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작업현장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인지 점검체크리스트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pection Checklist for Risk Recognition to Prevent Accidents at Worksites

  • 투고 : 2022.08.28
  • 심사 : 2022.09.21
  • 발행 : 2022.10.31

초록

Even th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reinforcement of policies to safeguard accidents at workplace and work sites were implemented.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such as inspection and diagnosis are urgently required to induc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each type of work, before the work task to eliminate risks at the worksites. Since safety inspections at work sites were generally conducted through visual inspections, the results of safety inspec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findings and proficiency of the safety officers. The results of those inspections may have loopholes to prevent potential accidents at wo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isk identification checklist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safety inspections to prevent accidents at work sites. This study initially analyzed the previously developed accident checklist to identify current complications and issues in safety checklists. Based on the findings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 workplace, and work type were analyzed refereeing the safety inspection standards. A risk recognition-checklist was developed to provide basic data on identifying risk factors, and inspection guidance at work sites. To prepare for potential accidents by identifying and taking countermeasures to mitigate the high risk and serious accidents at sites by the guidelines of the checklist. The developed inspection checklist has been practically used by experts at work sites to perform safety inspections, and it has been verified its suitability, and feasibility, to prevent or mitigate workplace accidents, including securing the safety and health of field workers. The role of the developed safety checklist has been considered effective at worksites.

키워드

1. 서론

작업 및 건설현장의 산업재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감독 강화정책이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만인율은 답보상태에 있다. 더욱이, 작업자들은 다양한 위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어 사고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현장 작업자의 안전보건 확보를 포함한 산업재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공사종류 및 공종별 맞춤형 지도·점검의 예방적 조치 등 사고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체계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작업 시작 전 공종별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조사 실시를 유도하고, 공정이 진행 중인 현장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점검, 진단 등 재해예방활동이 절실히 요구된다[1].

건설 및 작업 현장의 안전점검은 일반적으로 육안점검이 주로 시행되기 때문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판단과 숙련도에 따라 안전점검 결과는 달라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신규 안전 관리자나 공사감독자의 점검수준 향상은 사고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에 대한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특히, 현장근로자가 작업 및 위험인지 시 주요행동, 숙련된 안전관리자나 감독이 안전점검을 수행할 때의 주요 확인요소, 현장의 잠재적 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하기 위해 무엇을 중점적으로 보고 판단하는지 등에 대한 경험적 노하우에대한 공유가 필요하다[2].

현장에서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KRAS (Korea Risk Assessment System), JSA (Job Safety Analysis) 등 위험성평가 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위험성평가 기법은 평가 수행을 위해전자매체가 필요하거나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는경향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반면 체크리스트기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축적된 정보를기반으로 빠른 시간 내 위험요인을 도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김의식[3]은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 점검실태연구결과를 보면 현재 기술지도 담당 사업장의 안전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미만이 35%, 2시간미만이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검 전 현장에 투입된 장비, 주요 점검사항 등에 대해 사전정보를 파악하고 점검을 수행하는 자는 단지 6%로에 불과하여 단순 감독기관에 보여주기식 점검실적으로 활용될 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점검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하고 있다. 반면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안전사고예방은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중대재해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현장에서 사고예방을 위해 안전점검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사고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위험인지 점검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 현장에서 활용 중인 대부분의 체크리스트는 점검 항목수의 편차가 크고 확인사항이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점검자 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산업재해 사례를 통해 주요 공정 및 사고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점검항목 및 관련사진을 표기하여 작업현장에서 손쉽게 주요작업 유형별로 실무적인 점검이 가능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먼저 선행 개발된 점검 체크리스트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체크리스트의 방향을 설정하였고, 재해현황 분석 을 통해 위험요인의 구성요소와 점검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체크리스트를 작성한 후 작업현장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점검체크리스트를 완성하였다.

