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traditional technique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 Through Comparing properties -

건조물 문화재 수리에 있어서 전통기술의 적합성 연구 - 기술의 속성 비교를 통하여 -

  • Received : 2022.06.16
  • Accepted : 2022.09.06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raditional building technique has been used as the main technolog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in South Korea. It has remained this way with very little resistance until now. But the time has come to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traditional technique as conservation technique. In this paper a study was done on the properties of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technique in order to define the appropriateness between the two techniques. As a result the traditional technique was found to be unfit for conservation technique.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the time when the heritage was first built. Second, conservation work is about retaining the values of being a heritage while the traditional technique is about safeness and practicality. Third, the use of traditional technique comes with using the tools of its time which cannot ensure the safety of the heritage. The traditional technique must be looked upon as one of an option in the field of conservation. We must develop a better conservation technology by finding balance between the traditional technique and modern science. And further more an aggressive investment must be made in order to realize this objective.

Keywords

References

  1. 강현, 「건축문화유산 보존과 관련된 전통기술 논의 고찰-숭례문 복구에 있어서의 전통기술 적용 논란을 중심으로」, 「문화재」 Vol.47 No.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2. 강현, 「건축문화재의 원형 개념과 보존의 관계-한국 목조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문화재」 Vol.49 No.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3. 고주환, 「문화재 수리 현장의 관리와 운영」, 「2014년 03월 월례학술세미나 : 문화재 수리의 현실과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수리 보고서 I」, 2017
  5. 권영길, 「한.중.일의 공간조영」, 서울, 도서출판 국제, 2008
  6. 김시현.정용재,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 분석」, 「문화재」 Vol.55 No.2,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7. 김왕직, 「문화재 수리 기술의 현황과 개선방향」, 「2014년 03월 월례학술세미나 : 문화재 수리의 현실과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8. 김종수, 「한국 문화재 제도의 탄생-형성과 변천, 성립의 생생한 역사」, 서울, 민속원, 2020
  9. 奈良県敎育委員會, 「國宝 唐招提寺金堂修理工事報告書[本編1]」, 2009
  10.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994
  11. 문화재청, 「근정전 수리공사 및 실측조사보고서(상)」, 2003
  12. 문화재청,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2022
  13.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서울남대문수리보고서」, 1966
  14. 「영건일감」
  15. 윤홍로, 「전통건축의 설계 수리 보강에 대한 소고/03. 특별강연」,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16.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전통건축 수리기술 사례집 01 - 목부재 재사용을 위한 보수.보강 사례」, 2021
  17. Jean-Pierre Babelon.Andre Chastel, 「문화재의개념」, 김예경 역, 서울, 아모르문디, 2016
  18. 「강원도민일보」(www.kado.net)
  19. 「고려대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 「두산백과」(doopedia.co.kr)
  21.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22. 조선왕조실록(sillok.history.go.kr)
  23. 한국사데이터베이스(db.history.go.kr)
  24.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