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f the Changes Made to the Sites of Hwangnyongsa Temple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통일신라~고려시대 황룡사 사역의 변화과정 검토

  • JEONG, Yeoseon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1.12.27
  • Accepted : 2022.02.05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Hwangnyongsa Temple was the large Buddhist monastery of Silla that has existed for about 685 years. The temple underwent a series of excavations from 1976 to 1983, during which it was discovered that its layout consisted of one pagoda and three main dharma halls. This discovery also led to the production of four artistic depictions of the temple at various times from its foundation to its final phase. Previous studies on the architectural layout of Hwangnyongsa Temple are largely focused on the inner sanctuary ("Buddha's Land"). The studies on the temple's main architectural structures may be natural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origins of and background to its establishment, but the studies on its outer sanctuary ("Sangha's Land") have to come first to acquire a deeper knowledge of the architectural layout of the temple as a whole.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ntire layout of Buddhist monasteries of the Silla dynasty, including both their inner and outer sanctuaries, the studies on Hwangnyongsa Temple are essential as it was once the kingdom's most highly honored temple. The studies on Korean Buddhist monasteri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produced only a limited amount of information concerning the outer sanctuary, resulting in little evidence about the exact scope of the temple's sanctuary. Meanwhile, the excavations of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have revealed the archaeological features of the walls that divided the monastery and its neighboring facilities, thus helping to delineate the size of the temple site. The excavations have reveal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anctuaries of Hwangnyongsa Temple, as well as the entire temple precincts and the exterior,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made to the layout of the temple.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focuses on the changes made to the sanctuary of Hwangnyongsa Temple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architectural layout of the temple. The discussion is based on a review of the periods in which the Nammunji(South Gate site) was built, which provides tangible evidence about the expansion of the temple to the south, and the walls enclosing the temple precincts on the four sides and the changes that occurred afterwards.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s that both the inner and outer sanctuaries of the temple probably changed through the 1 st and 3rd. It also concludes that the changes made to the architectural layout of Hwangnyongsa Temple were intended not only to alter the scope of the temple but were also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olitico-geographical significance of its location at the center of the royal capital of Silla and the urban archaeological remains around it.

황룡사는 약 68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법등이 이어진 대사찰이다.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이루어진 발굴조사에서 1탑 3금당식의 가람배치가 밝혀진 후 크게 네 차례에 걸쳐 창건부터 최종까지의 가람추정도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황룡사 가람구조에 대한 연구는 회랑내곽(佛地)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사찰의 건립 이유를 생각한다면 금당지 등 중심건물지에 대한 연구가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사찰 전체의 가람구조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회랑외곽(僧地)에 대한 연구도 선행되어야 한다. 신라 사찰의 회랑내·외곽을 포함한 전체 가람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라시대 대표사찰인 황룡사를 빼놓을 수 없다. 현재까지 조사된 삼국시대 사찰은 회랑외곽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고 사역의 정확한 범위를 추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황룡사는 사방으로 주변과의 경계인 담장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어 사역의 정확한 범위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회랑내곽과 외곽, 회랑외곽과 사역외곽과의 공간을 비교적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역 전체 가람 구조의 변화를 추정하기에 적합한 곳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황룡사 사역이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어떠한 변화를 거쳤는지 확인하고 전체 가람 구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황룡사 사역 남쪽으로의 확장을 확인할 수 있는 남문지의 건립시기와 사역 경계인 사방 담장의 축조시기와 변화과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회랑내곽의 가람변화와 함께 회랑외곽 역시 1~3차에 걸쳐 변화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황룡사의 전체 가람구조가 변화하게 된 계기는 단순히 사찰 규모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찍부터 신라왕경의 중심지에 창건된 지리적 중요성과 함께 주변으로 도시유적이 들어서면서 사찰의 경관 역시 변화를 같이 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글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술연구과제(NRICH-2205-A18F)로부터 지원받은 것이다.

References

  1. 「고려사」
  2. 「삼국사기」
  3. 「삼국유사」
  4. 이민형, 2021, 「황룡사 창건기토기의 재검토」, 「한국고고학보 2021권 2호」.
  5. 황인호, 2021, 「皇龍寺址 동편 王京유적(S1E1지구)의 재검토」, 「경주 황룡사지 동편 S1E1지구 정비 및 활용을 위한 학술대회」,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6.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0, 「慶州 皇龍寺 廣場과 都市II」.
  7.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2, 「新羅王京 發掘調査報告書I」.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18, 「황룡사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 보고서I- 중문지.동문지 등-」.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19, 「皇龍寺 발굴조사보고서II- 동회랑 동편지구」.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20, 「황룡사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 보고서II- 남문지 일원-」.
  11.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17, 「황룡사 강당 및 강당 동서편 건물 남문 복원심화연구」, 「황룡사 연구총서」14, pp.285~347.
  12.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84, 「皇龍寺」.
  13. 趙由典, 1987, 「新羅皇龍寺伽藍에 관한 硏究」,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병현, 1992, 「新羅古墳硏究」, 일지사, pp.622~660.
  15. 최태선, 2016, 「신라.고려전기 가람의 조영 연구 - 經典儀範과 공간조성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04~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