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Published : 2022.10.30

Abstract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What is the metaverse?, https://www.economist.com/the-economist-explains/2021/05/11/what-is-the-metaverse
  2. 혁신도시조성및발전에관한특별법, https://www.law.go.kr
  3. Deloitte(2018), Forces of change: Smart cities, https://www2.deloitte.com/us/en/insights/focus/sm-city/overview.html
  4. 유승철(2019). 공간문화콘텐츠 비즈니스의 핵심 성공조건에 관한 연구: ID3 알고리즘 기반의 귀납적 추론을 활용한 비즈니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7(2), 81-116.
  5. 이춘성, 유승철, 김신엽, 장신석, 홍다현, 임다영(2020). 국내 스마트사이니지 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방안 연구, 나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6. Link NYC, https://www.link.nyc
  7. Berkeley moves forward with plan to install 'smart kiosks' in shopping districts, https://www.berkeleyside.org/2018/11/28/berkeley-moves-forward-with-plan-to-install-smart-kiosks-in-shopping-districts
  8. 세종시,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옥외광고 시범운영', http://www.newstnt.com/news/articleView.html?idxno=94647
  9. 김선영(2013), 도시 마케팅과 환경심리학적 측면으로 본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과 도시 이미지, 한국과학포럼, 14, 23-38.
  10. 서울 삼성동에 파도가 갇혀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3/2020052300488.html
  11. Arbitron Out-of-Home Advertising Study, 2013
  12. 디지털 빌보드 관련 법제에 참조할 수 있는 미국 법제는 고속도로 경관법(The Highway Beautification Act of 1965 -23 USC 131)이다.
  13. 미국경관단체: http://www.scenic.org
  14.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Vol. 67). London: 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