재해현황은 안전보건공단에 등록된 최근 3년 동안(2018∼2020) 발생한 중대산업재해의 주요사고 원인과 점검기준, 항목 및 사고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주요사고 발생공정(작업)과 원인 주체, 인적피해 수준 등 위험성과 관련된 내용들을 키워드화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사고발생의 인과관계, 예방책 등에 관한 이론적고찰을 바탕으로 위험도가 높은 주요공사 공정별및 장비별로 점검방법과 항목을 가이드한 점검체크리스트를 개발한 후 전문가 (숙련된 안전관리자 및감독)들이 작업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개발된 점검체크리스트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3. 이론적 고찰

점검 체크리스트는 숙련된 안전관리자와 같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비전문가들, 특히 신입감독들이 쉽게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토록 하여 실질적인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점검체크리스트들을 살펴보면, 점검항목과 방법의 수준이 너무 높으면 점검자가 수행하기 어렵고, 이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겉핥기식 점검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반대로 수준이 너무 낮게 되면 점검자가 수행해야 할 점검항목이 많아지고 시선이 분산되어 정작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위험 포인트를 간과하게 된다.

작업현장에 적용되는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관리법 등 모든 세부적인 기준을 점검하기에는 현장여건상 수행이 불가하며, 점검자의 수준향상을 위한 지식습득과정은 오랜 시간과 경험이 필요하다.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서는 사고원인을 인적요인(Human Error)에 초점을 두었다면 제임스리즌 (James T. Reason)이 제시한 스위스 치즈모델은시스템요인을 기반으로 사고나 재해는 한 두가지의원인으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Fig. 1과 같이여러 가지 원인이 동시에 존재해야 발생가능하다는

SOOOB6_2022_v25n5_811_f0001.png 이미지

Fig. 1 Swiss cheese model

것이다[5]. 즉, 단 한 가지 위험요소의 확인 실수가 사고와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도 작업현장의 모든 사항이 아닌 기본적인 중요 포인트 확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현장에서 요소별 체크의 주요 문제점인 과다한 점검 항목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크대상을 해당 점검항목 및 요소별 기준을 산업안전보건공단에 등록된 최근 3년간(2018∼2020) 발생한 중대산업재해[6]의 주요사고유형별 원인과 건설기계·장비별(작업) 중대사고원인과 연계성을 Table 1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점검필수 항목과 연계된 위험요소를 비교분석하여 점검기준을 선정하였다.

Table 1. Fatal causes by accident type and construction machinery(number of people)

SOOOB6_2022_v25n5_811_t0001.png 이미지

4. 연구결과

4.1 위험인지 점검 체크리스트 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검체크리스트는 Fig. 2와 같이 작업 전·중·후 단계별 점검으로 구분하여 작업 전·후 단계에서는 모든 작업의 공통적인 체크포인트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작업 중 단계에서는 점검자가 체크리스트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공정및 장비별(12가지)로 위험요인 제거활동이 연계될수 있게 작성하였다.

SOOOB6_2022_v25n5_811_f0002.png 이미지

Fig. 2 Main inspection checklist

점검 체크리스트 각 항목의 상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Yes/No형태의 확인사항(Check point)과 관련그림을 표기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Fig. 3 과 같이 양식을 구성하였고, 점검항목은 작업유형별로 주요 점검포인트인 6∼7가지로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크리스트의 그림은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안전교육 및 현장 안전교육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안전보건공단의 그림을 활용하였다[6].

SOOOB6_2022_v25n5_811_f0003.png 이미지

Fig. 3 Inspection checklist for crane-work(sample)

4.2 전문가집단(FGI)을 통한 검증

개발된 점검체크리스트 구성 및 형식의 타당성과 세부요소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집단을  통해 현장에 직접 적용한 결과 사용적합성과 직무적합성으로 구분하여 Table 2와 같이 나타났다.

