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st Asian Security in the Multipolar World Order: A Review on the Security Threat Assessment of the Korean Peninsula Amid the Restructuring of International Order

다극체제와 동아시아 안보: 국제질서 재편에 따른 한반도 안보 위협 논의의 재고찰

  • Received : 2022.06.14
  • Accepted : 2022.07.10
  • Published : 2022.07.31

Abstract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 sustained by overwhelming national pow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is gradually being restructured from a unipolar international system to a bipolar international system or a multipolar international system, coupled with the weakening of U.S. global leadership and the rise of regional powers. Geopolitically, discussions have been constantly raised about the security instability that the reshaping of the international order will bring about, given that East Asia is a region where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and regional powers sharply overlap and confli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whether security discussions in Korea are based on appropriate crisis assessment and evalu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security crisis theory emerging in Korea tends to arise due to threat exaggeration and emphasizes the need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nature and the level of threats that the restructured international order can pose to regional security.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flict patterns (frequency and intensity), occurring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s divided into a bipolar system (1950-1990), a unipolar system (1991-2008), and a multipolar system (2009-current), this study shows that East Asia has not been as vulnerable to power politics as other regions. This investigation emphasizes that the complexity of Korea's diplomatic and security burden, which are aggravated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terpreted as a grave security threat. This is because escalating unnecessary security issues could reduce the diplomatic strategic space of the Republic of Korea.

