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남해안 출수 닻돌 분석

An analysis of anchor stones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 박승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
  • PARK Seungmin (Dept. of Underwater Excav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2.06.26
  • 심사 : 2022.10.28
  • 발행 : 2022.12.30

초록

본고에서는 서·남해안에서 출수된 닻돌 228점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결합 방식 상정, 출수 위치를 통한 항로 및 묘박지 추정 등을 시도하였다. 유형 분류에 앞서 닻돌의 무게, 두께, 너비, 길이를 측정하였는데, 묘박(錨泊)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무게를 I~V군으로, 닻돌의 형태는 1~6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무게와 형태의 상관 관계를 통해 모두 17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별 결합 방식은 출수된 닻돌의 기준값 형태적 특징에 따라 무게가 180kg 이하이면서, 형태가 1·2형인 것은 닻장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닻으로, 무게가 180kg 이상이며 형태가 3~6형인 것은 닻채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닻으로 상정하였다. 이와 함께 과거 기록과 지역 주민의 증언을 통해 항로와 묘박지(錨泊地)를 파악하고 이를 실물자료와 대조하였다. 항로는 대체로 과거 기록과 그 위치가 일치했지만, 새로운 항로가 섬 인근이나 내륙 인접 해역에서 확인되기도 하였다. 묘박지의 경우 닻돌 집중 분포지인 태안 마도 해역과 진도 벽파진 해역(珍島 碧波津 海域)에서 소형, 대형 닻돌들이 출수되는 양상을 볼 때, 여러 크기의 선박이 두 해역에 묘박하였다는 증언과 일치하였다.

In this paper classifies the types of 228 anchor stones discharged from the west and south coasts, assumes a combined method by type, routes through discharge locations, and It attempted to estimate the burial site. Prior to classification of types, the weight,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anchor stone were measured, and the largest Young in the tomb The scent weight was classified into I~V groups, and the shape of the anchor stone was classified into 1-6 types. All of these weight and shape correlations It was classified into 17 types. The combined method by type is 180kg or less depending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value of the extracted anchor stone, and the type An anchor of type 1 or 2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nchor, and a anchor of type 3 or 6 weighs more than 180kg and is combined with an anchor The dragon was assumed to be an anchor. Along with this, the route and burial site are identified through past records and testimony of local residents It was checked against the data. The route was largely consistent with past records, but the new route was apparent in waters near the island or inland It was also drawn. In the case of burial sites, small and large in Taean Mado Sea and Jindo Byeokpajin Sea, where anchor stones are concentrated, Considering the pattern of the type anchor stones being discharged, it was consistent with the testimony that ships of various sizes were mysterious in the two seas. Based on this type classification, a study on the spatiality of the anchors was conducted. First, a comparison and analysis was done on whether actual real data, such as anchor stones, old ships, and relics, were identified on the Joun-ro route and international trade routes as recorded in the past literature. Where there was no record, the route was estimated based on real data. To this end, routes estimated based on the testimony of local residents and modern ship workers were analyzed as to whether ships traveled there in the past and whether they could actually sail. Next, the location of each seedling was estimated by ship siz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anchor stone. In the case of the Taean Mado Sea and Jindo Byeokpajin Sea, both small and large anchor stones were discharged from the coastline and were far away.

키워드

참고문헌

  1. 「太祖實錄」, 7卷, 4년, 5월 17일. 1395년.
  2. 「世宗實錄」, 120卷, 30년, 4월 6일, 1448년.
  3. 「宣和奉使高麗圖經」, 1124년.
  4. 「漕行日錄」, 1862~1863년.
  5. 김대식, 2018, 「중국 송대 천주지역의 조선업」,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05, 「군산 십이동파도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7.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1a, 「태안 마도2호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8.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1b, 「태안 마도해역 탐사보고서」.
  9.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2, 「태안 마도3호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10.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5, 「진도 명량대첩로해역 수중발굴조사보고서I」.
  11.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7, 「태안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
  1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8a, 「인천 옹진 영흥도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1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8b,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II」.
  14.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19, 「태안 당암포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15.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1, 「태안 마도 해역 시굴조사 보고서」.
  16. 김순갑, 2012, 「선박항해 용어사전」, 다솜출판사.
  17. 다블뤼, 1862, 「조선 순교사 비망기」, 파리외방선교회.
  18. 문경호, 2011, 「고려시대의 조운제도와 조창」, 「지방사와 지방문화」 14(1), 역사문화학회, pp.7~46. https://doi.org/10.23013/LOCALH.2011.14.1.001
  19. 문경호, 2014,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 「지방사와 지방문화」 17(1), 역사문화학회, pp.65~102. https://doi.org/10.23013/LOCALH.2014.17.1.003
  20. 윤용혁, 2013, 「고려의 뱃길과 섬, 최근의 연구 동향」, 「도서문화」 제42집, 도서문화연구원, pp.105~132.
  21. 이정준.임성태.노열.박영석.정용화, 2010, 「태안 마도해역에서 인양한 닻돌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문화재학보」 2(2), 동아시아문화재학회, pp.43~58.
  22. 정진술, 2010, 「고대의 닻에 대한 소고」, 「해양평론」 10(4), 해양문화정책연구센터, pp.9~38.
  23. 홍광희, 2012, 「한국 전통닻돌의 생김새와 쓰임새 연구(태안 마도해역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홍광희, 2012, 「한국 닻돌의 쓰임새 연구」,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제36회, 한국고고학회, pp.513~521.
  25. 홍광희, 2015, 「마도와 오류리 출수 닻돌의 형태분석」, 「해양문화재」 8,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pp.85~115.
  26. 王冠倬, 2000, 「中國古船圖譜」 2, 鷹島町教育委員会.
  27. 當眞嗣一, 1996, 「南西諸島発見碇石の考察」, 「沖縄県立博物館紀要報」 22, 沖縄県立博物館.
  28. 柳田純孝, 1996, 「交易船と元軍船の碇石」, 「鷹島町文化財調査報告書」 2, 長崎県高島町教育委員会, pp.26~30.
  29. 上田雄, 1976, 「碇石についての研究調査報告」, 「海事史研究」 27, 日本海事史學會, pp.22~46.
  30. 小川光彦, 2001, 「志賀島勝馬沖発見の碇石と碇石研究における諸問題」, 「玄海灘における海底遺跡の探査と確認調査」 2, 九州大学考古学研究室, pp.98~132.
  31. 小川光彦, 2011, 「닻돌의 분류와 변천」, 「고려의 난파선과 문화사」 1,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pp.75~91.
  32. 松岡史人, 1981, 「碇石の研究」, 「松浦党研究」 22, 沖縄県立博物館, pp.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