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문화재연구원 안전방재연구실 '문화재 재해영향 분석 및 피해저감 연구(과제번호: NRICH-1805-A17F)'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며, 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중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References
- 국립문화재연구소(2008). 건축문화재 재해예방 기획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고서.
- 문화재청(2011). 숭례문 화재 이후의 문화재 방재시스템 구축 싱과. 문화재청 보고서.
- 김진욱, 부경온, 최준태, 변영화(2018).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 국립기상과학원 보고서.
- 기상청 국가태풍센터(2019). 태풍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기상청 국가 태풍센터 보고서.
- 기상청 기후과학국 기후변화감시과, 국립 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2021). 우리나라 109년(1912-2020년) 기후변화 분석 보고서. 기상청 기후과학국 기후변화감시과.국립 기상과학원 미래기 반연구부 보고서.
- 문화재청(2016). 2016년도 주요업무계획. 문화재청.
- 문화재청 안전기준과 내부자료. 문화재 재난상황 발생보고(2006~2020년 자료).
- UNESCO, ICCROM, ICOMOS, IUCN(2010). World Heritage Resource Manual : Managing Disaster Risks for World Heritage.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 UNISDR(2015).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 - 2030. Geneva : UNISDR.
- Crozier, M., and Glade, T.(2010). Hazard assessment for risk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In I. Alcantara-Ayala & A. Goudie, eds.. Geomorphological Hazards Disaster Preven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21-232.
- Dominguez-Cuesta, M. J. (2013). Susceptibility. In P. T. Bobrowsky, eds., Encyclopedia of Natural Hazards. Encyclopedia of Earth Sciences Series. Dordrecht : Springer.
- 김창환, 배선학(2006). 문화유적의 공간적 입지 유형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83-594.
- 정계옥, 이진영, 양동윤(2006). GIS를 통해 본 영산강유역 고분의 분석 시론. 승실사학. 19: 295-324.
- 이진영, 홍세선, 양동윤, 김주용(2011). 남한에 분포하는 유적의 분포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2): 14-27.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2.014
- 서울역사박물관(2005).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
- 서울역사편찬원(2015). 서울 2천년사 3. 한성백제의 건국과 발전.
- 김영란(2004). 서울시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우수저류시설 적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 서울특별시(2011). 광화문광장 침수해소사업 단기대책 기본 및 실시 설계 보고서.
- Tehrany, M. S, Pradhan, B. and Jebur, M. N.(2013). Spatial prediction of flood susceptible areas using rule based decision tree (DT) and a novel ensemble b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stical models in GIS. Journal of Hydrology. 504 : 69-79. https://doi.org/10.1016/j.jhydrol.2013.09.034
- 황유정(2006). 홍수에 의한 침수 취약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1): 172-178.
- Khosravi, K., Nohani, E., Maroufinia, E., Pourghasemi, H. R. (2016). A GIS-based flood susceptibility assessment and its mapping in Iran: a comparison between frequency ratio and weights -of-evidence bivariate statistical models with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technique. Natural Hazards. 83(2): 947-987. https://doi.org/10.1007/s11069-016-2357-2
- Ologunorisa, T., Abawua, M.(2005). Flood risk assessment: a of Applied Sciences and Environmental review. Journal Management. 9(1): 57-63.
- 강인애, 이경찬(2021).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99-110.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4.099
- 유경희(1986). 서울시 하계변화 과정에 관찬 연구: 도성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효현(1994). 서울의 도시성장과 자연환경. 1994년 서울학 세미나 I : 서울의 자연과 지리인식체계. 1-14.
- 이용만, 장재훈(1998). 농촌지역의 지형적 환경과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대산논총. 6 : 409-425.
- http://gis-heritage.go.kr/
- 김상협, 최경란 (2010). 조선시대 수변정자건축의 자연추구기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5), 249-256.
- 이제이, 성종상, 손용훈, 김태균(2016). 조선시대 선비들의 행락공간으로서 세검정 일대의 문화경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2): 75-8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2.075
- 이현군(2005). 조선시대 한성부의 형성배경과 입지적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 8(1): 29-39.
- 김영근(2003). 일제하 경성 지역의 사회.공간구조의 변화와 도시경험- 중심-주변의 지역분화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20: 139-180.
- 이상윤, 김용기(1995).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특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1): 1157-1173.
- 노송호, 심우경(2006). 향교(鄕校)와 서원(書院)의 입지 및 외부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적 교육환경 모색.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25-37.
- 조상순(2012).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공간 구성: 기문 및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동양예술. 20(20) : 147-186.
- 김정선(2003). 조선시대 자기가마 구조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문동석(2아3). 한양, 경성 그리고 서울. 서울: 상상박물관.
- 이명엽, 민소리, 김미경, 지혜정(2008). 서울 지역 회곽묘 연구- 서울 은평 . 신내동 유적을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5 : 79-113.
- 최원석(2아6). 조선왕릉의 역사지리적 경관특징과 풍수담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135-150.
- 김동현, 최종희(2015). 시(詩),서(書),화(畵)를 통해 본 18,19세기 한양(漢陽)의 원림 향유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2) : 36-48.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2.036
- 정치영(2013).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의 활동. 역사민속학. 42 : 37-70.
- 이경준(2006). 한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편. 서울: 아카데미서적.
- 함연수. 성종상(2021). 장소기억의 매개로서 느티나무의 의미 고찰 - 역말 원주민과 도곡동 경남아파트 이주민을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3) : 42-55.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3.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