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온라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동기, 시간관리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line academic coach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 on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 조유용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
  • 박준성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
  •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Cho, Youyong (Graduate School of Psychological Service, Chung-Ang University) ;
  • Park, Junseong (Graduate School of Psychological Service, Chung-Ang University) ;
  • Moon, Kwangsu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 투고 : 2022.06.14
  • 심사 : 2022.06.27
  • 발행 : 2022.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대학생을 위한 1:1 온라인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동기, 시간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코칭 프로그램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 요인인 동기, 행동, 인지조절로 구성되었고, 총 7회기(각 회기 80분)에 걸쳐 진행되었다. 총 16명 중 코칭을 원하는 참가자 7명이 실험집단에 할당되었다. 실험설계는 비동등 통제집단 설계가 적용되었다. 사전 사후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동기, 시간관리행동을 설문지로 측정하였고, 코칭 종료 후 만족도 조사와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점수를 통제한 ANCOVA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외적 학습동기 평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내적 학습동기와 시간관리행동의 경우, 코칭 적용 집단의 평균 점수가 증가하였지만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사후 설문 결과 코칭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85점이었고, 인터뷰 내용 확인 결과, 코칭 프로그램이 참가자의 자기주도 학습과 학습동기, 시간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본 연구에서 적용한 학습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동기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시간관리행동에는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1:1 online coaching for college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The coaching program consisted of motivation, behavior and cognitive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Total of 7 sessions(80 minutes per session) were progressed. Seven participants who wanted coaching, out of the total 16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 non-equal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coaching, and satisfaction survey and post-interview were also conducted after the coaching. ANCOVA was adopt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rning coaching of this study has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has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ime management. In addition, the mean of satisfaction survey was 4.85 and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the program.

키워드

참고문헌

  1. 감미란 (2011). 동기 및 시간관리 향상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공윤정 (2014).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진로적응 관련 요인. 진로교육연구, 27(1), 1-18.
  3. 길혜지, 박성호, 박미현 (2018). 4년제 대학의 졸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과 대학교육 특성 분석. 한국교육, 45(2), 57-80. https://doi.org/10.22804/JKE.2018.45.2.003
  4. 김기호, 이숙영 (1996). 청소년시간 정신에너지 관리 훈련 프로그램: 넘치는 에너지, 규모있는 생활. [KYCI] 교육 및 프로그램 자료.
  5. 김남옥 (1991). 여유있는 학교생활을 위한 효율적인 시간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 안동대학 학생지도 연구소, 11(1), 53-70
  6. 김동일, 박경애, 김택호 (1995). 청소년 시간, 정신에너지 관리연구: 프로그램 종합보고서. 청소년상담연구21, 1~152.
  7. 김성훈 (2015). 대학생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습동기, 자아인식, 학습전략, 학습상황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5, 71-91.
  8. 김소영 (2006). 시간관리 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시간관리, 자기 통제력,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소영 (2009). 남자 중학생의 자아분화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 이영미 (2012).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 해결 과정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147-155.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47
  11. 김요완, 박종선, 전광호 (2013).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매개역할.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19(4), 743-764.
  12. 김용래 (2000).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敎育硏究論叢, 18, 3-46.
  13. 김용삼, 이경화 (2017).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이 대학생의 자아개념 증진에 미치는 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7(2), 71-89. https://doi.org/10.34226/gcl.2017.7.2.71
  14. 김은지, 강주리, 김정섭 (2016). 학습컨설팅이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12(2), 73-92.
  15. 김인경, 성지아 (2015).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 시간관리 행동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7), 4621- 4631.
  16. 김인식, 이진희 (2004).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분석. 교육이론과 실천, 13(3), 129-154.
  17. 김종운, 정보현 (2012).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 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수상해양교육연구, 24(2), 146-165.
  18. 김희정 (2016). 학사경고자 대상 개별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8(4), 971-983.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4.971
  19. 남상은, 유기웅 (2017).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교양교육연구, 11(1), 281-311.
  20. 도승이, 손수경, 변준희, 임지윤 (2011). 한국어판 성취정서 질문지(K-AEQ)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5(4), 945-970.
  21. 류소형, 유재홍, 최안나, 김소라, 박상신, 탁진국 (2022). 흡연습관 개선을 위한 금연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사회과학연구, 33(2), 33-65.
  22. 류은정 (2009). 이러닝 환경에서 대학생의 배경변인, 학습스타일과 이러닝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동혁 (2000). 학습습관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4. 박성옥 (2018).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 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11(3), 259-286.
  25. 박성은 (2004). 學業能力自我槪念과 本質動機가 自己調節學習에 미치는 影響.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박순휘, 이은경, 오명화 (2017). 학습코칭이 보건관련 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5(3), 315-319.
  27. 박영태, 현정숙 (2002). 자기주도 학습력의 이해. 부산동아대학교 출판부, 18-19.
  28. 박준성, 소용준 (2017).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분석의 개념과 실제. 서울: 학지사.
