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플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광고 효과

A Study o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f Raffle Advertising

  • 이성미 (한신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 투고 : 2022.08.26
  • 심사 : 2022.09.23
  • 발행 : 2022.09.30

초록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마트 광고는 지난 수년간 매우 활발한 연구 분야로 자리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광고가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 광고의 한 형태인 래플(Raffle)광고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광고메시지 유형과 브랜드 친숙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래플광고 메시지 표현 유형: 한정된 시간vs. 타인의 응모현황) × 2(브랜드 친숙도 수준: 고 vs. 저)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광고메시지 표현 유형이 래플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친숙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mart advertising in digital media has become an active research field in the past few decad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n the effectiveness of raffle advertising. An online 2×2 between subjects experiment was constructed. The results showe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12Ways to Effectively Market A Product or Service(2022), https://www.forbes.com/sites/forbesbusinessdevelopmentcouncil/2022/07/19/12-ways-to-effectivelymarket-a-product-or-service/?sh=6dea70db1b3e(accessed Jul., 24, 2022).
  2. 돈 많아도 못 사요, 래플 마케팅 (2022), http://www.mknews.kr/?mid=view&no=35862 (accessed Aug., 10, 2022).
  3. [2022 컨슈머]④ 되팔려고 돈 쓰는 MZ세대...당첨만 되면 수백만원이 내 손에 (2022),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2/01/12/6QUDNEKN6VD6BM64ZEBMU5V73U/ (accessed Jul., 24, 2022).
  4. [요즘, 이거] MZ세대의 한정판 구매법 '래플 소비' (2022), https://www.etoday.co.kr/news/view/2133101(accessed Aug., 10, 2022).
  5. 김형숙, 이종혁, 이현동,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개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0권, 제11호, 116-123쪽, 2021년 3월
  6. 젊은세대 파고드는 '래플 마케팅'..국내 리셀시장 5천억 규모(2022), http://www.sbiz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12518 (accessed Aug.22, 2022).
  7. B. Duncan, "Pumpkin pies and public goods: The raffle fundrasing strategy," Public Choice, Vol. 111, pp. 49-71, Apr. 2002. https://doi.org/10.1023/A:1015133126932
  8. F. Velasco, Z. Yang, and N. Janakiraman,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consumer response to anthropomorphic appeals: The roles of product type and uncertainty avoid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131, pp. 735-346, Jul. 2021. https://doi.org/10.1016/j.jbusres.2020.11.015
  9. Q. Sun, R.K. Rajamma, D. Heisley, and M.. Soliman, "Examining scarcity in mobile promo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role of location,"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 30, No. 1, pp. 1-19, Mar. 2021.
  10. M. Campbell and K. Keller, "Brand familiarity and advertising repetition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0, No. 2, pp. 292-304, Sep. 2003. https://doi.org/10.1086/376800
  11. J. Hilton and J. Darley, "The effects of interaction goals on person percep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4, pp. 236-262, 1991.
  12. K. Keller, "Cue compatibility and framing i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8, \No.1, pp.42-57, 1991. https://doi.org/10.1177/002224379102800104
  13. 주일영, 전종우, "노스텔지어(nostalgia) 광고에 있어 자아연속성,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 의도의 위계적 관계," 광고학연구, 제26권, 제5호, 151-168쪽, 2015년 7월
  14. R. Ferraro, A. Kirmani, and T. Matherly, "Look at me! Look at me! Conspicuous brand usage, self-brand connection, and dilu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50, No. 4, pp. 477-488, Aug. 2013. https://doi.org/10.1509/jmr.11.0342
  15. 최지윤, 정윤재,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28권, 제4호, 47-72쪽, 2017년 5월
  16. 김명진, "온라인 해외직접구매 경험 소비자의 후회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7권, 제3호, 35-42쪽, 2019년 9월
  17. 류시천, 최진영, 심미희,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UX 디자인 평가 접근 방법," 스마트미디어저널, 제8권, 제3호, 70-79쪽, 2019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