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바일 앱 활용 치아형태학 수업에서의 학습 만족도 제고 요인

Factors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in Dental Morphology Class Using the Mobile Apps

  • 이승희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학과) ;
  • 정효경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학과)
  • 투고 : 2022.09.14
  • 심사 : 2022.10.04
  • 발행 : 2022.10.31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4 freshmen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 University to examine the effect of dental morphological practice mobile application utilization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lass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Major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atisfaction and utility towards functions of mobile application strengthened positive perception of dental morphology class, leading to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learning, which suggested that functional convenience and utility in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the effective factor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Those results need to be given important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class using the mobile applications.

키워드

1. 서론

COVID-19 이후 우리는 대전환 시대에 살고 있다. 특히, 원격교육 및 수업이 일상화되면서 실감 콘텐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디지털 학습 플랫폼을 통한 새로운 교육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학습 플랫폼은 시간, 공간, 비용을 초월하고 있으며 이에 적용된 ICT 등 각종 기술들은 우수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기기 및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육방식은 학습자들의 고차원적인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학습의 디지털화 추세에 발맞추어 대학 치과기공학과 수업내용 중 1학년학생들이 학업 성취에 다소 난이도가 있다고 느낄 수 있는 치아형태학 수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학습을 진행한 후, 이에 따른 수업 인식 및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연구설계

2.1 연구모형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의 가설을 수립하였고, 검증을 위해 <Fig. 1>과 같이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SOOOB6_2022_v25n5_869_f0001.png 이미지

Fig. 1 Research model

[가설 1]

  • H0 : <성별>에 따른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의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없을 것이다.
  • H1 : <성별>에 따른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의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있을 것이다.

[가설 2]

  • H0 : <성별>, <앱 구성평가>는 <앱 활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 H1 : <성별>, <앱 구성평가>는 <앱 활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 H0 : <성별>,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 인식>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 H1 : <성별>,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 인식>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본 연구를 위해 D대학교 재학생 54명을 표본으로 설정하였으며, 소규모 표본의 정규성 검증을 위해 Shapiro-Wilk Test를 실시한 결과,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들에 대해서 모두 유의확률 0.0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표본의 정규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앱 구성평가> 항목은 KMO값 0.825,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근사 카이제곱 값 376.350(df=55), 99.9%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제시 적절성>, <내용구성 타당성>, <상호 작용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0.770, 0.802, 0.755로 나타났다.

<앱 활용 수업 인식> 항목은 단일요인으로 확인되었고, KMO값 0.749,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근사 카이제곱 값 687.527(df=105), 99.9%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계수는 0.750으로 나타났다.

<학습 만족도> 항목은 단일요인으로 확인되었고, KMO값 0.908,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근사 카이제곱 값 589.409(df=28), 99.9%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계수는 0.971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각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의 요인별 적재값이 모두 0.75를 상회하고, 공통성 값 역시 0.5 이상에 Cronbach’s alpha 신뢰도 계수도 전반적으로 0.75 이상으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측정항목의 조작적 정의 및 범주/척도

본 연구에서는 방관욱(2019)이 모바일 앱의 교육효과 검증을 위해 활용한 설문을 기반으로 박종태·박사범·이정은(2016)이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 카빙 실습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 도구를개발할 때 활용한 타당도 평가 개념을 접목하여 Table 1과 같이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실시하였다(측정항목을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른 요인 구분 결과에 따라 최소값 1*(요인별 문항수), 최대값 5*(요인별 문항수)의 범주를 가지는 단일요인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함)[2-4].

Table 1. Operative definition of measure ment items

SOOOB6_2022_v25n5_869_t0001.png 이미지

2.4 연구방법론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Statistics 21.0을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다중회귀분석의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2.5 연구의 차별성

본 연구는 박종태·박사범·이정은(2016)의 치아카빙 수업에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도구 개발에 관련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수업에 적용·활용하여 수업인식 및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차별성을 가진다[2].

