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s and Changes of Arrow Quiver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삼국시대 화살집[화살통]의 유형과 변화과정

  • YI, Gunryoung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2.06.30
  • Accepted : 2022.08.16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paper, a basic study on the restoration of arrow quiver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imed to contribute details to the existing plan to restore the arrow quivers. The arrow quiv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consist of a pouch for holding arrows and a backpiece. However, the two parts do not remain, and only metal parts have been excavated. The excavated arrow quiv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or restoration. Centered on the pouch, the quivers were classified into type 1 made up of a W-shaped part and ㄷ-shaped part, and type 2 with only the band-shaped piece identified. Type 3 is similar to type 2, but it is assumed to be a separate type where an iron band extending from the hanging piece(吊手金具) is connected to a band-shaped piece. Before proposing a restoration plan for the three types of arrow quivers, the location of the hanging piece (吊手金具) and the observation of organic matter were reflected. In addition, such details as the location of the hanging piece (吊手金具), which cannot be identified by the excavation status alone, were derived from the ways of wearing the arrow quivers observed in the Joseon Dynasty, Shosoin (正倉院), and Haniwa (埴輪) in Japan. Referring to the existing record on the transformation of arrow quivers based on the hanging piece (吊手金具), the arrow quivers change from type 1 to types 2 and 3 in this paper. However, some of types 2 and 3 maintain the ways of wearing of type 1, 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 old-fashioned parts were kept. In particular, in Haman (咸安),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ical type 1 was buried up until late periods.

본고는 삼국시대 화살집 복원에 대한 기초 연구로, 기존 화살집 복원 안에 대한 세부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재 발굴된 삼국시대 화살집은 화살을 담는 주머니인 수납부, 그리고 화살집의 등판에 해당하는 배판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2부위는 남아있지 않고, 금속 부품만 발굴되고 있다. 출토된 화살집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복원하였다. 수납부 금구를 중심으로 W자형 부품과 ㄷ자형 부품으로 구성된 1유형, 띠형 금구만 확인된 2유형으로 분류했다. 3유형은 2유형과 비슷하지만 적수금구에서 뻗친 철띠가 띠형 금구에 연결되는 화살집으로, 별도의 유형으로 상정하였다. 3가지 유형의 화살집에 대한 복원 안을 제시하기 전에 적수금구 위치와 유기물 관찰 내용을 반영하였다. 또 출토정황만으로 알 수 없는 적수금구의 위치와 같은 내용은 조선시대 화살집과 일본의 정창원, 하니와에서 관찰되는 화살집 착용방법에서 착안하였다. 적수금구를 기준으로 삼은 기존 화살집 변천 안을 참고하면, 화살집은 본고의 1유형에서 2·3유형으로의 변화한다. 변화의 요인에 대해 화살을 담는 수납부 공간과 화살집을 착용하는 방법의 변화에서 찾았다. 그러나 일부 2·3유형은 1유형의 착장 방식을 유지하고 있고 구식의 부품을 유지된 사례도 있었으며, 함안지역에서는 전형적인 1유형이 늦게까지 부장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철, 2011, 「加耶.新羅 古墳의 年代觀」, 「考古廣場」 9, 釜山考古硏究會.
  2. 金昌鎬, 2000, 「東萊福泉洞 22號 盛矢具 復元案 補遺-天安 龍院里 9號 石槨墓의 盛矢具 出土 狀態 解釋과 함께」, 「慶北史學」 23, 慶北史學會.
  3. 박승규, 2010, 「加耶土器 樣式 硏究」, 동의대학교대학원 문학박사 학위논문.
  4. 안보연, 2018,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직물의 종류와 제직 특성 고찰」, 「服飾」 68-7, 한국복식학회.
  5. 오동선, 2018, 「삼국시대 화살통의 등장과 전개과정」, 「韓國考古學報」 109, 韓國考古學會.
  6. 이은석, 2016, 「계(繫)의 재현을 통한 제작방법 고찰」, 「한일문화재논집III」,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나라문화재연구소(일본).
  7. 이현숙, 1999, 「百濟 盛矢具에 대한 檢討 -天安 龍院里 遺蹟 出土品을 中心으로」, 「百濟文化」 28,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8. 이혜연, 2020, 「나주 복암리 정촌 고분 출토 화살통 장식의 제작 방법 연구」, 「문화재」 53-2, 국립문화재연구소.
  9. 임지영, 2018, 「25호분 출토 철지금동장 성시구의 관찰 및 분석」, 「咸安 末伊山古墳群 第25.26號墳」, 우리문화재연구원.
  10. 임지영, 2018, 「26호분 출토 금속편 유물의 분석」, 「咸安 末伊山古墳群 第25.26號墳」, 우리문화재연구원.
  11. 임지영, 2021, 「성시구 복원을 위한 유기물 분석과 일본열도 호록의 복원사례」, 「호남지역 화살집 및 화살 제작기술 복원 학술연구용역 최종 보고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12. 全玉年, 1985, 「東萊 福泉洞 22號墳出土 胡籙金具를 통해 본 胡籙의 복원」, 「加耶通信」 11.12, 加耶通信編輯部.
  13. 全玉年, 1992, 「加耶의 金工品에 대하여 -盛矢具硏究-」, 「加耶考古學論叢I」,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4. 崔鍾圭, 1986, 「盛矢具考」, 「釜山直轄市立博物館」 9, 釜山市立博物館.
  15. 崔鍾圭, 1993, 「中期古墳의 性格에 대한 약간의 考察」, 「역사와 세계」 7, 부산대사학회.
  16. 홍성우.김현호, 2020, 「盛矢具」, 「함안 말이산 고분군 57.128호분, 석1호묘」, 경상문화재연구원.
  17. 홍보식, 2014, 「신라.가야 고분 교차편년」, 「嶺南考古學」 70, 嶺南考古學會.
  18. 群馬県立歷史博物館, 2000, 「武人二, 群馬フヘ帰る!」.
  19. 高槻巿金城塚古代歷史館, 2012, 「よみがえる古代の煌き-副葬品にみる今城塚古墳の時代」.
  20. 早乙女雅博, 1988, 「古代東アジアの盛矢具」, 「東京国立博物館紀要」 23, 東京国立博物館.
  21. 沢田むつ代, 2018, 「일한(日韓) 화살통(盛矢具)의 장식기법과 양국의 복식 비교」, 「금관가야 복식과 대외교류」 '가야복식 복원사업 연구용역' 제1차 국제학술세미나,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22. 土屋隆史, 2018a, 「古墳時代の日朝交流と金工品」, 雄山閣.
  23. 土屋隆史, 2018b, 「고대 일본의 화살통과 모자대도」, 「고대 한.일의 화살통과 장식칼」 2018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술대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4. 土屋隆史, 2019, 「삼국시대 화살통 금구의 분류.편년.지역성」, 「百濟硏究」 6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5. 土屋隆史, 2021, 「함평 신덕 1호분 출토 화살통장식의 의의」, 「咸平 禮德里 新德古墳」, 國立光州博物館.
  26. 塚本敏夫ほか, 2012, 「胡籙の復元製作-今城塚古墳出土品をモデルとして」, 「日本文化材科學會第29會大會硏究發表要旨集」, 日本文化材科學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