  29. 박준희 (1995). 初等學校 兒童의 學習動機와 自己調節 學習能力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박지영 (2015). 자기주도적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습동기 및 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성화고 여학생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박형근 (2010).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백경숙 (2011).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 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32(1), 77-95.
  33. 백영수 (2011).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봉미미, 김혜연, 신지연, 이수현, 이화숙 (2008).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319-348.
  35. 서은선, 박선희, 김윤주 (2018). 일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학습코칭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대한시과학회 지, 20(3), 357-369.
  36. 성태제 (2019). 현대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37. 소용준, 박준성 (2016).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취업진로연구, 6(4), 23-44. https://doi.org/10.35273/JEC.2016.6.4.002
  38. 송경애 (2006). 자아존중감 및 자기결정 동기가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3), 177~202.
  39. 송인섭 (2006).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서울: 학지사.
  40. 송창용, 손유미, 이재열, 장광남, 김민석, 김혜정 (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 CESA) 지원과 활용(2020). 한국직업능력연구원.
  41. 송창용, 손유미, 이재열, 장광남, 김민석, 김혜정 (202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21). 한국직업능력연구원.
  42. 신기수, 박현숙 (2021). 중소·중견기업 리더의 온라인 코칭행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업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 코칭연구, 14(3), 25-51.
  43. 신을진, 이일화 (2010). 학습코칭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1(4), 145~465. https://doi.org/10.15753/AJE.2010.11.4.007007
  44.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양재훈, 조보람, 황인섭 (2020).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8), 55-67. https://doi.org/10.14400/JDC.2020.18.8.055
  46. 오윤석, 조은숙 (2020). 화상회의방식을 활용한 이야기 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의 효과와 특성 연구: 대면 집단상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4), 401-409. https://doi.org/10.17703/JCCT.2020.6.4.401
  47. 유성은 (2004). 시간관리와 자아실현. 서울: 생활지혜사.
  48. 윤미선, 김성일 (2003).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중고생의 학업성취 및 학습전략의 차이. 교육심리연구, 17(4), 455-469
  49. 윤소정 (2013).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5(3), 643-660.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3.643
  50. 윤영란 (2021).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7(8), 281-290.
  51. 윤정선 (2020).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현실치료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28.
  52. 윤정선, 박부진 (2014).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0(2), 119-141.
  53. 이강욱 (2008). 아이를 바꾸는 학습코칭론. 서울: 토담미디어.
  54. 이경화, 김정연 (2017). 대학생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온라인 창의수업의 효과. 교육문화연구, 23(1), 33-64. https://doi.org/10.24159/JOEC.2017.23.1.33
  55. 이경희, 강경리 (2016).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사고개발, 12(2), 119~154.
  56. 이다희 (2021).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 대학의 3 단계 학습 특별관리시스템 기반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275- 294.
  57. 이미연 (2013). 학습코칭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이보라 (2011). 학부모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코칭에 관한 사례연구: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0. 이선민 (2006). 대학생의 비학업 자아개념과 귀인성향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61. 이영실, 이경화 (2018).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수업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8(3), 51-70. https://doi.org/10.34226/gcl.2018.8.3.51
  62. 이원휘 (2000). 고등학생의 시간 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 이정례, 이경희 (2012).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적성향 사이의 관계 연구-D 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1), 15-23.
  64. 이정미, 이길재 (2017).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5(3), 133-153.
  65. 이지혜 (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48(2), 67-92.
  66. 이희경 (2005). 코칭심리워크북. 서울: 학지사
  67. 임이랑 (2020).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향상 학업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교양교육연구, 14(2), 297-309.
  68. 장휘숙 (2013). 전생애 발달. 서울: 박영사
  69. 전보라, 강승희, 윤소정 (2015). 학사경고 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과 집단 학습컨설팅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137-160.
  70. 정명희 (2009). 학습전략훈련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습관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1. 정미경 (2003).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개발. 교육학연구, 41(4), 157-182.
  72. 정미경 (2005).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18(3), 155-181.
  73. 정창숙 (2017).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7(10), 319-329.
  74. 정현옥, 김미영, 민세홍 (2010).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6(4), 197-212. https://doi.org/10.17055/JPAER.2010.16.4.197
  75. 조아라, 노석준 (2013).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 육공학연구, 29(4), 849-879.
  76. 조정선 (2016). 대학생의 학습코칭 참여경험 탐색 - 사회적지지 관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7. 진성희, 임고운, 김태현 (2019). 학업 저성취 대학생들을 위한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20, 671-694.
  78. 채화영 (2005). 직장인의 시간관리행동 유형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9. 최승희 (2011). 자기주도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0. 최혜란, 황부순 (2011). 학습코칭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백석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81. 하영자 (2011). 적시학습 지원을 위한 모바일 러닝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역량에 미치는 효과. 평생학습사회, 7(1), 17-41.
  82. 한순미 (2006).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7(3), 1-30.
