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동하, 엄명용 (2016). 아동의 학교결석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패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한국사회복지학, 68(3), 105-125. https://doi.org/10.20970/KASW.2016.68.3.005
- 김동하 (2018). 아동의 게임이용과 공격성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잠재성장 결합모형을 활용하여. 청소년복지연구, 20(1), 255-274.
- 김미경, 강효순 (2021). 코로나19 팬데믹시대, 닌텐도 게임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1(2), 33-42. https://doi.org/10.7583/JKGS.2021.21.2.33
- 김여진 (2011).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과 대인관계가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영민, 임영식 (2014).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자기통제력의 종단적 변화추이: 부모, 또래, 교사애착 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1(5), 303-327.
- 김유나, 이환수 (2014). 온라인게임 강제적 셧다운제가 청소년의 게임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발표논문집, 2014, 857-872.
- 김지연, 도영임(2014).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 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3), 263-280.
- 김태연, 이순형(2011). 아동.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1(4), 151-162. https://doi.org/10.7583/JKGS.2011.11.4.151
- 민다경, 송인한, 이한나 (2014). 인터넷 게임 과몰입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2(9), 445-454. https://doi.org/10.14400/JDC.2014.12.9.445
- 박승민, 김은하 (2009). 청소년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경향성과 개인적, 환경적 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자료 분석. 청소년학연구, 16(1), 393-413.
- 박승민, 송수민 (2010).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영향요인 연구. 인간이해, 31(2), 251-266.
- 박주연, 김희화 (2013). 초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과 인터넷 중독성향 간의 관계: 부모 훈육방식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20(1), 25-45.
- 박현수, 정혜원. (2013). 자기통제력의 안정성과 변화. 소년보호연구, 22, 223-258.
- 배경희 (2003). 인터넷 과잉이용 학생과 보통이용 학생간의 자존감, 공격, 우울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배병렬 (201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 백지숙 (2005). 인터넷 게임동기 유형에 따른 대학적응과 인터넷 게임중독. 아동학회지, 26(1), 31-46.
-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 서준호, 이희경 (2012). 게임몰입과 게임중독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9(11), 23-44.
- 송남옥 (2004).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사용 수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안세근, 조정희 (2007).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연구. 교육실천연구, 6(2), 87-103.
- 여성가족부 (2019.05.01.). 2019 청소년통계 보도자료.
- 여성가족부 (2020.05.25.). 2020 청소년통계 보도자료.
- 유승호 (2001). 게임중독의 현황과 대처방안. 서울: 게임종합지원센터.
- 윤수연, 김은정 (2005). 인터넷 게임중독 및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게임특성, 게임 이용동기,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5(1), 420-421.
- 이소영, 권정혜 (2001).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 67-80.
- 이완희 (2012). The Influence of Changes in Self-Control on the Trajectory of Juvenile Delinquency among South Korean Youth.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1, 238-270.
- 이희경 (2003).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 요인이 게임 몰입과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4), 355-380
- 장예빛 (2017). 청소년의 고독감, 공격성, 자기통제 및 도덕성과 게임과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30(3), 69-76. https://doi.org/10.22819/KSCG.2017.30.3.009
- 장재홍 (2005). 인터넷 사용욕구와 심리사회변인들이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2(2), 39-55.
- 전종수 (2014). 한국의 인터넷 게임 셧다운제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4(6), 99-108.
- 정영숙 (1994). 어머니에 대한 배려가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정의준, 유승호, 김민규, 장예빛, 김민철, 김붕년 외 (2017). 게임이용자 패널 1차년도 연구(KOCCA14-68).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 정지혜, 박주희, 임양미 (2014). 초등학교 남아의 인터넷 폭력게임 사용시간과 게임과몰입정도가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5(4), 41-59.
- 정태근 (2005).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 통제력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13(1), 143-163.
- 제승희 (2016). 청소년의 미래지향성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조영기 (2009).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과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진영희 (2002). 부모 자녀 애착 및 부모의 컴퓨터 게임에 대한 태도, 자기 통제력이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최훈석, 김교현, 용정순, 김금미 (2009). 적응적 게임활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5(4), 565-589.
-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16 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총단연구2013(IV):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I) (RR2016-16-01).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게임이용에 대한 인식 및 행동진단 모델 연구.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2011 게임이용자 종합 실태조사(KOCCA11-52).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2019 게임이용자 실태조사(KOCCA19-16).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KOCCA20-01). 나주: 한국콘텐츠진흥원.
-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 황수정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사회적응력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Collins, E., Freeman, J., & Chamarro-Premuzic, T. (2012). Personality traits associated with problematic and non-problematic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us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2), 133-138. https://doi.org/10.1016/j.paid.2011.09.015
-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Bass.
