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f Current Status and Placeness on the Yusang-Goksu Ruins in Hwanggak-dong, Geumma, Iksan

익산 금마 황각동 유상곡수 유적 일대의 현황과 장소성에 대한 일고찰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Han, Min-Soon (Dep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llege of Environmental & Bioresource Sciences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 ;
  • Seo, Youn-Mi (Dept. of Ecology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llege of Environmental & Bioresource Sciences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 ;
  • Park, Yool-Jin (Dept. of Ecological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 한민순 (전북대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 서윤미 (전북대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 박율진 (전북대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1.11.12
  • Accepted : 2022.09.26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ocational results of the 'Yusanggoksu(流觴曲水)' petroglyphs located in Hwanggak-dong(黃閣洞), Shinsong-ri, Geumma-myeon, Iksan-si through literature study, analysis of old maps and aerial photos, field observations, drone photography, elevation surveys,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It was attempted for the purpose of illuminating and preserving the relics of the domestic Yusanggoksu garden by clarifying the spatiality of this place by tracing the spatiality and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enjoying the Yusanggoksu water system in this plac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area around Hwanggak-dong, where the Yusanggoksu remains, has been selected as the most beautiful scenic spot in Iksan in various documents. The origin of 'Hwanggak' is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nickname of Uijeongbu(議政府). In other words, he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Yanggok, So Se-yang(蘇世讓), who served as Chan-seong Jwa(左贊成). In particular, he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his birthplace, Taeheojeong, a separate book, and Toehyudang, a retreat hall), tombs, and posthumous Confucian academies were distributed in the vicinity. Haseo-dae(荷鋤臺), a wide rock on which a hoe is hung on a rock after field work, seems to express a leisurely rural life and a simple and hermit life, based on the examples of Chinese and Korean poetry. The dark blood on the upper part of the Seobwi Rock with the inscription 'Yusanggoksu', which is the core of this site, is identified as a chailgong(遮日孔) to support the water system, and Ilgan-pavilion and Mojeong(茅亭) nearby are to support the yusanggoksu. It seems to have performed a spatial function for The inscription 'Hwanggak-dong' engraved on the front of Deungzanbawi is the gateway to Hwanggakdongcheon(黃閣洞天) and identified the idealized world existing in the village. Judging from the documentary records of the Iksan-gun 『Chongswaelog(叢瑣錄)』, the rock letters 'Hwanggak-dong' and 'Haseodae' were engraved on March 29, 1901, the 5th year of Gwangmu, the 5th year of the Korean Empire, by Iksan-gun Governor Oh Haeng-mook(吳宖默) and his acquaintance Seokseong Kim In-gil(金寅吉) Confirmed. Also, considering the tense of Lee Bong-gu's 「Hwanggakdongun(黃閣洞韻)」 and So Jin-deok, a descendant of Yanggok, 「Hwanggakdongsihoe(黃閣洞詩會)」, it is presumed that it was related to Goksuyeon(曲水宴) in Hwanggak-dong.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urrent affairs meetings were held at least until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Meanwhile, the maximum width of the current curved waterway was calculated as 11.3m and the transverse slope was 15.0%. If so, it is estimated that the width and extension distance of the curved waterway would have been much longer. Judging from the use of mochun(暮春), drinking and poetry, the tense 'Hwanggakdongsihoe' related to the Yusanggoksu relics in Hwanggak-dong, and the existence of a pavilion presumed to be Yusangjeong(流觴亭) called Ilgan-pavilion in the nearby Yusanggoksu site It is confirmed that it was a space where Yusanggoksuyeon(流觴曲水宴) spread at leas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Unfortunately, it