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company Facilitator A Study on Roles and Team Creativit - Through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eam Empowerment

기업 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팀 창의성에 관한 연구 - 혁신지향문화와 팀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 이은정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 서영욱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Received : 2022.08.25
  • Accepted : 2022.09.26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In research on the role of facilitators, studies on the effects of facilitators who conduct meetings and workshops within companies on innovation-oriented culture, team empowerment, and team creativity are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role of the facilitator (process management, change management) on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eam empowerment, and the effect on team creativity by mediating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eam empowerment. To this end, we surveyed members with experience in facilitating workshops at domestic companies and analyzed 299 collected data using SPSS 24 and Smart PLS 3.0. (+) had an effect. Seco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eam empower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team creativity. Third, the role of the facilitat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eam creativity by mediating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eam empowerment.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the facilitator and other variables was explored and theoretically expand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the facilitator and enhancement of creativity required by the organization were presented.

퍼실리테이터 역할에 대한 연구에서, 기업 내 회의 및 워크숍 진행을 하는 퍼실리테이터가 혁신지향문화, 팀 임파워먼트,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프로세스 관리, 변화 관리)이 혁신지향문화, 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지향문화와 팀 임파워먼트를 매개하여 팀 창의성에 주는 영향을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퍼실리테이션 워크숍 경험이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수집된 자료 299건은 SPSS 24와 Smart PLS 3.0을 사용해 분석한 결과, 첫째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혁신지향문화와 팀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혁신지향문화와 팀 임파워먼트는 팀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혁신지향문화와 팀 임파워먼트를 매개하여 팀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조직에서 요구하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창의성 증진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선미, 이철영, "광고회사 종사자의 조직문화 인식과팀 창의성 및 팀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광고 PR 실학연구, 제8권, 제4호, pp.15-38, 2015.
  2. B. T. Gregory, S. G. Harris, A. A. nakis, and C. L. Shook,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A study of values,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2, No.7, pp.673-679, 2009. https://doi.org/10.1016/j.jbusres.2008.05.021
  3. 홍소정, 심명정, 이윤수,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와 HR 부서의 전략적 역할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경영공학회지, 제26권, 제3호, pp.99-119, 2021.
  4. J. A. Conger and R. N Kanungo,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No.3, pp.471-482, 1988. https://doi.org/10.2307/258093
  5. L. J. Konczak, D. J. Stelly, and M. L. Trusty, "Defining and measuring empowering leader behaviors: Development of an upward feedback instru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0, No.2, pp.301-313, 2000. https://doi.org/10.1177/00131640021970420
  6. 이병준, 한현우, "담화분석을 통한 조직문화 진단 연구:회의과정에서의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제45권, pp.125-147, 2015.
  7. R. M. Schwarz, The skilled facilitator: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consultants, facilitators, managers, trainers, and coaches, john Wiley & Sons, 2002.
  8. K, Hori, 임해성(번역), 퍼실리테이션 테크닉 65, 비즈니스맵, 2014.
  9. 염우선, 송영수,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 역량에 대한 중요성 및 수행수준 인식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CPF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 와 기업 내 HRD 담당자를 중심으로," 산업교육연구, 제22권, pp.67-88, 2011.
  10. 이명희, 정기수,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243-257,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1.243
  11. G. Bertella, S. Lupini, C. R. Romanelli, and X. Font, "Workshop methodology design: Innovation-oriented participatory processes for sustainability,"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89, 2021.
  12. C. J. Chataway, "The Problem of Transfer from Confidential Interactive Problem-Solving: What Is the Role of the Facilitator?," Political Psychology, Vol.23, No.1, pp.165-189, 2002. https://doi.org/10.1111/0162-895X.00276
  13. 송선정, 박석준, "한국어교육에서의 퍼실리테이션 (Facilitation) 기법 활용 방안," 언어사실과 관점, 제39권, pp.335-360, 2016.
