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Building Digital Capacity of Museum Professionals through the Use of Virtual Museum

가상박물관 활용을 통한 박물관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방안 연구

  • 김선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산업학과) ;
  • 이종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산업학과)
  • Received : 2022.06.24
  • Accepted : 2022.10.07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e overall digital transformation in society is rapidly progressing with the corona virus epidemic.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and museums, digital transformation is taking place throughout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o respond to thi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the digital literacy of museum professionals to select and utilize digital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 current digital capacity education of museum professionals has not reached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due to one-way theory and one-way practical education. To overcome this, we propose a digital capacity building program using virtual museums. We propose a curriculum based on participatory museums, cooperative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theories. Learners experience the entire process of acquiring, selecting, and utilizing digital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through individual, cooperative, constant, exhibitions, and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s. We were evaluated by experts in terms of education, museum education, and ICT technology education to prove its usability and derive improvemen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the digital capacity of museum professionals.

사회 전반적인 디지털 전환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과 함께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 및 박물관 분야에 있어 디지털 전환은 문화유산의 보존, 관리, 활용의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문화유산 정보를 선택, 활용하기 위한 박물관 전문인력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박물관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교육은 일방향적인 이론과 일방향적 실습 교육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디지털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우리는 참여적 박물관, 협동학습,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한 교육 커리큘럼을 제안한다. 학습자는 디지털 문화유산 정보의 획득, 선택, 활용하는 전 과정을 개별, 협동, 상시, 전시물, 프로젝트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한다. 우리는 전문가로부터 교육적 측면, 박물관 교육 측면, ICT 기술 교육 측면에서 평가받아 그 활용성을 입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박물관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원 학술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임철일, "미래 사회와 교육을 위한 교육공학 연구 및 실천 영역의 재조명," 교육공학연구, 제35권, 제2호, pp.253-287, 2019.
  2.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45656.html
  3. 문화재청, 미래 문화재 정책과 행정서비스 혁신을 위한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계획, 2021.
  4. 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Museums and Collections, their Diversity and their Role in Society, 2015.
  5. 나형남, "뉴노멀 시대의 박물관 플랫폼 확장과 의의," 제15회 한국박물관국제학술대회 및 제45회 박물관학학술대회 자료집, pp.35-52, 2021.
  6. https://www.sciencetimes.co.kr/news/디지털-리터러시가-국가-경쟁력이다/
  7. Simon, The Participatory Museum, Museum 2.0, 2010.
  8. 전성연, 최병연, 이흔정, 고영남, 이영미, 협동학습 모형 탐색, 학지사, 2010.
  9. S. Kagan and S. Kagan, Cooperative learning, Kangan Publishing, 1994.
  10. H. S. Barrows and A. C. Myers,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School, and South Illinois University Medica school, 1993.
  11. https://www.vi-mm.eu/2018/01/10/the-vimm-definition-of-a-virtual-museum.html
  12. 박재영, "디지털박물관 전시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제33호, pp.149-183, 2014.
  13. 이민수, 박물관 환경 변화와 사이버박물관의 발전 가능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4. ICOM International Committee for Museology (ICOFOM), Key Concepts of Museology, Armand Colin, 2010.
  15. 강인애, 가상박물관의 교육적 활용, 문음사, 2011.
  16. 이현민, 김미수, "온라인 교육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활용 수업 개발 및 운영 사례-가상박물관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81-96, 2020.
  17. 이종욱, "가상박물관 저작을 통한 문화유산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1979-1986, 2019.
  18. 최광식, 남윤재,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의 진정성과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소통학보, 제20권, 제2호, pp.77-118, 2021.
  19.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