇帝中 "...魏主爲之制素委貌, 布深衣, 爲, 于僞翻. 委貌冠, 長七寸, 高四寸, 制如覆盃, 前高廣, 後卑銳, 所謂夏之毋追.殷之章甫者也. 本以皂絹爲之, 今制素者以擧哀. ..."
  29. 김혜주, 중국 피변(皮弁)의 형태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의상학과, p30, (2009).
  30. 한국고전종합 DB, 「사계전서(沙溪全書)」 「가례집람도설(家禮輯覽圖說)」 https://db.itkc.or.kr/, (2023).
  31. 박길수, 최규순, 치포관(緇布冠)연구, 服飾 61(5), p128, (2011).
  3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자가례(朱子家禮)」 https://kyu.snu.ac.kr, (2023).
  33.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65, 그라픽네트, 서울, (2020).
  34.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64, 그라픽네트, 서울, (2020).
  35.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 (2023).
  36.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88, 그라픽네트, 서울, (2020).
  37.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84, 그라픽네트, 서울, (2020).
  38. 국가문화유산포털 검색 "초상", https://www.heritage.go.kr, (2023).
  39. 국가문화유산포털 검색 "초상", https://www.heritage.go.kr, (2023).
  40.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104, 그라픽네트, 서울, (2020).
  41.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107, 그라픽네트, 서울, (2020).
  42. 국립전주박물관, 석지 채용신 초상화, p108, 그라픽네트, 서울, (2020).
  43. 대전시립박물관, 호서명헌 초상화 특별전 유학자 관복을 벗다, p47, 도어북스, 대전, (2014).
  44. 한국고전종합 DB, https://db.itkc.or.kr, (2023). 「순암집(順菴集)」, "...白布深衣. 素章甫冠...."
  45. 한국복식사전, www.dic-costumekorea.org, (2023).
  46. 석주선, 冠帽와 修飾, p33, 단국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3).
  47. 경운박물관, 소색비무색, 흰옷에 깃든 빛깔, p100, 닷츠, 서울, (2023).
  48. 온양민속박물관, 朝鮮時代의 冠帽, p33, (1988).
  49.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