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olution of the Ten Subjects and Their Significance in the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of China

중국 고승전의 체재 변화와 그 의미

  • Received : 2022.07.25
  • Accepted : 2022.12.0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In order to show the achievements of eminent monks who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spread and establishment of Buddhism in China, Huijiao (慧皎) compiled the Gaosengzhuan (高僧傳,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and set up ten subjects, the Shike (十科); meaning the ten rules for translating. The ten subjects served as an important framework for the Gaosengzhuan and its significance as a general history of Buddhism. This significance was further confirmed by the Xu-Gaosengzhuan (續高僧傳 The Continued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the Song-Gaosengzhuan (宋高僧傳 The Song Dynasty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and the Daming-Gaosengzhuan (大明高僧傳 The Great Ming Dynasty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which were compiled successively after the Gaosengzhuan. The ten subjects of the Gaosengzhuan underwent change in terms of the subject titles and their meanings in the subsequent versions of the Gaosengzhuan. In the Xu-Gaosengzhuan, Daoxuan (道宣) changed the titles of some subjects and added a new subject, and in the Song-Gaosengzhuan, Zanning (贊寧) gave new meanings to each subject without changing the ten subjects as they appeared in the earlier Xu-Gaosengzhuan. In the Daming-Gaosengzhuan, Ruxing (如惺) retained three of the subjects but removed seven. This evolution of formation and meaning in the ten subjects was the result of the author's deep recognition and also reflections on major changes and transitions in Buddhist history. Edification was emphasized in the Gaosengzhuan, self-discipline in the Xu-Gaosengzhuan, and wisdom and enlightenment were stressed in the Song-Gaosengzhuan. Ruxing showed that the collapse of the ten subjects reflected the decline of Buddhism. The fact that the ten subjects from each Gaosengzhuan were given different meanings demonstrates that these authors recognized Buddhist history differently.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processing of Chinese Buddhist history has been reflected through each of their lens. But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compare various aspects of each version of the Gaosengzhuan.

혜교(慧皎)는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어 널리 퍼지고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 큰 기여를 한 고승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 『고승전(高僧傳)』을 저술했다. 혜교는 열 개의 과목을 설정해 행적들을 세분했는데, 이른바 '십과(十科)' 체재다. 이 십과는 고승전이 불교사서로서 의의를 갖게 해주는 중요한 틀이다. 『고승전』을 이어 저술된 『속고승전(續高僧傳)』, 『송고승전(宋高僧傳)』, 『대명고승전(大明高僧傳)』 등이 십과 체재를 따른 데서 확인된다. 그러나 십과는 고승전 저자들의 인식과 의도에 따라 형태에서 변화를 겪었다. 도선은 『속고승전』에서 일부 과목들의 명칭을 바꾸고 새로운 과목을 추가했으며, 찬녕은 『송고승전』에서 『속고승전』의 십과를 그대로 이으면서 각 과목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뒤늦게 『대명고승전』을 편찬한 여성은 세 과목만 남기고 일곱 과목을 없앴다. 십과의 체재는 형태뿐만 아니라 의미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혜교가 교화를 중시했다면, 도선은 '수행'과 '실천'을 강조했고 찬녕은 '지혜' 와 '깨달음'을 강조했다. 여성은 십과의 붕괴를 보여주면서 불교가 쇠퇴하고 있었던 상황을 담아냈다. 이렇게 각 고승전의 십과에 각기 다른 의미가 부여되었다는 것은 저자들이 불교사를 각기 다르게 인식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중국 불교사의 전개 과정이 일부 반영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 물론 각 고승전의 내용을 다양한 측면에서 심도 있게 분석해 비교하는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승전(高僧傳)」, 고려대장경 50-2059
  2. 「속고승전(續高僧傳)」, 고려대장경 50-2060
  3. 「송고승전(宋高僧傳)」, 대정신수대장경 50-2061
  4. 「대명고승전(大明高僧傳)」, 대정신수대장경 50-2062
  5. 「신승전(神僧傳)」, 대정신수대장경 50-2064
  6. 「보속고승전(補續高僧傳)」, 卍속장경 77-1524
  7. 「베트남 선사들의 이야기」(원서명: 禪苑集英), 정천구 옮김, 서울: 민족사, 2001.
  8. 정천구, 「「삼국유사」와 중.일 불교전기문학(佛敎傳記文學)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9. 정천구, 「붓다의 신통에서 고승의 신이로」, 「대순사상논총」 39, 2021. https://doi.org/10.25050/jdaos.2021.39.0.215
  10. 에띠엔 라모뜨, 「인도불교사 1」, 호진 옮김, 서울: 시공사, 2006.
  11. 케네스 첸, 「중국불교」, 박해당 옮김, 서울: 민족사, 1994.
  12. 郭朋, 「中國佛敎思想史 中卷」,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1994.
  13. 石井修道, 「「大宋高僧伝」から「大明高僧伝」へ」, 「宋代禪宗史の硏究」, 東京: 大東出版社, 1987.
  14. John Kieschnick, The Eminent Monk: Buddhist Ideals in Medieval Chinese Hagiography,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