Table 2.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

SOOOB6_2022_v25n5_811_t0002.png 이미지

사용 적합성은 구성 및 형식의 상세정도, 서술의상세 정도 및 이해가능성이고, 직무적합성은 작업현장과 일치성 및 점검·지도 직무에서의 적합성을 의미한다[7]. 설문조사 및 인터뷰에 참가한 전문가는안전관리자 및 감독경력이 10년 이상의 현장숙련자 24명을 선정하였다. 점검체크리스트의 사용적합성과 직무적합성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가 98.5%이상으로 타당성이 검증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선별된점검항목 6∼7개수는 16.7%로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어 향후 점검체크리스트의 보완이 요구된다.

5. 고찰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선행 개발된 점검체크리스트가 비전문가와 신입감독들이 쉽게 현장에서 활용하기 어렵고, 전문가 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습득과 경험에 오랜 기간이 요구된다. 이에 작업현장에서 점검자의 판단 및 숙련도와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안전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위험인지 점검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재해현황분석을 통해 사고위험발생원인 구성요소와 예방을 위한 점검항목기준을 선정하여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였고, 작업 전·중·후 단계별 점검으로 구분하여 모든 작업의 공통적인 체크포인트와 작업 중 단계에서는 우선 선정된 12가지 주요공정에 대해 점검자가 선택하여 위험요인 제거활동이 연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위험인지 점검체크리스트는 전문가집단을통한 검토과정에서 점검항목에 산업안전보건법, 장비관련법 개정 등 많은 요구사항이 있었으나, 점검수행내용에 대한 현장실사 및 협의를 통하여 실무자들과의 반영과정에서 적절히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점검체크리스트에 대한 주기적인 보완을 위해년 1회 이상 현장의 활용의견을 수렴토록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는 도출된 점검 체크리스트에 대해 많은 현장 적용사례를 반영하지 못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작업현장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진단을 실시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반영하여 점검 체크리스트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6. 결론

현장 작업자의 안전보건 확보를 포함한 산업재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공사종류 및 공종별 맞춤형 지도·점검의 예방적 조치가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에 잠재되어 있는 주요위험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고,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점검체크리스트가 필요하다[8].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중대산업재해 발생 데이터를 토대로 사고원인과 점검기준 등 연계관계를 분석하여 공종별, 장비별 주요 점검항목을 도출하였다. 중대재해발생 위험도가 높은 공종을 진행 중인 현장을 우선 지도, 점검할 수 있도록 안전사고 인지, 조치방안을 마련하여 작업현장의 위험요소 지도, 점검에 대한 기준자료를 제시하고자 위험인지 점검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숙련된 전문가들이 작업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개발된 위험인지 점검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점검을수행하여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점검체크리스트는 중대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점검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사고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기초적인 예방적 조치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 J. Y. Park, "A Study on the Site Safety Inspection by Analysis of Accident Risk by Construction Types", Korean Journal of Safety Culture. 11, 17-18, 2021.
  2. H. J. Nam, H. J. Lee, M. S. Yun, "Exploring Hazard Recognition Methods for Visual Inspection in Construction Site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2021 Convention, 287-288, 2021.
  3. W. S. Kim, "Status of Safety Inspections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Safety Technology of Korea Industrial Safety Association. 96. 19-20, 2005.
  4. Y. R. Cho, Y. S. Shin, & J. K. Shin, "Checklist Development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in Form Work in Smal 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Korea Inst. Constr, 17(6), 587-594, 2017.
  5. K. S. Yu, J. M. Kim, "A Study on the Form of Electric Shock Accident Using Swiss Cheese Model",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7(12). 1711-1712, 2018. https://doi.org/10.5370/KIEE.2018.67.12.1711
  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 data field | integrated archive. Retrieved March 10, 2022, from https://www.kosha.or.kr/kosha/data/mediaBankMain.do.
  7. S. J. Kim, T. I. Jang, Y. H. Lee.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Ergonomic evaluation of work procedures in Nuclear Power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39-240, 2003.
  8. T. H. Lim, K. Y. Hyun, C. T. Hyun, "Development of Integrated Checklist for Fire Protection Design of Chemical Pla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8(2). 110-113,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