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 강보라.김희섭.이미숙. (2014),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159-17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159
- 강신욱. (2002), "스포츠사회학: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중독과 주관적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1(5), 59-70.
- 구교만.김춘종. (2016), "척수장애인의 신체활동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1), 155-168.
- 구은미. (2016), "보육교사의 건강과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7.
- 김남진. (2001), "스포츠사회학: 직장 여성들의 운동 실천이 신체적.정신적.주관적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4), 125-137.
- 김남현.정민숙, "(2017).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496-50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96
- 김미령. (2011), "베이비붐세대, X 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51, 7-34.
- 김미숙.박민정. (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 김미영.손서희.박미석. (2011),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65-78.
- 김민경.조영복. (2019), "빅데이터 기반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3(11), 1351-1356. https://doi.org/10.6109/JKIICE.2019.23.11.1351
- 김민희.이주일. (2017), "노년기 활동 참여가 삶 만족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5), 100-113.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100
- 김새봄.최송식.송영지. (2019), "재난피해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74(2), 9-34.
- 김석일.박정은. (2015), "필라테스 신체운동 참여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6), 339-349.
- 김선영.장병주.이준. (2007), "생태관광동기, 여가만족, 삶의 질의 영향관계 연구", 관광연구, 22(2), 59-76.
- 김소영.남궁미. (2019), "지역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4(3), 125-150. https://doi.org/10.16973/JGS.2019.14.3.005
- 김수희.정종화.송진영. (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3), 167-191. https://doi.org/10.21194/KJGSW.73.3.201809.167
- 김양례. (2009), "여가활동유형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행복한 삶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20(3), 553-566. https://doi.org/10.24985/KJSS.2009.20.3.553
- 김연희.김기순. (2002),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17, 157-189.
- 김영미.현선희.송형삼. (2008),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2(4), 33-46.
- 김영애.김문겸. (2017),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351-361.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351
- 김윤우. (2014), "복지관광이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9(5), 475-500.
- 김의철.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 김정운.이장주. (2005),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1-15.
- 김지연.홍준희. (2017),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변인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8(4), 27-37.
- 김지태. (2011),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의 건강상태지각과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1), 43-55. https://doi.org/10.17006/KJAPA.2011.19.1.43
- 김진옥.김남조. (2019), "자연기반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한 관광객의 마음챙김 (Mindfulness),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43(2), 55-78.
- 김진원.임구원. (2019), "노인의 친교활동,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4), 1-15.
- 김진현.원서진. (2011), "노후 빈곤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건강행태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한국노년학회지, 31(3), 461-478.
- 김채옥.송운강. (2007),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1(4), 23-41.
- 김철휘.박경준.김기형. (2013),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능력,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8(4), 35-44.
- 김희경.이현주.박순미. (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30(2), 279-292.
- 김희선. (2006),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8(2), 117-127.
- 나항진. (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53-70.
- 남현주.이현지. (2017),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복지, 21, 121-140.
- 뉴시스. (2018), "10명 중 4명은 일...삶이 팍팍한 충북 노인들. Retrieved from: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
- 문성제.손민성.최만규. (2017), " 신체 장애인의 경제활동상태 변화가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27(3), 217-239.
- 문태언.변상해. (2012), "노인의 종교활동 참여가 자기존중감 및 죽음불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7(3), 115-120. https://doi.org/10.16972/APJBVE.7.3.201209.115
- 박경순.박영란.염유식. (2015), "사회참여가 농촌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3(2), 200-227.
- 박경순.박영란.염유식. (2018), "주관적 연령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45(4), 207-228.
- 박순미.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305-332.
- 박순미.문수열. (2019),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3(4), 191-200.
- 박유경.김창엽.황승식. (2018), "미충족의료와 소득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한국의료패널 2009-2014 년도 자료의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47(1), 57-83.
- 배나래.박충선. (2009),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2), 761-779.
- 배만규.박상훈. (2008), "청각장애인의 관광활동 만족이 삶의 질과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3(2), 185-205.
- 백림정.한진수. (2017), "힐링관광에서의 고객체험이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6(3), 1-17.
- 백은령. (2004),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업재활연구, 14(2), 255-280.
- 서문진희. (2010), "종교와 노인의 우울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교회사회사업, 12, 67-95.
- 설경옥.박지은.박선영. (2012),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 (1995-2011)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617-642.
- 손신영. (2006),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 송윤경.이은영.전용관. (2016),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 인지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3), 41-56. https://doi.org/10.22472/KPEAW.2016.30.3.41
- 송지준.이종남. (2006), "남한거주 탈북자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만족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1(2), 105-124.
- 신은보.김문조. (2012), "한국 중년남성의 종교 활동과 삶의 질-원불교 신앙인들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40, 149-177.
