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s and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차선미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Cha, Sun Mi (Dep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 Jeon, Sang Nam (Dep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투고 : 2022.08.02
  • 심사 : 2022.08.21
  • 발행 : 2022.08.31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adolescents by using the data of the 17th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Survey(2020). Methods: The total sample was 54,848 students who are in middle or high school. In this study, sociodemographic variables, health behavior variables, and stress were input to examine the effect on depression. The data was analyzed with χ2-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SPSS statistic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wa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stress factors. In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not only stress but also other variables had an effect on depression, whic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causes such as environmental aspects and health behaviors that surround adolescents' depression rather than a single factor such as stress. Also, stress and depression are reciprocal rather than causal. Adolescents should be subdivided into groups such as grade, gender, or academic performance to relieve stress and depression at the same time through specific interven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승호, 문은식, 차미영. (2011).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우울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교육심리연구, 25(2), 277-293.
  2. 고유라. (2016).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수면시작시간과 우울감의 상관관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9(2), 90-97. https://doi.org/10.15434/KSSH.2016.29.2.90
  3. 곽수란, 이경호. (2019). 아동ㆍ청소년의 학업성적과 자존감이 우울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청소년학연구, 26(12), 177-199.
  4. 권호인. (2012). 아동청소년기 우울증의 예방 개입에 대한 고찰. 인지행동치료, 12(1), 21-41.
  5. 김민경, 조경원. (2019). 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과 자살생각, 자살계힉, 자살시도 관련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6(3), 61-71.
  6. 김재엽, 남석인, 최선아. (2009).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TSL대처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2, 375-308.
  7. 김재현, 강승호, 정다영, 최정연, 부유경. (2019). 제14기(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청소년 총 수면시간과 자살 생각 사이의 연관성.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 652-662. https://doi.org/10.5762/KAIS.2019.20.12.652
  8. 김현순, 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0(2), 201-219.
  9. 박병선. (2012).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보건사회연구, 32(3), 485-521. https://doi.org/10.15709/HSWR.2012.32.3.485
  10. 박은옥. (2008).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8(3), 465-473.
  11. 박재연, 임연옥, 윤현숙. (2010). 한국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이르는 경로분석. 사회복지연구, 41(4), 81-105. https://doi.org/10.16999/KASWS.2010.41.4.81
  12. 박형수, 박종. (2013).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건강행태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8(6), 955-961.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6.955
  13. 서한나. (2011). 초기 청소년기의 자살생각에 관한 종단 연구: 스트레스와 우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0(3), 629-646.
  14. 손신영. (2014). 청소년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606-16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606
  15. 안동현. (2009). 청소년 정신건강장애. 대한의사협회지, 52(8), 745-757.
  16. 우채영, 박아청, 정현희. (2010).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9-38.
  17. 윤연정, 이미숙. (2018).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학업스트레스,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1), 87-101.
  18. 이근영, 최수찬, 공정석. (2011).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5), 83-107.
  19. 이윤정, 표은영, 정진옥, 안지연. (2016).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증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접근에 따른 영향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9(3), 189-200.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189
  20. 전상남. (2016). 중학생의 학업성적별 자아유능감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17(1), 1-10.
  21. 전진아, 박현용, 손선주. (2012). Trajectories of Korean adults' depressive symptoms and its associations with smoking and drinking: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ing.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3), 63-86.
  22. 전진아, 이난희. (2015). 한국복지패널자료로 살펴 본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양상과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1월 통권 제219호, 75-84.
  23. 질병관리청. 2022. 제17차(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24. 채인석, 장효열. (2021).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35(2), 257-274 https://doi.org/10.18398/KJLGAS.2021.35.2.257
  2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III: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현장적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홍영수, 전선영.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건강과 사회사업, vol.19, 125-149.
  27. Antonucci TC, Mcllvane JM. (2003). Stressors: Social. In R. Ferna'ndez-Ballesteros (Ed.), Encylopedia of Psychological Assessment (pp931-939). London: Sage Publication.
  28. Brady EU, Kendall PC. (1992). Comorbid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bulletin, 111(2), 244-255. https://doi.org/10.1037/0033-2909.111.2.244
  29. Cole DA, Nolen-Hoeksema S, Girgus J, Paul G. (2006). Stress exposure and stress generation in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on: a latent trait-state-error approach to longitudinal analys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5(1), 40-51. https://doi.org/10.1037/0021-843X.115.1.40
  30. De Wilde EJ, Kienhorst IC, Diekstra RF, Wolters, WH.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nd life even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9(1), 45-51. https://doi.org/10.1176/ajp.149.1.45
  31. Glassman AH 외 6명. (1988). Heavy smokers, smoking cessation, and clonidine: results of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59(19), 2863-2866. https://doi.org/10.1001/jama.1988.03720190031026
  32. Huff CO. (1999). Source, recency, and degree of stress in adolescence and suicide ideation. Adolescence, 34(133), 81-89.
  33. Kelly TM, Lynch KG, Donovan JE, Clark DB. (2001). Alcohol use disorders and risk factor interactions for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1(2), 181-193. https://doi.org/10.1521/suli.31.2.181.2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