3. 인구통계학적 및 응답 자료 분석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응답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Table 2. Statistics of demographic data (by gender)

SOOOB6_2022_v25n5_869_t0002.png 이미지

Table 3. Analysis of response data (app structure evaluation)

SOOOB6_2022_v25n5_869_t0003.png 이미지

Table 3. (Continued)

SOOOB6_2022_v25n5_869_t0009.png 이미지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 50.0%, 여성 50.0% 로 나타났고, 앱 구성평가 결과 관련 항목의 내용제시 적절성에서는 만족 범주 응답을 기준으로 <제목, 타이틀 디자인 및 콘텐츠 구성의 적절성> 90.8%, <컬러, 사진, 그래픽의 시각적 호소력 증진의 적절성> 90.7%, <학습 내용 이해의 적절성> 90.7%로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용구성 타당성에서도 긍정 범주 응답을 기준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구성> 87.0%, <메뉴 및 버튼 사용의 단순성> 92.6%. <제시 정보의 주의 집중성> 87.0%, <정보 전달의 명확성> 94.5%, <제시되는 정보의 적절성> 85.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 작용성에서도 긍정 범주를 기준으로 <학습 순서. 속도의 학습자 통제 가능성> 83.3%, <내용 이해의 용 이성> 98.1%, <주 화면으로 돌아오는 기능의 편리 성> 85.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앱 활용 수업 인식 관련 항목에서는 <AR 활용수업의 어려움> 항목에서 77.7%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치아 조각의 어려움> 74.0%, <스마트기기 사용의 어려움> 79.6%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그 밖의 항목에서는 만족 범주 응답을기준으로 <설명 수업 대비 흥미 비교우위> 33.4%, <수업 참여의 적극성> 68.5%, <타 과목에서의 AR 활용 희망> 57.4%, <주의집중> 66.7%, <설명 수업 대비 몰입 비교우위> 40.8%, <치아형태학 공부에 대한 관심> 46.3%, <수업 수준의 적절성> 70.4%, <설명 수업 대비 학업도움 비교우위> 50.0%로 나타났고 <AR의 수업 적용 적합성> 83.3%, <AR의 지식 습득 효과성> 75.9%, <AR의 자료 탐색 용이성> 81.4%, <AR 활용의 전반적 유용성> 57.4%로 확인되었다.

Table 4. Analysis of response data (perception of class using the app)

SOOOB6_2022_v25n5_869_t0004.png 이미지

Table 4. (Continued)

SOOOB6_2022_v25n5_869_t0010.png 이미지

Table 5. Analysis of response data (satisfaction with learning)

SOOOB6_2022_v25n5_869_t0005.png 이미지

마지막으로 학습 만족도 관련 항목에서는 만족 범주 응답을 기준으로 <수업 전반 만족도> 77.7%, <높은 수준의 학습수준 도달> 75.9%, <수업 진행 방법 만족> 83.3%, <수업내용 만족> 83.3%%, <학습 양의 적절성> 81.4%, <충분한 확인과 점검> 75.9%, <수업받는 방식의 편리함> 83.3%, <수업에 대한 충분한 안내와 설명> 75.9%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AR을 활용한 수업에서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6. Results of difference by gender in app structure evaluation, perception of class using the app, satisfaction with learning

SOOOB6_2022_v25n5_869_t0006.png 이미지

4. 연구 결과

4.1 <성별>에 따른 <앱 구성평가>, <앱 활 용 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의 평균 차이(가설 1 검증)

성별에 따라 응답자들의 <앱 구성평가 결과>, <앱 활용 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응답자들의 App 활용 구성평가 결과, App 활용 수업 인 식, 학습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채택되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른 <앱 구성평가 결과>, <앱 활용 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4.2 <성별> 및 <앱 구성평가>가 <앱 활용 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가설 2 검증)

응답자들의 성별 및 앱 구성평가가 앱 활용 수업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성별>, <앱 구성평가>의 하위요인들(내용제시 적절성, 내용구성 타당성, 상호 작용성)을 설정하고, 종속변수로 <앱 활용 수업 인식>을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앱 구성평가> 요인 가운데 <상호 작용성>이 <앱활용 수업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확인할 수 있는데, <상호 작용성>이 높을수록 <앱활용 수업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0.333). 이는 앱 활용 과정에서 앱 자체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부분이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는것으로 분석되며, 앱을 활용한 수업 진행에 있어 중요하게 판단할만한 요인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값은 0.372(=0.420)으로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37.2%로 나타났고,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의 VIF 값을 확인해 본 결과 모두 10 이하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별 및 구성평가가 앱 활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2는 <앱 구성평가> 하위 요인 중, <상호 작용성>이 <앱 활용 수업인식>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가설을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Table 7. Effect of app structure evaluation on the perception of class using the app

SOOOB6_2022_v25n5_869_t0007.png 이미지

*: p<0.05 =0.420, =0.372

4.3 <성별> 및 <앱 구성평가>가 <앱 활용 수업 인식>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가설 3 검증)