  14. https://www.facilitator.or.kr:448/business/business01_4.php, 2022.08.23
  15. https://www.iaf-world.org/site/professional/core-competencies, 2022.08.23
  16. 송영수, "기업 내 HRD 활동을 위한 퍼실리테이터 (Facilitator) 의 역할 및 필요역량 탐색,"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12권, pp.51-72, 2010.
  17. R. E. Quinn, and J. R. Kimberly,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Vol.2, No.9, pp.5-13, 1984.
  18. R. E. Quinn and J. Rohrbaugh, "A Spatial Model of Effectiveness Criteria: Towards a Competing Values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29, No.3, pp.363-377. 1983. https://doi.org/10.1287/mnsc.29.3.363
  19. 권중생, "혁신적 조직문화가 인적자원의 혁신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제26권, 제1호, pp.153-182, 2011. https://doi.org/10.22903/JBR.2011.26.1.153
  20. J. Wynen, K. Verhoest, E. Ongaro, S. Van Thiel, and in Cooperation with the COBRA Network, "Innovation-oriented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Do managerial autonomy and result control, lead to innovation?," Public Management Review, Vol.16, No.1, pp.45-66, 2014. https://doi.org/10.1080/14719037.2013.790273
  21. K. S. Cameron,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John Wiley & Sons, 2011.
  22. R. F. Zammuto and J. Y. Krakow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Vol.5, pp.83-114, 1991.
  23. 박원우, "임파워먼트: 개념정립 및 실천방법 모색," 경영학연구, 제26권, 제1호, pp.115-138, 1997.
  24. K. W. THOMAS and B. A. VELTHOUSE,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5, No.4, pp.666-681, 1990.
  25. 이광희, 김진호, 노명화, 손승연, "공유 리더십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특전사 팀을 중심으로," 인적자원 관리연구, 제20권, 제3호, pp.145-166, 2013.
  26. 조윤희, 조성용, 홍계훈, "진성리더십과 팀 임파워먼트가 팀 몰입과 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코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대한경영학회지, 제30권, 제4호, Routledge, pp.112-133, 2017.
  27. 윤정헌, "호텔기업 종사원의 리더쉽과 팀임파워먼트 및 성과의 구조적 관계," 일본근대학연구, 제14권, pp.215-232, 2006.
  28. 유영주, 김진모, "대기업 팀의 학습과 팀장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응집력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9권, 제1호, pp.55-83, 2017.
  29. B. L. Kirkman and B. Rosen, "Beyond self-managemen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eam empower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2, No.1, pp.58-74, 1999.
  30. K. W, Thomas and B. A. Velthouse,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 "interpretive" model of intrinsic task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5, No.4, pp.666-681, 1990.
  31. P. Paulus, "Groups, teams, and creativity: The creative potential of idea-generating groups," Applied psychology, Vol.49, No.2, pp.237-262, 2000. https://doi.org/10.1111/1464-0597.00013
  32. R. W. Woodman, J. E. Sawyer, and R. W. Griffin,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2, pp.293-321, 1993. https://doi.org/10.2307/258761
  33. 한인수, 노풍두, "팀 창의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 ICT 연구개발 조직을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 제41권, 제2호, pp.115-150, 2019.
  34. J. R. Hackman, R. E. Walton, and P. S. Goodman, Leading Groups in organizations. Designing Effective work Groups, San Francisco: Jossey-Bass, pp.72-119, 1986.
  35. M. C. Schilpzand, D. M. Herold, and C. E. Shalley, "Members' openness to experience and teams' creative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Vol.42, No.1, pp.55-76, 2011. https://doi.org/10.1177/1046496410377509
  36. D. Leonard-Barton and W. C. Swap, When sparks fly: Igniting creativity in groups, Harvard Business Press, 1999.
  37. 박원우, 김재원, 최혜원, "레벨이슈 (Level Issue) 의 의미, 현상 및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제11권, pp.199-233, 2003.
  38. 김은실, 백윤정, "리더의 창의성 지원이 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제23권, 제4호, pp.1-30, 2020.