  83. 한정아, 심홍섭 (2005). 대학생의 자아분화,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65-981.
  84. 황인득 (2011).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기초학습능력부진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학습 학업자아개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5.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 Tighe, E. M.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950-967. https://doi.org/10.1037/0022-3514.66.5.950
  86.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87. Bomar, R. A. (2017). The role of online academic coaching on levels of self-deter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88. Britton, B. K., & Tesser, A. (1991). Effects of time-management practice on college gra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3), 405-410. https://doi.org/10.1037/0022-0663.83.3.405
  89. Brookfield, S. (1985).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25. SanFrancisco, CA: Jossey-Bass.
  90. Brophy, J. E. (1998). On motivation students. In D. Berliner & B. Rosenshine (Eds), Talks to teacher, pp. 201-245. New York: Random House.
  91.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s). New York: W. W. Norton.
  92. Gallwey, W. T. (2000). The inner game of work: Focus, learning, pleasure and mobility in the workplace. New York, NY: Random House.
  93. Grant, A. M. (2006). A personal perspective on professional co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coaching psychology.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1), 12-22. https://doi.org/10.53841/bpsicpr.2006.1.1.12
  94. Grant, A. M., & Cavanagh, M. (2018). Life coaching. In Cox, E., Bachkirova, T., & Clutterbuck, D. (3eds). The complete handbook of coaching', pp. 327-344, London: SAGE.
  95. Grow, G. O. (1991).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Adult Education Quarterly, 41(3), 125-149. https://doi.org/10.1177/0001848191041003001
  96. Hall, B. L., & Hursch, D. E. (1982).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tim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on work efficien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Management, 3, 73-96. https://doi.org/10.1300/J075v03n04_08
  97. Hicks, R., & McCracken, J., (2012). Personality traits of a disruptive physician. Physician Executive, 38(5), 66-8.
  98. Holmes, C., & Foster, V. (2012). A preliminary comparison study of online and face-to-face counseling: Client perceptions of three factors.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30(1), 14-31. https://doi.org/10.1080/15228835.2012.662848
  99. Hunt, C. M., Fielden, S. & Woolnough, H. M. (2019). The potential of online coaching to develop femal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Gender in Management, 34(8), 685-701. https://doi.org/10.1108/GM-02-2019-0021
  100. Keller, J. M. (1987).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motivation to learn. Performance and Instruction, 26(8), 1-7.
  101. King, A., Winnett, R., & Lovett, S. (1986). Enhancing coping behaviors in at-risk populations: The effects of time-management instruction and social support in women rom dual-earner families. Behavior Therapy, 17, 57-66. https://doi.org/10.1016/S0005-7894(86)80114-9
  102.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NY : Association Press.
  103. Macan, T. H., Shahani, C., Dipboye, R. L., & Philips, A. P. (1990).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4), 760-768. https://doi.org/10.1037/0022-0663.82.4.760
  104. Partin, R. L. (1983). Time management for school counselors. The School Counselor, 30(4), 280-284.
  105.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106. Purdie, N., Hattie, J., & Douglas, G. (1996). Student conceptions of learning and thei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 cross-cultural comparis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1), 87-100. https://doi.org/10.1037/0022-0663.88.1.87
  107. Rock, M., Gregg, M., Gable, R., Zigmond, N., Blanks, B., Howard, P., & Bullock, L. (2012). Time after time online: An extended study of virtual coaching during distant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20(3), 277-304.
  108. Seiwert, L. J. (1993). Mehr Zeit fur das Wesentliche: der Zeitmanagement-Klassiker. mvg-Verlag.
  109. Stenbom, S., Hrastinski, S., & Cleveland-Innes, M. (2012). Student-student online coaching as a relationship of inquiry: An exploratory study from the coach perspectiv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16(5), 37-48.
  110. Stoetzel, L., & Shedrow, S. (2020). Coaching our coaches: How online learning can address the gap in preparing K-12 instructional coach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88, 102959. https://doi.org/10.1016/j.tate.2019.102959
  111. Vallerand, R. J., Pelletier, L. G., Blais, M. R., Briere, N. M., Senecal, C., & Vallieres, E. F. (1992).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A measure of intrinsic, extrinsic and a motivation in education.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 1003-1017. https://doi.org/10.1177/0013164492052004025
  112. Wang, L., & Wentling, T. L. (2001, M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ance coaching and the transfer of training. In Proceedings from the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ference. Tulsa, Oklahoma.
  113. Wolters, C. A. (1999). The 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ies, effort, and classroom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3), 281-299. https://doi.org/10.1016/S1041-6080(99)80004-1
  114. Woolfolk, R. L. (1998). The Jossey-Bass psychology series. The cure of souls: Science, values, and psychotherapy. Jossey-Bass.
  115. Zarrett, N., & Eccles, J. (2006). The passage to adulthood: Challenges of late adolescence. New Directions for Youth Development, 2006(111), 13-28. https://doi.org/10.1002/yd.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