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소재·부품·장비 산업 충청지역 경쟁력 분석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y Chungcheong Region Competitiveness Analysis Using Shift-Share Analysis

  • 이나영 (호서대학교 디지털기술경영학과) ;
  • 채성욱 (호서대학교 디지털기술경영학과)
  • Nayoung Lee (Department of Digital Business, Hoseo University) ;
  • Seong Wook Chae (Department of Digital Business, Hoseo University)
  • 투고 : 2023.12.14
  • 심사 : 2023.12.25
  • 발행 : 2023.12.31

초록

소재·부품·장비 산업은 중소기업 중심의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산업이다. 충청지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충청지역의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대상으로 사업체 규모계수, 산업 성장률, 산업 특화도, 변이할당분석 기법의 지역 경쟁력 수치 등에 기반하여 각 권역별(대전, 세종, 충남, 충북) 산업 발전 단계 및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2014년 및 2019년의 종업원수, 사업체수 및 생산액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의 특화 수준과 지역 경쟁력이 고려된 유의미한 권역별 산업군을 확인하고, 이들 유의미한 산업군에 대한 산업 발전 단계상에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충청지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y is mostly an industry centered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is an important industry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which is the source of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ies by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ies in the Chungcheong regio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industrial development stage and competitiveness of each region (Daejeon, Sejong, Chungnam, and Chungbuk) based on business scale factor, industrial growth rate, industrial specialization,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for the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ies in the Chungcheong region. Using data such as the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businesses,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in 2014 and 2019, significant industrial groups by region were identified considering the level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positions of these significant industrial groups in the stage of industrial development,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terial·Part·Equipment industries in the Chungcheong region we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2019). 「제5차 국토종합계획수립을 위한 대전광역시 발전방향」
  2. 김근환, 권태훈, 전승표. (2019). 공공 정보지원 인프라 활용한 제조 중소기업의 특징과 성과에 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25(4), 1-33. https://doi.org/10.13088/JIIS.2019.25.4.001
  3. 김대중, 고경호. (2020). 소재 부품산업의 지역경쟁력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401-408.
  4. 김대중, (2014). 고성장 산업군의 발굴 및 육성전략: 가젤산업에 대한 시론을 중심으로: 가젤산업에 대한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5), 2821-2830.
  5. 류희진. (2022). 우리나라 전문디자인업의 특화도와 지역경쟁력분석: 입지계수와 변이-할당 분석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35(1), 45-68.
  6. 모수원, 박정환, 이광배. (2018). BCG 매트릭스와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ICT 산업 종사자의 변동요인 분해. e-비즈니스연구, 19(4), 19-28.
  7. 박도형, 정재권, 정여진, 이동원, (2014), 자기조직화 지도를 활용한 성장모형 기반의 시장 성장패턴 지도 구축 : ICT제품을 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20(4), 1-23, https://doi.org/10.13088/jiis.2014.20.4.01
  8.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 법률(2021.12.28.) 제2조
  9. 양광수, 김도훈. (2021). 변이-할당분석기법을 이용한 일본 관광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MICE 관광연구, 21(2), 51-68.
  10. 오용준. (2021). 제4차 충청남도 종합계획(2021~2040). 충청남도.
  11. 오지환, 정기호. (2012). DEA 모형을 이용한 부품소재산업의 효율성 분석. 경영과 정보연구, 31(1), 273-292.
  12. 원광희. (2021). 제4차 충청북도 종합계획(2021~2040). 충북연구원, 충청북도.
  13. 이광배. (2023). 변이할당분석, 동태적 성장률분석, DEA, BCG Zoo 를 이용한 공연예술의 경쟁력과 효율성 분석: 국악, 양악, 연극, 무용. 산업경제연구, 36(4), 605-624.
  14. 이광배, 모수원, 박정환. (2019). 변이할당분석과 입지계수를 이용한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경쟁력 분석. 산업경제연구, 32(6), 2213-2229.
  15. 이양호, 배준영. (2016). 한국 소재 부품산업의 국제경쟁력분석: 자원기반관점을 중심으로. 전문경영인연구, 19(2), 25-42.
  16. 정만태, 원동규, 황승진, 장태윤. (2020). 경남지역의 소재부품장비산업 발전방안. 한국은행 경남본부,
  17. 하상집, 박도형. (2022). 정부창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ICT 기업 프로파일링과 성과창출 메커니즘. 지능정보연구, 28(3), 237-258. https://doi.org/10.13088/JIIS.2022.28.3.237
  18. Arcelus, F. J. (1984). An extension of shift-share analysis. Growth and change, 15(1), 3-8. https://doi.org/10.1111/j.1468-2257.1984.tb00719.x
  19. Begg, I., Moore, B., & Altunbas, Y. (2002). Long-run trends in the competitiveness of British cities. In Urban competitiveness (pp. 101-134). Policy Press.
  20. Fernando, I. N. (2020). Tourism competitiveness by shift-share analysis to way-forward Destination Management: A case study for Sri Lanka. Journal of Tourism and Services, 11(21), 88-102. https://doi.org/10.29036/jots.v11i21.139
  21. Maspaitella, M., Parinussa, S. M., & Tewernusa, K. (2021). Applying location quotient and shift-share analysis in determining leading sectors in Teluk Bintuni Regency. Journal of Developing Economies, 6(1), 55-65. https://doi.org/10.20473/jde.v6i1.22182
  22. Montania, C. V., Marquez, M. A., Fernandez Nunez, T., & Hewings, G. J. (2023). Toward a more comprehensive shift share analysis: An illustration using regional data. Growth and change.
  23. Oyewole, P. (2016). Regional competitio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for services: A shift-share analysis. Journal of Global Marketing, 29(1), 3-14. https://doi.org/10.1080/08911762.2015.1119918
  24. Pasaribu, E., Anitasari, M., Gunawan, R., & Septriani, S. (2020). A Shift Share Analysis On Regional Competitiveness-A Case Of Bengkulu Province, Indonesia.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2(1), 97-106.
  25. Shi, C.-Y., & Yang, Y. (2008). A review of shift-share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in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Perspectives, 1(1),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