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f Antecedents of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Healthiness for Senior Citizen at Chungbuk Province

충북 지역 노인들의 삶의 질과 주관적 건강도의 선행요인에 대한 탐구

  • Song, Myungkeun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Dong-A University) ;
  • Lee, Won Seok (Department of Tourism and Recreation, Kyonggil University) ;
  • Moon, Joonho (Department of Tourism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송명근 (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 이원석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
  • 문준호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Received : 2022.08.17
  • Accepted : 2022.09.28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Chungbuk province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aging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s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healthiness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elected perceived healthiness, economic participation, annual travel frequency, religion, and fellowship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account for quality of life. For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implemented econometric analysis, which includes ordinary least square, one-way fixed effect, and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indings - Perceived healthiness positively affected quality of life. Also, quality of lif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economic participation and annual travel frequency. However, religion and fellowship appeared as non-significant attribute to account for quality of life. The results also present that perceived healthines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economic participation, annual travel frequency, and fellowship.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Given the results, this offers the implication for the senior citizen welfare policy. This study also produced policy implication for local community.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보라.김희섭.이미숙. (2014),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159-17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159
  2. 강신욱. (2002), "스포츠사회학: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1(5), 59-70.
  3. 구교만.김춘종. (2016), "척수장애인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1), 155-168.
  4. 구은미. (2016),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7.
  5. 김남진. (2001), "스포츠사회학: 직장 여성들의 운동 실천이 신체적.정신적.주관적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125-137.
  6. 김남현.정민숙, "(2017).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496-50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96
  7. 김미령. (2011), "베이비붐세대, X 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51, 7-34.
  8. 김미숙.박민정. (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9. 김미영.손서희.박미석. (2011),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65-78.
  10. 김민경.조영복. (2019), "빅데이터 기반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3(11), 1351-1356. https://doi.org/10.6109/JKIICE.2019.23.11.1351
  11. 김민희.이주일. (2017),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5), 100-113.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100
  12. 김새봄.최송식.송영지. (2019), "재난피해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74(2), 9-34.
  13. 김석일.박정은. (2015), "필라테스 신체운동 참여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6), 339-349.
  14. 김선영.장병주.이준. (2007), "생태관광동기, 여가만족, 삶의 질의 영향관계 연구", 관광연구, 22(2), 59-76.
  15. 김소영.남궁미. (2019), "지역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4(3), 125-150. https://doi.org/10.16973/JGS.2019.14.3.005
  16. 김수희.정종화.송진영. (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3), 167-191. https://doi.org/10.21194/KJGSW.73.3.201809.167
  17. 김양례. (2009), "여가활동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행복한 삶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0(3), 553-566. https://doi.org/10.24985/KJSS.2009.20.3.553
  18. 김연희.김기순. (2002),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17, 157-189.
  19. 김영미.현선희.송형삼. (2008),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33-46.
  20. 김영애.김문겸. (2017),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351-361.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351
  21. 김윤우. (2014), "복지관광이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9(5), 475-500.
  22. 김의철.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23. 김정운.이장주. (2005),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1-15.
  24. 김지연.홍준희. (2017),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변인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8(4), 27-37.
  25. 김지태. (2011),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의 건강상태지각과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1), 43-55. https://doi.org/10.17006/KJAPA.2011.19.1.43
  26. 김진옥.김남조. (2019), "자연기반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관광객의 마음챙김 (Mindfulness),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43(2), 55-78.
  27. 김진원.임구원. (2019), "노인의 친교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4), 1-15.
  28. 김진현.원서진. (2011), "노후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31(3), 461-478.
  29. 김채옥.송운강. (2007),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1(4), 23-41.
  30. 김철휘.박경준.김기형. (2013),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능력,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8(4), 35-44.
  31. 김희경.이현주.박순미. (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279-292.
  32. 김희선. (2006),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8(2), 117-127.
  33. 나항진. (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53-70.
  34. 남현주.이현지. (2017),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복지, 21, 121-140.
  35. 뉴시스. (2018), "10명 중 4명은 일...삶이 팍팍한 충북 노인들. Retrieved from: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
  36. 문성제.손민성.최만규. (2017), " 신체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변화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7(3), 217-239.
  37. 문태언.변상해. (2012),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자기존중감 및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7(3), 115-120. https://doi.org/10.16972/APJBVE.7.3.201209.115
  38. 박경순.박영란.염유식. (2015), "사회참여가 농촌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3(2), 200-227.
  39. 박경순.박영란.염유식. (2018), "주관적 연령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45(4), 207-228.
  40. 박순미.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305-332.
  41. 박순미.문수열. (2019),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3(4), 191-200.
  42. 박유경.김창엽.황승식. (2018), "미충족의료와 소득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한국의료패널 2009-2014 년도 자료의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47(1), 57-83.
  43. 배나래.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44. 배만규.박상훈. (2008), "청각장애인의 관광활동 만족이 삶의 질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2), 185-205.
  45. 백림정.한진수. (2017), "힐링관광에서의 고객체험이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6(3), 1-17.
  46. 백은령. (2004),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연구, 14(2), 255-280.
  47. 서문진희. (2010), "종교와 노인의 우울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교회사회사업, 12, 67-95.
  48. 설경옥.박지은.박선영. (2012),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 (1995-2011)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617-642.