  39. C. Hogan, Understanding facilitation: Theory and principle, Kogan Page Publishers. 2005.
  40. L. L. Gilson and C. E. Shalley, "A little creativity goes a long way: An examination of teams' engagement in creative processes," Journal of management, Vol.30, No.4, pp.453-470, 2004.
  41. 조대호, 프로세스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S전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42. 박용익, "대화 텍스트의 분석을 위한 방법과 절차: 텔레비전 드라마 속에 나타난 협의 대화를 예로," 인문과학, 제86권, pp.259-287, 2004.
  43. 정연수, 최은수, "중등학교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교사리더십, 학교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pp.151-173, 2014. https://doi.org/10.24211/TJKTE.2014.31.3.151
  44. 이지효, KT '1등 워크숍'으로 국내 최초 '2019 ATD 어워드' 수상, 한국경제TV, 2019.
  45. 윤정헌, "호텔기업 종사원의 리더쉽과 팀임파워먼트 및 성과의 구조적 관계," 일본근대학연구, 제14권, pp.215-232, 2006.
  46. 김경민, "계급장 떼고 끝장토론, 그리고 피드백 KT 1등 워크숍, 20년 혁신과제 풀다," 동아비즈니스리뷰 (DBR), 제236호, 2017.
  47. R. Florida,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Just Labour, 2002.
  48. 박동진, 장은영, "혁신조직문화가 셀프리더십, 창의성, 그리고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211-229, 2016.
  49. R. W. Woodman and L. F. Schoenfeldt, Handbook 01 Creativity, New York: Plenum, 1993.
  50. H. C. Sashittal and A. R. Jassawalla, "Culture that Support Product-InnovationProces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s, Vol.16, No.3, 2002.
  51. 박만주, "서비스 기업의 혁신문화가 종사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조직의 LMX 질을 조절 효과로," 관광연구, 제26권, 제4호, pp.201-216, 2011.
  52. 김문주, 이지예, 윤정구, "리더와 구성원의 리더십 이중주: 팀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변혁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지식경영연구, 제14권, 제3호, pp.55-85, 2013. https://doi.org/10.15813/KMR.2013.14.3.004
  53. T. M. Amab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Vol.5, Boston:Harvard Business, 1996.
  54. 이선규, 손규환, 강은구, 김영형,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태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 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8권, pp.85-99,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8.85
  55. 김준희, 김지혜, 이재은,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창의성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 HRD 연구 (구 인력개발연구), 제23권, 제4호, pp.1-29, 2021.
  56. 성현정, 탁진국, "코칭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30권, 제3호, pp.373-391, 2017.
  57. 김응조, 홍아정, "공공조직의 진성리더십이 집단창의 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환경적합성의 매개효과," HRD 연구, 제17권, 제2호, pp.1-27, 2015.
  58. 한혜숙, 김영우, "학교장의 진성리더십이 혁신지향조 직문화를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HRD 연구 (구 인력개발연구), 제24권, 제1호 pp.123-152, 2022.
  59. 홍성현, 김민수, "상사의 코칭 행동이 구성원의 LMX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지향 코칭의 조절된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33권, 제4호, pp.621-647, 2020.
  60. 성현정, 탁진국, "코칭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30권, 제3호, pp.373-391, 2017.
  61. 권상집,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pp.77-87, 2022. https://doi.org/10.16972/APJBVE.17.3.202206.77
  62. 노두환, 황경호, "중소.벤처기업의 업종, 영업형태, 조직문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삼원분산분석 (3-way ANOVA) 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4권, 제2호, pp.221-233, 2019. https://doi.org/10.16972/APJBVE.14.2.201904.221
  63. A. Rego, F. Sousa, M. Pina-e-Cunha, A. Correia, and I. Saur-Amaral, "Leader Self- Report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ceived Employee Creativity: An Exploratory Study,"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Vol.16, No.3, pp.50-264, 2007.
  64.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65.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