-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Perennial.
- Demetriou, A. (2000).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Toward a general theory. In M. Boekaerts, P.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209-251). San Diego, CA: Academic Press.
- Durkin, K., & Barber, B. (2002). Not so doomed: Computer game play and positive adolescent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3(4), 373-392. https://doi.org/10.1016/S0193-3973(02)00124-7
- Duncan, T. E., & Duncan, S. C. (2004). An Introduction to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Behavior Therapy, 35(2), 333-363. https://doi.org/10.1016/S0005-7894(04)80042-X
- Enders, C. K. (2010). Applied missing data analysis. New York: Guilford Press.
- Felszeghy, S., Pasonen-Seppanen, S., Koskela, A., Nieminen, P., Harkonen, K., Paldanius, et al. (2019). Using online game-based platforms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and engagement in histology teaching. BMC Medical Education, 19(1), 273. https://doi.org/10.1186/s12909-019-1701-0
- Florez, I. R. (2011). Developing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through everyday experiences. Young Children, 66(4), 46-51.
- Fu, Y., Burns, R. D., Gomes, E., Savignac, A., & Constantino, N. (2019). Trends in Sedentary Behavior, Physical Activity, and Motivation during a Classroom-Based Active Video Game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16), 2821. https://doi.org/10.3390/ijerph16162821
- Gabbiadini, A., & Greitemeyer, T. (2017). Uncovering the association between strategy video games and self-regulation: A correlational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4, 129-136. https://doi.org/10.1016/j.paid.2016.07.041
- Greenfield, P. M., deWinstanley, P., Kilpatrick, H., & Kaye, D. (1994). Action video games and informal education: Effects on strategies for dividing visual attentio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1), 105-123. https://doi.org/10.1016/0193-3973(94)90008-6
- Greitemeyer, T., & Osswald, S. (2009). Prosocial video games reduce aggressive cogni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5(4), 896-900. https://doi.org/10.1016/j.jesp.2009.04.005
- Gentile, D. A., Anderson, C. A., Yukawa, S., Ihori, N., Saleem, M., Ming, L. K., et al. (2009). The effects of prosocial video games on prosocial behaviors: International evidence from correlational,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studi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5(6), 752-763. https://doi.org/10.1177/0146167209333045
- Hur, M. H. (2006). Demographic, habitual, and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Internet addiction disorder: an empirical study of Korean teenagers. Cyberpsychology & Behavior, 9(5), 514-525. https://doi.org/10.1089/cpb.2006.9.514
- Kaler, S. R., & Kopp, C. B. (1990). Compliance and Comprehension in Very Young Toddlers. Child Development, 61(6), 1997-2003. https://doi.org/10.2307/1130853
- Kim, S., Murry, V. M., & Brody, G. H. (2001).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An Application of Second-Order Growth Curve Model Analysis. Seattl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Kenny, D., Kashy, D., & Bolger, N. (1998). Data analysis. In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s. 1 and 2, (pp. 233-265). New York, NY: McGraw-Hill.
- Kirk, J. M., & Logue, A. W. (1996). Self-control in adult humans: Effects of counting and timing. Learning and Motivation, 27, 1-20. https://doi.org/10.1006/lmot.1996.0001
- Lee, K. M., & Peng, W. (2006). What do we know about soci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mputer games. In P. Vorderer, & J. Bryant (Eds.), Playing video games: Motives, responses, and consequences (pp. 327-345). Mahwah, NJ: Erlbaum.
- Narvaez, D., Mattan, B., MacMichael, C., & Squillace, M. (2008). Kill bandits, collect gold or save the dying: The effects of playing a prosocial video game. Media Psychology Review, 1(1). Retrieved from http://mprcenter.org/mpr/index.php?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35&Itemid=12
- Olson, C. K., Kutner, L. A., & Warner, D. E. (2008). The role of violent video game content in adolescent development: Boys' perspective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3, 55-75. https://doi.org/10.1177/0743558407310713
- Rideout, V. J., Foehr, U. G., & Roberts, D. F. (2010). Generation M 2: Media in the Lives of 8-to 18-Year-Olds [PDF file]. Retrieved from http://www.kff.org/entmedia/upload/8010.pdf
- Saleem, M., Anderson, C. A., & Gentile, D. A. (2012). Effects of prosocial, neutral, and violent video games on children's helpful and hurtful behaviors. Aggressive Behavior, 38(4), 281-287. https://doi.org/10.1002/ab.21428
-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https://doi.org/10.2307/270723
-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 271-322.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 Zimmerman, B. J. (2000).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13-39). San Diego, CA: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