  49. 손신영. (2006),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50. 송윤경.이은영.전용관. (2016),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 인지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3), 41-56. https://doi.org/10.22472/KPEAW.2016.30.3.41
  51. 송지준.이종남. (2006), "남한거주 탈북자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만족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1(2), 105-124.
  52. 신은보.김문조. (2012), "한국 중년남성의 종교 활동과 삶의 질-원불교 신앙인들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40, 149-177.
  53. 안종철.임왕규. (2014),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4), 189-21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9
  54. 양길승.조은주. (2016), "체험요인에 따른 지각가치와 삶의 질과의 구조 관계: 보성 한국차박물관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0(5), 17-30.
  55. 우희순.최유임. (2017),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참여에 대한 종교 활동의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747-756.
  56. 윤현숙.원성원. (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4), 1077-1093.
  57. 이규진. (2018), "운동재활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6(4), 83-94.
  58. 이명철.강인호. (2012), "지체장애인의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7(2), 369-392.
  59. 이성은.김강민. (2016), "노인의 여행경험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3(6), 887-894.
  60. 이영균.김동규. (2007),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223-250.
  61. 이은숙. (2019), "독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393-408.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393
  62. 이정아. (2019), "지역사회 사회활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및 삶의 만족도", 대한보건연구, 45(2), 107-116. https://doi.org/10.22900/KPHR.2019.45.2.009
  63. 이현송. (2000),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3(1), 91-117.
  64. 이후연.백종태.조영채. (2016),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0), 569-581.
  65. 장신재. (2017),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305-310.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305
  66. 전명수. (2014), "노인의 사회활동, 자아 효능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대전시 중구거주 노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171-17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71
  67. 전명숙. (2018), "장애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 210-22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210
  68. 전성표. (2011), "종교와 삶의 만족도: 불교, 개신교, 천주교 및 무종교인의 생활만족도 비교",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3(1), 9-38.
  69. 정지희.홍주희.박승희. (2019),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 특수교육, 18(4), 53-80.
  70. 주경희. (2011)., "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9, 231-264.
  71. 중앙일보. (2018), "충북 노인 인구는 늘고, 경제 활동은 줄어 '가난한 노후", Retrieved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23067964
  72. 천희란.김정석. (2016), "노년기 남녀의 주관적 건강 수준에 대한 생애과정적 고찰", 한국인구학, 39(3), 63-81.
  73. 충청지방통계청. (2018), "최근 3년간 충북지역 노인의 일과 삶",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regional/cc/cc_ntc/1/6/index.board?bmode=read&aSeq=371205&pageNo=2&rowNum=10&amSeq=&sTarget=&sTxt=
  74. 최승묵.박정숙. (2012), "국내 관광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관광연구논총, 24(2), 25-47.
  75. 최은영.주소현. (2018), "다변량 다중회귀분석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이용한 은퇴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4(2), 21-44.
  76. 최인숙.박경숙. (2017), "만성통증 노인의 통증, 수면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8), 289-299. https://doi.org/10.14400/JDC.2017.15.8.289
  77. 최효진.이홍직. (2019),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4(1), 103-112.
  78. 하혜수. (1996), "도시정부의 '삶의 질'결정요인분석", 한국행정학보, 30(2), 81-95.
  79. 한겨례. (2018), "난해 생산인구 11만명↓...노인 14.2% '고령사회'진입", Retrieved from: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59372.html#csidx76afefe979841f58629429c828533a1
  80. 한정원.이병숙. (2018), "산재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4), 167-177.
  81. 한지숙.이정열. (2012), "여행 활동과 건강과의 관계 분석: 연간 여행참여 일수가 정신건강 및 인지된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7(5), 587-600.
  82. 한형수. (2004),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 113-142.
  83. 허정무. (2001),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종교기관의 노인교육활동 참여", 한국노년학, 21(2), 37-52.
  84. Baltagi, B. (2008), "Econometric Analysis of Panel Data (Vol. 1)", John Wiley & Sons.
  85. Borsbo, B., B. Gerdle and M. Peolsson (2010),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symptoms and catastrophising on disability, quality of life and health in with chronic pain pati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2(17), 1387-1396. https://doi.org/10.3109/09638280903419269
  86. Gujarati, D. and Porter, D. (2009), "Basic Econometrics",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
  87. O'Connell, K. and S. Skevington (2010), "Spiritual, religious, and personal beliefs are important and distinctive to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health: A comparison of theoretical model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4), 729-748. https://doi.org/10.1348/135910709X479799
  88. Smith, K., N. Avis and S. Assmann (1999), "Distinguishing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status in quality of life research: a meta-analysis", Quality of Life Research, 8(5), 447-459. https://doi.org/10.1023/A:1008928518577
  89. Sosnowski, R., M. Kulpa, U. Zietalewicz, J. Wolski, R. Nowakowski, R. Bakula. and T. Demkow (2017), "Basic issues concern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entral European Journal of Urology, 70(2), 206.
  90. Strine, T. W. and D. Chapman (2005), "Associations of frequent sleep insufficiency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 behaviors", Sleep Medicine, 6(1), 23-27. https://doi.org/10.1016/j.sleep.2004.06.003
  91. Wooldridge, J. (2009), "Introductory Econometrics, a Modern Approach", South Western, Cengag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