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lanning of School Space for Online Education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교 공간조성 방안 연구

  • Received : 2022.09.05
  • Accepted : 2022.09.23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online education space" in which the nee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school field in the future. As a way to create an online education space that can provide quality online education while sufficiently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online learning, the basic direction, attributes of space, and types of spaces were presented. To this end, the literature review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functions of the online education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literature review, domestic and overseas online education operation and space creation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lso, the perception of and demand for online education of teachers who operate online education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①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online education space creation, ② attributes of online education space (convergence, convenience, de-place), and ③ 33 spaces (see Table 8) required for online education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온라인 교육 공간'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권을 충분히 보장하면서 양질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방향, 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 및 공간의 종류 등 온라인 교육을 위한 공간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특성, 온라인 교육 공간의 특성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외의 온라인 교육 운영 및 공간조성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는 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①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원칙과 방향, ②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융복합성, 편리성, 탈장소성(De-place)), ③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33개의 공간을 제시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진a(2020). 디지털 시대의 수업과 지능형 원격수업. 2020 국가교육과정포럼 미래교육과정포럼 1차 자료집.
  2. 김현진b(2020). 원격교육과 교육공학의 과제.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20. 36(3).
  3. 박남기 교수의 '그들이 말하지 않은 우리교육 이야기'. 법에 나타난 온라인 교육과 원격교육 그리고 유사개념 분석(https://blog.naver.com/ngpark60/222110955879).
  4. 배수진(2001.8.). 온라인 교육. 인터넷 컨텐츠(전자자료 ).
  5. 이상민(2020). 예비 초등교사 대상 온라인 미술교육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 초등교육 31(2).
  6. 이지연, 이재경(2005).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Andragogy Today; IJACE.
  7. 정광희, 장혜승, 손찬희, 김은영, 서재영, 이쌍철, 조영환, 남창우(2018). 중등교육 온라인 개방형 교육체제 구축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8. 정영식, 서정희(2020). 비대면 시대의 원격 수업 방향. 2020 KERIS 이슈리포트. 대구 : 한국학술정보원.
  9. 조진일, 이호진(1994). 해체주의 건축의 이론적 배경과 디자인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4권 제1호.
  10. 조진일, 이상민, 최형주, 홍선주, 계보경, 박관수, 강혁진(2020).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III): 학교의 대지조건과 배치 및 평면 유형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1. 조진일, 최형주, 홍선주, 계보경, 김성중, 김현주(2021).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교 공간 조성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2. 홍선주(2016). 지능정보사회 대비 학교 교육의 방향 탐색. 2016 KICE 이슈페이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https://www.brightspotstrategy.com/online-learninghigher-education-space-design/
  14. https://ais.berkeley.edu/about/our-space
  15. https://magazine.contenta.co/2017/10/%ED%95%98%EB%B2%84%EB%93%9C-%ED%8F%AC%EA%B8%B0%ED%95%98%EA%B3%A0-%EC%98%A8%EB%9D%BC%EC%9D%B8%EB%8C%80%ED%95%99-%EB%AF%B8%EB%84%A4%EB%A5%B4%EB%B0%94%EC%8A%A4%EC%BF%A8/
  16. https://spaces4learning.com/articles/2020/06/29/versatility-is-a-critical-design-element-for-modern-learning-spaces.aspx
  17. https://spaces4learning.com/Articles/2020/07/27/Learning-Space-Design-Plays-a-Key-Role-in-Supporting-Tech-Use.aspx?Page=1
  18. http://www.viewsonic.com/library/education/how-to-set-up-a-hybrid-learning-space/
  19. https://www.archdaily.com
  20. https://educationsnapshots.com/
(3414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45, Daehak-ro, Yuseong-gu, Daejeon
Copyright (C) KIST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