- 안종철.임왕규. (2014),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4), 189-21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9
- 양길승.조은주. (2016), "체험요인에 따른 지각가치와 삶의 질과의 구조 관계: 보성 한국차박물관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0(5), 17-30.
- 우희순.최유임. (2017),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참여에 대한 종교 활동의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747-756.
- 윤현숙.원성원. (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4), 1077-1093.
- 이규진. (2018), "운동재활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6(4), 83-94.
- 이명철.강인호. (2012), "지체장애인의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7(2), 369-392.
- 이성은.김강민. (2016), "노인의 여행경험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3(6), 887-894.
- 이영균.김동규. (2007),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1(4), 223-250.
- 이은숙. (2019), "독거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393-408.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393
- 이정아. (2019), "지역사회 사회활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건강수준 및 삶의 만족도", 대한보건연구, 45(2), 107-116. https://doi.org/10.22900/KPHR.2019.45.2.009
- 이현송. (2000),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3(1), 91-117.
- 이후연.백종태.조영채. (2016),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0), 569-581.
- 장신재. (2017),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근로능력, 경제활동 참여,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305-310.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305
- 전명수. (2014), "노인의 사회활동, 자아 효능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대전시 중구거주 노인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171-17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71
- 전명숙. (2018), "장애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 210-22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210
- 전성표. (2011), "종교와 삶의 만족도: 불교, 개신교, 천주교 및 무종교인의 생활만족도 비교",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3(1), 9-38.
- 정지희.홍주희.박승희. (2019),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 특수교육, 18(4), 53-80.
- 주경희. (2011)., "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9, 231-264.
- 중앙일보. (2018), "충북 노인 인구는 늘고, 경제 활동은 줄어 '가난한 노후", Retrieved from: https://news.joins.com/article/23067964
- 천희란.김정석. (2016), "노년기 남녀의 주관적 건강 수준에 대한 생애과정적 고찰", 한국인구학, 39(3), 63-81.
- 충청지방통계청. (2018), "최근 3년간 충북지역 노인의 일과 삶",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regional/cc/cc_ntc/1/6/index.board?bmode=read&aSeq=371205&pageNo=2&rowNum=10&amSeq=&sTarget=&sTxt=
- 최승묵.박정숙. (2012), "국내 관광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관광연구논총, 24(2), 25-47.
- 최은영.주소현. (2018), "다변량 다중회귀분석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이용한 은퇴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4(2), 21-44.
- 최인숙.박경숙. (2017), "만성통증 노인의 통증, 수면 및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8), 289-299. https://doi.org/10.14400/JDC.2017.15.8.289
- 최효진.이홍직. (2019),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4(1), 103-112.
- 하혜수. (1996), "도시정부의 '삶의 질'결정요인분석", 한국행정학보, 30(2), 81-95.
- 한겨례. (2018), "난해 생산인구 11만명↓...노인 14.2% '고령사회'진입", Retrieved from: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59372.html#csidx76afefe979841f58629429c828533a1
- 한정원.이병숙. (2018), "산재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4), 167-177.
- 한지숙.이정열. (2012), "여행 활동과 건강과의 관계 분석: 연간 여행참여 일수가 정신건강 및 인지된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7(5), 587-600.
- 한형수. (2004), "한국사회 도시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 113-142.
- 허정무. (2001),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종교기관의 노인교육활동 참여", 한국노년학, 21(2), 37-52.
- Baltagi, B. (2008), "Econometric Analysis of Panel Data (Vol. 1)", John Wiley & Sons.
- Borsbo, B., B. Gerdle and M. Peolsson (2010), "Impa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symptoms and catastrophising on disability, quality of life and health in with chronic pain patient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2(17), 1387-1396. https://doi.org/10.3109/09638280903419269
- Gujarati, D. and Porter, D. (2009), "Basic Econometrics", McGraw-Hill International Edition.
- O'Connell, K. and S. Skevington (2010), "Spiritual, religious, and personal beliefs are important and distinctive to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health: A comparison of theoretical models",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4), 729-748. https://doi.org/10.1348/135910709X479799
- Smith, K., N. Avis and S. Assmann (1999), "Distinguishing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ealth status in quality of life research: a meta-analysis", Quality of Life Research, 8(5), 447-459. https://doi.org/10.1023/A:1008928518577
- Sosnowski, R., M. Kulpa, U. Zietalewicz, J. Wolski, R. Nowakowski, R. Bakula. and T. Demkow (2017), "Basic issues concern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entral European Journal of Urology, 70(2), 206.
- Strine, T. W. and D. Chapman (2005), "Associations of frequent sleep insufficiency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ealth behaviors", Sleep Medicine, 6(1), 23-27. https://doi.org/10.1016/j.sleep.2004.06.003
- Wooldridge, J. (2009), "Introductory Econometrics, a Modern Approach", South Western, Cengag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