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지혜.손복은(2021). 대학 교양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준거개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 309-324.
- 고은미.이희경.한은옥(2013),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학논총, 31, 365-394.
- 교육부(2021).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에 관한 훈령(제367호, 2021.02.15.).
- 김계수(2007). (New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 김계수(2008). 인과분석 연구방법론. 서울: 도서출판청람.
- 김동심.이명화(2019).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교육 인식: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45-867.
- 김성길(2022). 배움의 일상성 탐구: 개조의 일상, 일상의 개조. 미래교육연구, 12(1), 27-41.7.
- 김정겸(2017).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6), 187-196.
- 김진희(2018).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뷰티스타일링 수업 설계 및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노경섭(2019).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한빛아카데미.
-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dx.doi.org/10.24159/joec.2020.26.2.153
- 민혜리(2016). 수업에 대한 교수의 자기평가와 학생평가의 비교를 통한 공과대학 수업개선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19(3), 35-43. https://doi.org/10.18108/JEER.2016.19.3.35
- 박찬정.임화경.지은림(2002). 웹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에서 강의 평가를 위한 문항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5(2), 61-68.
- 손지희(2020). 코로나19 이후 한국교육시스템. 진보평론, 84, 74-93.
- 송해덕.이예찬(2020). 비대면 대학강의평가 영역 및 문항 탐색 연구.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 (4), 245-273.
- 신승현.심지현(2018). 기업 스마트러닝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1), 59-82.
- 신종호.송하석(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고찰. 교양교육연구, 16, 117-130.
- 신혜영(2020). 만1세 맞벌이 아버지, 어머니 동반참여 블렌디드 러닝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헌수(2020).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3), 377-395. http://doi.org/10.30807/ksms.2020.23.3.007
- 이혜정.송종숙.이수정(2021). 학습자 중심 수업 학생 만족도 문항 타당성 검토 결과보고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장경원(2011).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7(3), 475-505.
- 정향기(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http://doi.org/10.15702/mall.2020.23.3.392
- 정희연.윤지원(2020).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인식 조사 연구. 인문사회21, 11(3), 1305-1318. http://dx.doi.org/10.22143/HSS21.11.3.93
- 조인옥(2020).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8, 241-265. https://doi.org/10.21716/TKFL.58.9
- 주영주 외(2007). 공무원 사이버 강좌 만족도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38(3), 75-91.
- 채경희(2015). 블렌디드 일본어교육현장에서의 교수자의 역할. 일본어교육연구, 0(32), 227-239.
- 한송이.임은선.신윤미(2022). 실시간 원격교육 강의평가 문항 개발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4(7), 137-154.
- 한윤영.김은경(2019).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381-397.
-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 (1), 161-177.
- 홍예윤.임연욱(2018). 고등수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육환경 및 학습자 역량의 확장. 한국 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7), 213-222.
- 홍효정(2016).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및 진단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AlKhaleel, A.(2019). The advantages of using blended learning in study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t the University of Tabuk. Modern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Methods (MJLTM), 9(2), 1-7.
- Browne, M. W. & Cudeck, R.(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 Cronbach, L. J.(1951).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16(3), 297-334. https://doi.org/10.1007/BF02310555
- Dunleavy, G. et al.(2019). Mobile digital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y the digital health education collaboration.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2), e12937. https://doi.org/10.2196/12937
- Eidelman, R. R., Rosenberg, J. M., & Shwartz, Y.(2019). Assessing the interac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RL) profiles and actual learning in the Chemistry Onlin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COBLE). In Learning technologies for transforming large-scal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p. 231-255). Springer, Cham.
- Eom, S. B., & Ashill, N.(2016).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online education: An update.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14(2), 185-215. https://doi.org/10.1111/dsji.12097
- Fedynich, L., Bradley, K. S., & Bradley, J.(2015).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Journal, 27. 1-13.
- Fornell, C., & Lar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 Hair, J. F. et al.(2019). Multivariate data analysis(8th ed.). Cengage.
- Harroff, P., & Valentine, T.(2006).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in web-based adult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0(1), 7-22.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2001_2
- Ilgaz, H., & Gulbahar, Y.(2015). A snapshot of online learners: e-Readiness, e-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16(2). 171-187.
- Khan, B. H.(2004). E-learning stratigies. 강명희 이미화 송상호 역(2004). 이러닝 성공전략. 고양: 서현사.
- Kim. J.(2020). Teaching and learning after COVID-19. Learning Innovation. https://www. insidehighered.com/ digital-learning/blogs/learning-innovation/teaching-and-learning-aftercovid-19
- Kline, R. B.(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4th ed.). NY: The guilford press.
- Mantyla, K.(2001). Blending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Alexandria, VA: ASTD.
- Megahed, N., & Ghoneim, E.(2022). Blended learning: the new normal for post-Covid-19 pedagogy.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and Blended Learning (IJMBL), 14(1), 1-15. https://doi.org/10.4018/IJMBL.291980
- Porter, W. W. et al.(2014).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al adoption and implementation. Computers & Education, 75, 85-195. https://doi.org/10.1016/j.compedu.2014.02.011
- Ralston-Berg, P. et al.(2015).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course quality: How do they measure up to the research?. Journal of Online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4(1), 38-55.
- Rosenberg, M.(2000). e-Learning. 유영만 역(2001). 디지털 시대의 지식 확산 전략. 서울: 도성 출판사 물푸레.
- Shaid, N. A. N., Kamruzaman, F. M., & Sulaiman, N. A.(2021). Online Learning during Ongoing Covid-19 Pandemic: A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11(7), 924-37.
- Singh, H., & Reed, C.(2001). A white paper: Achieving success with blended learning. Centra software, 1, 1-11.
- Stewart, I., Hong, E., & Strudler, N.(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student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web-based Instru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8(3), 131-150.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803_2'
- Peimani, N., & Kamalipour, H.(2021). Online education and the COVID-19 outbreak: A case study of online teaching during lockdown. Education Sciences, 11(2), 72. https://doi.org/10.3390/educsci11020072
- Wargo, E., & d'Alene, C.(2020). Intertwined higher education places and spaces. Journal for the study of post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5, 79-84. https://doi.org/10.28945/4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