응답자들의 성별,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 인식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수인 <성별>, <앱구성평가>의 하위 요인들(내용제시 적절성, 내용구성 타당성, 상호 작용성)과 <앱 활용 수업 인식>을 설정하고, 종속변수로 <학습 만족도>를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독립변수는 <앱 구성평가(상호 작용성)>과 <앱활용 수업 인식>으로 확인되었고 세부적으로 살펴보 면, <앱 구성평가(상호 작용성)>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0.263), <앱활용 수업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학습 만족도>가높은 것으로 나타났다(=0.553). 앞선 가설 2의<앱 구성평가(상호 작용성)>이 <앱 활용 수업 인식> 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에 비추어 보았을 때, 가설 3을 통해 모바일 앱을 활용한 수업에 있어 <학습 만족도>로 이어지는 영향 경로를 추정할 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Table 8. Effect of the app structure evaluation results and the perception of class using the app on the satisfaction with learning

SOOOB6_2022_v25n5_869_t0008.png 이미지

*: p<0.05, **: p<0.001 =0.612, =0.572

값은 0.572(=0.612)로 독립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62.9%로 나타났고,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의 VIF 값을 확인 결과 모두 10 이하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성별, 구성평가 결과, 활용 수업 인식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3은 <앱 구성평가> 하위 요인 중, <상호 작용성> 과 <앱 활용 수업 인식>이 <학습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가설을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5.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5.1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치아형태학 실습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수업 인식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검증을 통해 학습효과를 추정하는 것이 목적으로 주요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 따른 <앱 구성평가>, <앱 활용수업 인식>, <학습 만족도>의 평균 차이(가설 1)는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치아형태학 실습수업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차이는 확인할 수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앱 구성평가>가 <앱 활용 수업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가설 2)에서는 <앱 구성평가> 하위 요인 중, <상호 작용성>이 높을수록 <앱 활용 수업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호 작용성> 요인의 주 내용이 “학습자가 학습의 순서, 속도 등을 애플리케이션에서 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위한 기능 설명 등의 내용이 이해하기 용이하게되어있는지의 여부”, “기능 간 이동속도 및 편의성” 등으로 구성된 측면을 생각해보았을 때, 애플리케이션에 탑재된 치아형태학 관련 콘텐츠 측면보다는 애플리케이션 활용함에 있어 기능적 측면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였다.

그리고 <성별>, <앱 구성평가>, <앱 활용 수업인식>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가설 3)에서는 <앱 구성평가> 하위 요인 중, <상호 작용성>이 높을수록, <앱 활용 수업 인식> 이 긍정적일수록 <학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 타났는데, 이를 가설 2의 결과와 연계하여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앱 구성평가(상호 작용성)> → <앱 활용 수업 인식> → <학습 만족도>로 이어지는 영향 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앱 구성평가(상호 작용성)>이 <학습 만족도>로 미치는 영향 경로에서는 직접효과(0.263)와 간접효과(0.333×0.553=0.184) 모두 나 타났으며, 최종적으로 0.447의 효과계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적 만족감·효용감이 치아형태학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강화해주고, 이를 통해 학습 만족도가 향상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결과이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치아형태학 수업에서의 학습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요인으로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있어서의 기능적 편리함, 효능감 등이 작용하고 있는 측면은 향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설계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할만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5.2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D대학교에서 수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로서 지역적 소규모 표본의특성이 있으므로, 연구 결과를 광범위하게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또한 치아형태학 수업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측면에서 다른 학문 분야 등에서는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도출될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참고문헌

  1. 이유나, 김애자, and 김길숙. "유아교육용 앱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간의인식 비교." 교육혁신연구 26.3 (2016): 267-288. https://doi.org/10.21024/PNUEDI.26.3.201612.267
  2. 방관욱. "'물질의 구성입자' 개념에서의 스마트교육 애플리케이션 활용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서울
  3. 박종태(Jong-Tae Park), 박사범(Sa-Beom Park), and 이정은(Jeong Eun Lee).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2016): 546-557.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546
  4. 김선경, 엄미란, 이영호, 고영혜, Kim Sun Kyung, Eom Mi-Ran, Lee Youngho, and Go Younghye. "모바일 앱 기반 간호대학생 핵심간호술 자가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10 (2021): 343-352. https://doi.org/10.15207/JKCS.2021.12.10.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