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또래애착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Impact of Peer Attachmen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김상우 (삼육대학교 가상재활실험실) ;
  • 조민아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Kim, Sang woo (VR Lab, Sahmyook University) ;
  • Jo, Min a (Seoul Women's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 투고 : 2022.05.27
  • 심사 : 2022.07.21
  • 발행 : 2022.09.30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peer attachmen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e of the variables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pe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Design: Data from the 2018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Methods: Th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by the investigator, and the total number of cases was 1,434 people. Results: First, the higher the child's peer attachment leads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leads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self-esteem acts as a mediator variable. Third, children's peer attachment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explain that the degree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itself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also affects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ther words, it can be understood that children feel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not only in parent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uggest practical interventions to enhance children's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an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the sub-factors of peer attach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은영.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태도와 학업성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7.
  2. 김기설.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교육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목표대학교 대학원; 2012.
  3. 김도란, 김정원.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08;13(6):311-33.
  4. 김망규.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김상우, 이병희.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0;27(2):48-62.
  6. 김상우, 장혜영.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정도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1;28(2):46-56.
  7. 김상희. 부모애착과 또래애착, 학업스트레스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8. 김선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생애목표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2019;17(2):103-13.
  9. 김성범. 가족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2.
  10. 김수희, 박성연. 청소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가정과삶의질연구. 2009;27(5):101-13.
  11. 김신영, 남미애. 오늘의 청소년, 과연 행복한가?: 한국 청소년 행복지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토론.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07:37-68.
  12. 김영미.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선생님과의 관계 및 학교활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0.
  13. 김지영, 정은화, 이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빅데이터분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0;41(6):111-23.
  14. 김지은, 정혜린, 박혜준, 등.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017;38(5):19-32.
  15. 김혜원. 신체표현활동 수업 참여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 행복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노유정,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9112253931 한경신문 2019. (2022.05.01. 인출)
  17. 류미경, 김재철. 고등학생의 진로 불확실성 수용과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수용전념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청소년학연구. 2016;23(1):1-28.
  18. 류미향. 인지행동 문학치료가 아동의 행복감 증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9. 류미향, 노은호, 김춘경.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12;13(3):237-56.
  20. 박보경, 노지운.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19;40(3):87-03.
  21. 박소현, 송교원, 이창훈.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018;43(1):41-57. https://doi.org/10.35140/KIIEDU.2018.43.1.41
  22. 성다겸, 김춘경. 초등고학년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015;36(4):129-42.
  23. 신형자. 아동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24. 신효정, 이문희. 애착외상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14;21(1):291-12.
  25. 양옥지, 이수림. 중년의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과 주관적 경제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0;20(7):491-02. https://doi.org/10.5392/JKCA.2020.20.07.491
  26. 오혜민, 김상원, 이양희. 중고등학생의 가정 및 학교에서 의견청취 경험, 자아존중감이 인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권교육에 따른 차이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1;21(5):422-34. https://doi.org/10.5392/JKCA.2021.21.05.422
  27. 유선진.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복감 향상과 우울성향 감소를 위한 감사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1.
  28. 이미준. 보건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및 자기 효능감에 대한 구조모형: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20;21(1);317-25.
  29. 이봉구. 2019 한국 아동의 삶에 질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세이브더 칠드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30. 이선아.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강인성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31. 이응택, 이은경.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2016;61-85.
  32. 이재경, 조혜정.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2012;40:41-71.
  33. 이혜주, 정의현.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의 부모, 교사, 또래 애착유형별 예측모형 탐색. 아동교육. 2016;25(4):23-38.
  34. 장소영. 부모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또래애착이 초기청소년의 행복감과 공동체의식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35. 정은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36. 정지나. 취업모의 초등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2019;28(3):185-99.
  37. 정혜원, 조옥귀.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몰입경험과 또래애착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2011;21:63-85.
  38. 조현영.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9. 주은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낭만 애착. 청소년학연구. 2011;18(4):141-71.
  40. 최은실, 정선아. 초등학생의 애착,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또래관계, 행동문제 간의 관계구조 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9(3):443-64.
  41. 최재혁, 이응택. 고등학생의 부모관심, 진로정체감, 직업결정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진로대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2018;175-99.
  42. Huebner E.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04;66(1):3-33. https://doi.org/10.1023/B:SOCI.0000007497.57754.e3
  43. Myers DG, Diener E.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1995;6(1):10-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44. Suldo M. Huebner E. Does life satisfaction moderate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sychopathologic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004;19(2):93. https://doi.org/10.1521/scpq.19.2.93.33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