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시 무주택 청년가구의 주거지원 정책이용 의사 영향요인 분석: 가구 및 정책특성을 고려하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Housing Support Policy of 2030 Households in Seoul: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and Policy

  • 성진욱 (SH도시연구원) ;
  • 송기욱 (LH 토지주택연구원 기획경영연구실) ;
  • 정기성 (LH 토지주택연구원 정책자원TF단)
  • 투고 : 2022.08.15
  • 심사 : 2022.10.12
  • 발행 : 2022.10.30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무주택 취약계층 2030가구를 대상으로 향후 청년주거지원 정책의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과 그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시사점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특성과 정책특성 변수를 포괄적으로 분석 모형에 적용하여 최근의 상황에서 청년계층의 주거불안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이 낮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청년인 경우, 원룸에 거주하는 경우, 월세로 사는 경우, 코로나 시기 고용부문 상황이 나아진 경우, 청년주거지원정책을 인지하고 있던 경우 주거지원정책에 향후 이용의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기존의 청년 주거지원 사업에 대해서 더욱 강화하고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청년 주거지원 정책들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를 효율화하고 사회초년 청년계층을 위한 정교한 주거지원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influences the 2030 households' intention to utilize housing support policies for the younger generation.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the recognition of youth housing support projects', 'the housing occupation', 'employment type', 'housing type', and 'age'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housing support policies. Specifically, the inten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conomic activity, one-room residence, monthly rent, employment statu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policy recognition, while negatively related to age. In addition, willingness to use the housing support policies is greater when respondents lived in a studio, lived on a monthly rent, recognized the policy, and improved their employment status. The results suggest that housing support programs need to be expanded and improved. Moreover, information on housing support policies should be efficiently delivered to eligible households, and more sophisticated housing support policies should be provided for young people early in their care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2021), 「2020주거실태조사 특성가구 연구보고서」, 세종.
  2. 권오규.강은택(2017),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35: 161~176.
  3. 김경진(2019.6.4), ""청년 고용난인데" VS "생산인구 주는데"... 정년 연장, 독인가 약인가", 한국일보.
  4. 김비오(2019), "청년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9(3): 408~436.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408
  5. 김승수(2018), "역세권 청년주택: 상생협력을 모색하다.", 「공존협력연구」, 4(1): 5~8.
  6. 김영미(2018), "한국 2030 세대의 청년정책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5): 386~396.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386
  7. 김준희(2013), "고시원에 거주하는 청년층의 실태", 「도시와 빈곤」, 102: 35~48.
  8. 김지선(2020), "서울시 주거빈곤 청년 1인 가구의 건강 문제와 대응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9. 김진영.이현정(2020), "청년1인 주거빈곤가구의 특성과 점유유형에 따른 주거지원 정책 요구도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8~98.
  10. 김창선.이주호.최현일(2021), "청년 주거지원제도와 공공임대주택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17: 107~135.
  11. 김태완.강예은(2020), "청년 가구의 경제 현황과 지원 방안", 「보건복지포럼」, 2020(6): 47~58. https://doi.org/10.23062/2020.06.5
  12. 문소희.이현정(2018), "2017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청년가구의 주거문제와 주거상담 경험 및 주거지원 프로그램 요구도",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0(2): 412~413.
  13. 박미선.우지윤(2021), 「1인가구 연령대별 주거취약성 보완 방안」, 세종: 국토연구원.
  14. 변금선(2021), 「서울 청년의 주거실태와 정책 과제」, 서울: 서울연구원.
  15. 변금선.김승연.박민진.이혜림(2021), 「2025 서울시 청년정책 비전과 전략」, 서울: 서울연구원.
  16. 성미애.진미정.장영은.손서희(2020), "코로나 19에 따른 1 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3): 3~20.
  17. 송보람.권오정.김동숙(2018), "수요자 맞춤형 행복주택 거주자의 만족도 조사연구: 가좌지구 행복주택 청년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0(2): 471~474.
  18. 임경지(2015), "청년 주거문제 실태와 현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한계", 「월간 복지동향」, (196): 5~11.
  19. 이우형.서충원(2020),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서울시 송파구 잠실동 역세권 청년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1(2): 41~59.
  20. 이창무.최소의.박한.박환용(2009), "도심형 (역세권) 공공임대주택의 수요특성 사례 분석", 「서울도시연구」, 10(4): 191~207. https://doi.org/10.23129/SEOULS.10.4.200912.191
  21. 이호일.김지희.노승한(2021),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주거비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 도시연구」, 14: 69~88.
  22. 전현희(2018), "청년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 및 입법 동향과 과제", 「도시문제」, 53: 36~39.
  23. 정기성(2018), "인공신경망 분석을 활용한 인천시 주거취약계층의 행복주택 입주의향에 미치는 요인 분석", 「주택연구」, 26(3): 55~78.
  24. 청년활동지원센터, "코로나19와 청년 노동 현황", 2020.8.2. 읽음. https://blog.naver.com/sygcyouth/222139366788.
  25. 최봉.장윤희(2019),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20년 주요 경제 이슈", 「정책리포트」, 290: 1~24.
  26. 최주희(2022),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의 디자인 계획방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7. Jones, A. and D. S. Grigsby-Toussaint (2020), "Housing Stability and the Residential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Cities & health, 1~3.
  28. Kim, D., J. Yun, K. Kim and S. Lee (2021), "A Comparative Study of the Robustness and Resilience of Retail Areas in Seoul, Korea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Big Data. Sustainability, 13(6): 3302.
  29. Lee, J., M. Chin and M. Sung (2020), "How has COVID-19 Changed Family Life and Well-Being in Korea?",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51(3~4): 301-313. https://doi.org/10.3138/jcfs.51.3-4.006
  30. Tinson, A. and A. Clair (2020), "Better Housing is Crucial for Our Health and the COVID-19 Recovery", The Health Foundation, 1~25.
  31. Qian, X., S. Qiu and G. Zhang (2021), "The Impact of COVID-19 on Housing Price: Evidence from China", Finance Research Letters, 43: 101944. https://doi.org/10.1016/j.frl.2021.101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