remain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at it cannot be confirmed due to lack of data on the rock characters of 'Yusanggoksu' and those who enjoyed it before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is is an area that needs to be elucidated through continuous efforts to find data on this issu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옛지도 및 항공사진의 분석, 현장 관찰과 드론 사진 촬영과 고저측량 그리고 주민인터뷰를 통해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황각동에 소재한 '유상곡수(流觴曲水)' 암각서 유적의 입지성과 장소성을 추적하여 이곳에서의 유상곡수 수계(修禊) 등의 향유 가능성을 타진함으로써, 이곳의 장소성을 분명히 함으로써 국내 유상곡수로 정원 유적의 조명과 보존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상곡수 유적이 존재하는 황각동 일대는 여러 문헌에서 익산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경(佳景)으로 손꼽혀왔다. 황각동의 유래는 의정부(議政府)의 별칭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좌찬성(左贊成)을 역임한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였는데 특히 그의 태생지와 인접하고 있을 뿐 아니라 별서인 태허정(太虛亭), 은거당인 퇴휴당(退休堂)과 묘소 그리고 사후 배향 서원 등이 인근에 다수 분포한 점을 그 근거로 제시하였다. 밭일 후 바위에 호미를 걸어 놓는 넓은 바위인 하서대(荷鋤臺)는 중국과 한국의 한시의 용례로 볼 때 한가로운 전원생활과 유유자적하게 살아가는 소박하고 은자적인 삶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본 유적의 핵심이 되는 '유상곡수' 바위글씨가 있는 수석바위 상부의 암혈(巖穴)은 수계를 지원하기 위한 차일공(遮日孔)으로 파악되며 인근의 일간정과 모정은 유상곡수를 지원하기 위한 공간 기능을 수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등잔바위 전면에 새겨진 '황각동(黃閣洞)'바위글씨는 황각동천(黃閣洞天)에 이르는 관문으로, 향촌에 존재하는 이상세계를 관념화한 표식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황각동'과 '하서대' 바위글씨는 대한제국 광무(光武) 5년인 1901년 3월 29일에 익산군수 오횡묵과 지인인 김인길(金寅吉)이 새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봉구의 「황각동운(黃閣洞韻)」과 양곡의 후손인 소진덕의 「황각동시회(黃閣洞詩會)」란 시제로 볼 때 황각동에서 곡수연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사 모임이 최소한 일제강점기 초기까지도 행해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한편 현재 곡수로의 최대폭은 11.3m, 횡단구배는 15.04%로 계상되었으며 곡수로로 추정되는 수로 구간의 연장거리는 약 27.6m, 종단구배는 3.51%로 측정되었으나 현재 양안이 석축으로 처리된 점을 감안한다면 곡수로의 폭원과 연장거리는 훨씬 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각동 유상곡수 유적과 관련된 봄(삼월삼짇날) 모춘(暮春) 이용, 음주와 시 짓기, 시제 「황각동시회」, 유상곡수 바위글씨 그리고 인근 유상정으로 추정되는 일간정이라는 정자의 존재 등으로 볼 때 최소한 조선 말기까지 유상곡수연이 펼쳐진 공간이었음이 확인된다. 아쉽게도 '유상곡수'바위글씨에 대한 암각 주체와 조선 말기 이전의 향유자 등에 대해서는 자료 부족으로 확인하지 못함은 연구 한계로 남는다. 이는 향후 이에 대한 꾸준한 자료 발굴 노력을 통해 구명해야 할 부분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재현, 신상섭(2010). 중국과 한국의 流觴曲水 流否渠 특성에 관한 연구. 휴양 및 경관연구. 4(2): 1-14.
  2. 노재현, 신상섭, 이정한, 허준, 박주성(2012). 강릉 연곡면 유등리 '流觴臺' 曲水路의 照明.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1): 14-21.
  3. 차문성(2019). 장단 백학산 석각과 난정수계와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고문화. 94권: 71-97.
  4. 박철상((2012). 王義之 菌事修契의 수용 양상과 詩社에 끼친 영향. 한문학보. 26권: 3-32.
  5. 南泰普 編(1756). 「金馬志」
  6. www.grandculture.net
  7. https://map.naver.com/v5/search
  8. http://www.isoh.or.kr
  9. E. Relph(1976). Place and Placelessness(Research in Planning and Design). Goodreads Pion.
  10. 「新增東國與地勝覽」 益山郡 '山川條'
  11. 익산군지편찬위원회(1981). 「익산군지」 : p861-867.
  12. 익산시사편찬위원회(2001). 「익산시사」. p867.
  13. 「湖南邑誌」
  14. https://kyu.snu.ac.kr/
  15. 「與地勝覺」
  16. https://theme.archives.go.kr/next/acreage/viewMain.do
  17. 익산문화원(2006). 「익산향토지」2: p975.
  18. 「黃閣十世譜」3
  19. 金期國. 「黃閣章奏」
  20. 김승연(2020). 양곡 소세양 설화의 유형별 의미와 인물 형상. 한국학. 43(2): 261-300. https://doi.org/10.25024/KSQ.43.2.202006.261
  21. http://iksan.grandculture.net
  22. 「湖南志」 卷之一 益山 '姓氏'
  23. 蘇世讓 「陽谷集」 卷之一 詩 「退休堂感懷韻」
  24. http://www.hankukmail.com/newshome/detailphp?number=35452
  25. 익산군(1982). 미륵산의 정기: p345.
  26. 「龍安懸邑誌」 '樓事條'
  27. https://www.ngii.go.kr/kor/main.do
  28. 韓章錫 「眉山集」 제8권 記 「南行集」
  29. https://map.kakao.com/
  30. 柳重臨 「增補山林經濟」
  31. 禹夏永 「千一錄」
  32. 陶源明 「陶濕明集」 卷2 「歸田園居」
  33. 白居易 「白樂天詩集」 卷十一 「東坡種花 二」
  34. 王維 「升康詩話」 卷七 「渭川田家」
  35. 姜着孟 「 私數齋集」 卷之一 五름絶句 「植島十詠」
  36. 吳宖默 「業趙」 册十二 詩 「益山郡」
  37. 韓章錫 「眉山集 第八卷 記 「遊水落山記
  38. 조원교(2018). 익산 龍華山 남쪽 黃閣洞 마을 流觸曲水 유적과 바위에 새긴 글씨(刻字). 비인쇄자료.
  39. 국립문화재연구소, 익산시(1994). 익산 사자암 발굴조사보고서:pp208-211.
  40. 「承政院日記」 140册(脫抄本 3147册)
  41. http://db.mkstudy.com
  42. 박수정(2008). 「총쇄록」자료 해제 및 교육적 가치. 교육사학연구. 18(1): 39-58. https://doi.org/10.18105/HISEDU.2008.18.1.002
  43. http://www.memoryhonam.co.kr
  44. 이남면(2021). 소세양 한시 연구: 퇴거기의 시를 중심으로. 제7회 익산학심포지엄 양곡 소세양의 삶과 문학. pp: 24-40.
  45. 정선용(2021). 양곡집의 번역 현황과 향후 과제. 저17회 익산학심포지엄 양곡 소세양의 삶과 문학. pp: 8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