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바이오매스 부산물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멀칭필름의 분해 실태 연구

The Degradation Study of Polyethylene Based Mulching Films with Compatibilizer and Biomass

  • 투고 : 2022.01.07
  • 심사 : 2022.08.10
  • 발행 : 2022.08.31

초록

LDPE와 LLDPE 수지에 바이오매스 부산물을 혼합한 다음 분해촉진제와 상용화제로 처리한 후 멀칭필름을 제조하였다. 인장강도, 신장율, TGA, DSC를 분석하였고, 필름을 멀칭한 후 옥수수를 심고 4개월간 분해 상태를 조사하였다. 인장강도와 신장율은 UV 조사 100시간 후 20 N/cm2와 5%로 나타났고, 200시간 후는 0 N/cm2과 거의 0%로 각각 나타났다. TGA 분석은 고분자 고유 peak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DSC는 결정화 온도가 조금 높아졌다. 필름의 분해상태를 조사한 예비시험결과, 외관상태는 6주 후부터 차이가 났으며, 12주 후에는 필름의 색상은 물론 찢어진 곳이 여러 곳에서 볼 수 있었다. 옥수수를 식재한 다음 4개월 후 멀칭필름의 분해상태를 조사한 결과 필름 여러 곳이 분해되어 있었고, 크게 찢겨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개발 필름을 농업용 생분해성 멀칭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Mulching film was produced by LDPE and LLDPE adding biomass byproducts and MA(maleic anhydride), talc/clay/CaO/CaCO3. And also surveyed to tensile strength, elongation, TGA and DSC according to the UV irradiation time.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showed 20 N/cm2 and 5% after UV irradiation 100 hours, and those was nearly 0 N/cm2 and 0% after 200 hours, respectively. TGA of film was showed to peak of polymer itself, and DSC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initial value. At the pilot scale test, we were able to see the differentiate of degradation between control and developed film after 12 weeks, and also torn off at several part of mulching film. The degradation of mulching film after growing corn showed similar to a pilot scale test. Above the results, the developed mulching film adding biomass will be to used for agricultural farming.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정수, 주홍수, 류재영, 배재근, 전영승. 2002. 혐기성소화에 의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분해능 검토. J. of the Korea Organic Waste Recycling Council. 10(1): 109-119.
  2. Koening, M. F. and Huang, S. J. 1995. Biodegradable Blends andComposites of Polycaprolactone and Starch Derivatives. Polymer. 36(9): 1877. https://doi.org/10.1016/0032-3861(95)90934-T
  3. Ratto, J. A., Stenhouse, P., Auerbach, M., Michell, J. and Farrel, R. 1999. Processing, Performance and Biodegradability of a ThermoplasticAliphatic Polyester/Starch System. Polymer. 40: 6777 https://doi.org/10.1016/S0032-3861(99)00014-2
  4. Choi, E. J., Kim, C. H. and Park, J. K. 1999. StructurePropertyRelationship in PCL/Starch Blend Compatibilized with Starch-g-PCLCopolymer. J. of Polymer Science. 37: 2430.
  5. Pranamuda, H., Tokiwa, Y. and Tanaka, H. 1995. Phys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Blends Containing Poly(-Caprolactone) andTropical Starches. J. of Environmental Polymer Degradation. 4(1): 1. https://doi.org/10.1007/BF02083877
  6. 서영록. 2020. (A)Study on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PLA-based Biocomposites : Focused on Wood-based Materials and Biopolymers.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논문. xiii, 159.
  7. 최경만. 2015. 반응성 블렌딩에 의한 폴리락트산의 가소화 특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ix. 159.
  8. 김정철, 염제성, 부성제, 반하람, 김남렬, 공영준. 2018. 비료성분(CaSO4, 인산석고)이 포함된 생분해성농업용 필름개발. 생산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제 4장.
  9. 이두원. 1994. 광분해성 Plastic Cyporene. 고분자 과학기술. 5(1): 29-37.
  10. 이진규 정동석, 유영선. 2016. 생분해 촉매제를 이용한 산화 생분해 바이오 필름 개발.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22(3): 127-134. https://doi.org/10.20909/kopast.2016.22.3.127
  11. 한정구, 박승준, 이범수, 박형우. 2021. 상용화제 첨가가 화이트 바이오 생분해 플라스틱 필름의 인장강도와 토출 량과 비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포장학회지. 27(3): 1-6.
  12. Hamada, K., Kaseema, M., Koa, Y. G. and Deri, F. 2014. Biodegradeble Polymer Blends and Composites. an Overview. Polymer Sci. Series. 56(6): 812-829. https://doi.org/10.1134/S0965545X14060054
  13. ASTM D 5208-01. 2001. Standard Practice for Fluorescent Ultraviolet (UV) Exposure of Photodegradable Plastics. USA
  14. 박종원, 박철, 정미화, 전병철, 정용찬, 박종신, 조재환. 2003. 생분해능을 갖는 원예용 제충.제초 폴리에틸렌 멀칭 필름에 관한 연구.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191-192.
  15. 이준성, 정광호, 김학신, 김정주, 송연산, 방진기. 2009. 생분해성 멀칭필름을 이용한 고구마 재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4(2): 135-142.
  16. 신지은, 함미란, 김정철, 장해진. 2011. 유연한 점토-폴리(비닐 알코올) 하이브리드 필름의 특성 연구: 열적.광학적 성질, 모폴로지, 및 가스 투과성. Polymer (Korea). 35(5): 402-408. https://doi.org/10.7317/pk.2011.35.5.402
  17. You, Y. S., Kim, M. K., Park, M. J. and Choi, S. W. 2014. Development of Oxo-biodegradable Bio-plastics Film Using Agricultural By-product such as Corn Husk, Soybean Husk, Rice Husk and Wheat Husk. Clean Tech. 20(3): 205-211. https://doi.org/10.7464/ksct.2014.20.3.205
  18. Lee, H., Kim, M. J., Kim, H. L., Kwack, Y. B., Kwon, J. K. and Park, K. S. 2015. Effects of Biodegradable Mulching Film Application on Cultivation of Garlic.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4(4): 326-332. https://doi.org/10.12791/KSBEC.2015.24.4.326
  19. Shuler, M. L. and Kargi, F. 1994. Bioprocess Engineering. Prentice-Hall Inc., New Jersey. USA. 432.
  20. 이준설, 정광호, 김학신, 김정주, 송연상, 방진기. 2009. Bio-Degradable Plastic Mulching in Sweet potato Cultivation. Korean J. of Crop Science. 54(2): 13-142.
  21. 진문식. 2011. 양파 추파재배에서의 생분해성 필름 멀칭효과.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2. 이재한, 김종목, 기홍림, 곽용범, 김준국, 박경섭, 최효깅, 벡조드. 2015. 마늘재배시생분해성멀칭필름이용효과.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4(4): 326-332. https://doi.org/10.12791/KSBEC.2015.24.4.326
  23. 한상익, 강항원, 변대두, 장기장, 서우덕, 나지은, 김중영. 최경진. 2011. 벼 부산물을 함유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 성질 및 분해 특성.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6(2): 113-118. https://doi.org/10.7740/KJCS.2011.56.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