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rade with China on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Focus on Liaoning

중국과의 무역이 북한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랴오닝성을 중심으로

  • 범효정 (五矿矿业安徽开发有限公司) ;
  • 김영민 (강원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지역경제))
  • Received : 2021.09.05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North Korea's net export to China and Liaoning on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n the net export of North Korea to China and Liaoing from General Administration of Customs, People's Republic of China. Vector Autoregression(VAR) is also employed for the analysis. Findings - First, North Korea's net export to all of China and Liaoning gives the positive effect on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Second, the nuclear test of North Korea gives the negative effect on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Third, the net export to China and Liaoning granger causes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Lastly, the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lso granger causes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e net export of North Korea to China as well as Liaoning is important to the economic growth.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North Korea's trades with specific region as well as all of China in order to enhance the North Korean economic growth.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철(2018), 북한의 무역, 양적 성장만으로 충분한가?, KDI Focus, 통권제93호,
  2. 김병연(2011), "북한 경제 성장의 결정 요인," POSRI 경영경제연구, 제11권 제1호, 포스코경영연구소, 63-81.
  3. 김병연, 김민정, 김다울(2020), 북한의 광물 수출과 품목별 수입: 대중무역을 중심으로, BOK 경제연구, 제2020-7호, 1-35.
  4. 김영민, 김세완(2014), 직간접 투자자의 현금 유출입비교 분석, 재무관리연구, 31권2호, 141-167.
  5. 송옥붕, 박환재, 기석도(2014), 한중 제조업의 산업간 및 산업내 무역구조분석, 산업경제연구 27(1), 2014.2, 121-140.
  6. 서종원, 노상우(2012), 북한 정치경제변화가 두만강 유역 개발사업에 미치는 영향, 제2012-8호, 동북아.북한연구센터 Issue Paper.
  7. 이상훈, 허유미(2016), 중국의 지역별 산업고도화 추진 현황 및 시사점: 랴오닝(辽宁)성, KIEP.
  8. 이석.이재호.김석진.최수영(2010), 1990~2000년 북한무역통계의 분석과 재구성, 연구보고서 2010-07, KDI.
  9. 이석, 이종규, 김석진, 권태진, 김경술, 조남훈, 정은이, 최수영(2013),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무역통계와 서베이 데이터의 분석, KDI.
  10. 이영훈(2006) 북.중무역의 현황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11. 이종규(2016), 성별 북중무역의 결정요인 분석: 2000년대 상황을 중심으로, 비교경제연구 23권 1호, 27-59. https://doi.org/10.23014/KACE.23.1.201606.27
  12. 임수호, 최장호(2017), 북한 대외무역 2016년 평가 및 2017년 전망: 북중무역을 중심으로, KDI 북한경제리뷰, 1월호, 71-78.
  13. 임호열, 최장호, 방호경, 임소정, 김준영(2015), 북한무역의 변동요인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15권 제1호
  14. 정승호(2016), 북.중무역과 북한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비교경제연구, 제23권 제2호, 1-37, 한국비교경제학회. https://doi.org/10.23014/KACE.23.2.201612.1
  15. 정수진, 최여윤(2020), 북한 대중국 교역 의존도의 국제 비교, KDI 북한경제리뷰, 2020년 4월호, 41-58.
  16. 조준현(2012), 한-인도 CEPA 이후 우리나라의 대인도 무역특화지수의 변화, 산업경제연구 25(2), 2012.4, 1559-1585
  17. 최장호, 김준영, 임소정, 최유정(2015), 북.중 분업체계 분석과 대북 경제협력에 대한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5-13.
  18. 최지영(2012), 최근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변화, BOK 이슈노트, 한국은행, 2012-7, 1-12.
  19. 홍제환(2019), 북중무역통계로 본 대북제재하 북한경제, KDI 북한경제리뷰, 8월호, 65-84.
  20. Cindy Saine(2016). Obama: North Korea Nuclear Test ' A Grave Threat', .
  21. 禹颖子(2010). 辽宁对朝边贸发展趋势及对策, 经济论坛, 12:118-120.
  22. 段永军(2015). 鸭绿江"一桥两岛"开发的中朝自由贸易区建设, 边疆经济与文化,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