냉전의 종식 이후, 압도적인 국력을 바탕으로 유지되어왔던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약화와 지역 강대국들의 부상이 맞물리면서, 점차 단극체제에서 양극체제 또는 다극체제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이다. 지정학적으로, 동아시아는 미국 뿐 아니라 지역 강대국들의 국익이 첨예하게 중첩되고 대치되는 지역이라는 관점에서, 국제질서의 재편이 가져올 안보 불안정 상황에 관한 논의가 끈임없이 제기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안보 논의가 적절한 위기 인식과 평가에 근간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두되는 안보 위기론이 과대 위협 인식에 기인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고, 국제질서의 재편이 지역 안보에 가할 수 있는 위협의 본질과 수준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개념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양극체제 (1950-1990), 단극체제 (1991-2008), 다극체제 (2009-현재)로 구분되는 기간 동안,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분쟁 양상(빈도와 강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무력 분쟁'의 관점에서, 동아시아가 다른 지역에 비해 국제질서 재편에 크게 취약하지 않았으며, 독자적인 평화를 구축하고 유지해 왔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국제질서의 재편으로 인해 가중되는 외교·안보적 부담과 복잡화된 손익 계산이 반드시 중대한 안보 위협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한다. 불필요한 안보 이슈 확대가 대한민국의 외교적 전략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shraf, N. (2020). Revisiting international relations legacy on hegemony: The decline of American hegemony from comparative perspectives. Review of economics & political science: REPS, ahead-of-print(ahead-of-print).
  2. Bueno de Mesquita, B. (1975). Measuring systemic polarity.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19(2): 187-216. https://doi.org/10.1177/002200277501900201
  3. Burgess, S. F. (2016). Rising bipolarity in the South China Sea: the American rebalance to Asia and China's expansion. Contemporary security policy, 37(1): 111-143. https://doi.org/10.1080/13523260.2016.1149968
  4. Buzan, B. (2021). Russia in the Post-Cold War International Order. Russia in Global Affairs, 19(4): 22-35. https://doi.org/10.31278/1810-6374-2021-19-4-22-35
  5. Cassani, A. (2021). COVID-19 and the Democracy-Autocracy Freedom Divide: Reflections on Post-Pandemic Regime Change Scenarios. Political Studies Review, 00(0): 1-8.
  6. Cha, V. D. (2020). Allied Decoupling in an Era of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Chi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13(4): 509-536. https://doi.org/10.1093/cjip/poaa014
  7. Chan, G. (2013). The Rise of Multipolarity, the Reshaping of Order: China in a Brave New World?. International journal of China studies, 4(1): 1-16.
  8. Christensen, T. J. and Snyder, J. (1990). Chain gangs and passed bucks: Predicting alliance patterns in multipolarity. International organization, 44(2): 137-168. https://doi.org/10.1017/S0020818300035232
  9. Chung, J. H. (2006). 'Between Ally and Partner' in Between Ally and Partner.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Cottey, A. (2021). The West, Russia and European security: Still the long peace?. The British Journal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24(2): 207-223. https://doi.org/10.1177/13691481211036381
  11. Daly, T. G. (2022). 'The pandemic and the future of global democracy' in Routledge Handbook of Law and the COVID-19 Pandemic. Routledge.
  12. Deutsch, K. W. and Singer, J. D. (1964). Multipolar power systems and international stability. World Politics, 16(3): 390-406. https://doi.org/10.2307/2009578
  13. Gilpin, R. (1981). Wa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Haas, M. (1970). International subsystems: stability and polarit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4(1): 98-123. https://doi.org/10.2307/1955616
  15. Han, S. (2008). From engagement to hedging: South Korea's new China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4): 335-351. https://doi.org/10.22883/KJDA.2008.20.4.004
  16. Ikenberry, G. J. (1998). Institutions, strategic restraint, and the persistence of American postwar order. International security, 23(3): 43-78. https://doi.org/10.2307/2539338
  17. Jones, D. M., Bremer, S. A. and Singer, J. D. (1996).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s, 1816-1992: Rationale, coding rules, and empirical patterns. Conflict Management and Peace Science, 15(2): 163-213. https://doi.org/10.1177/073889429601500203
  18. Kang, D. C. (2009). Between balancing and bandwagoning: South Korea's response to China.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9(1): 1-28. https://doi.org/10.1017/S1598240800002794
  19. Kaplan, M.A. (1957). Balance of Power, Bipolarity and other Models of International Systems1.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1(3): 684-695. https://doi.org/10.2307/1951855
  20. Keohane, R. O. (1984). After hegemony: transatlantic economic relations in the next decade. The International Spectator, 19(1): 3-9. https://doi.org/10.1080/03932728408456529
  21. Kim, S. (2021). An Analysis of the Vulnerabilities in China's Public Diplomacy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during the Xi Jinping Era. Anayses & Alternatives, 5(1): 59-85.
  22. Kivimaki, T. (2016). The long peace of East Asia. Routledge.
  23. Kupchan, C. (2021). Bipolarity is Back: Why It Matters. The Washington quarterly, 44(4): 123-139. https://doi.org/10.1080/0163660X.2021.2020457
  24. Kuzmarov, J. and Marciano, J. (2017). The Russians Are Coming, Again. Monthly review, 69(4): 15-23. (New York. 1949).
  25. Mansfield, E. D. (1993). Concentration, polarity, and the distribution of power.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37(1): 105-128. https://doi.org/10.2307/2600833
  26. Marshall, M. G. (2020). Major episodes of political violence (MEPV) and conflict regions, 1946-2018. Center for Systemic Peace.
  27. Marshall, M. G., Gurr, T. R. and Harff, B. (2019). PITF-State Failure Problem Set: Internal Wars and Failures of Governance, 1955-2018. Societal-Systems Research Inc, Vienna, VA.
  28. Mearsheimer, J. J. (1990). Back to the future: Instability in Europe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security, 15(1): 5-56. https://doi.org/10.2307/2538981
  29. Monteiro, N. P. (2011) Unrest assured: Why unipolarity is not peaceful. International Security, 36(3): 9-40. https://doi.org/10.1162/ISEC_a_00064
  30. Moon, C. (2017). 'China's Rise and Security Dynamics on the Korean Peninsula', in Strategic Adjustment and the Rise of China. Cornell University Press.
  31. Morgenthau, H. J., Thompson, K. W. and Clinton, W. D. (1985).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NY: Random House.
  32. Muhr, T. (2018). Decline of US Hegemony? A Challenge of ALBA and a New Latin American Integrat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 edited by Bagley, Bruce M. and Defort, Magdalena. Bulletin of Latin American Research, 37(4): 495-497. https://doi.org/10.1111/blar.12854
  33. Nye, J.S. (1992). What new world order?. Foreign Affairs, 71(2): 83-96. https://doi.org/10.2307/20045126
  34. Organski, A. F. (1968). World Politics. (2ed.) New York: Alfred A. Knopf.
  35. Repucci, S. and Slipowitz, A. (2021). Democracy under siege. Freedom House [Preprint].
  36. Sadri, H. A. and Burns, N. L. (2010). The Georgia crisis: a New Cold War on the horizon?. Caucasian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4(2): 126-144.
  37. Sakwa, R. (2019). 'Stasis and Change: Russia and the Emergence of an Anti-hegemonic World Order', in Russia in the Changing International System.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8. Sun, Y. (2021). 미중 강대국 경쟁과 한반도. 한국국가전략, 6(2): 7-46.
  39. Thananithichot, S. and Kongdecha, K. (2021). Pandemic Backsliding? A Comparative Study of Democracy under the Virus Threat. Democracy x Innovations Working Paper Series [Preprint].
  40. Thompson, W. R. (1986). Polarity, the long cycle, and global power warfar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30(4): 587-615. https://doi.org/10.1177/0022002786030004001
  41. Tyushka, A. (2022) Weaponizing narrative: Russia contesting EUrope's liberal identity, power and hegemony. Journal of Contemporary European Studies, 30(1): 115-135. https://doi.org/10.17052/JCES.2012.30.3.115
  42. Waltz, K. N. (1979).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NY: Random House.
  43. Wohlforth, W. C. (1999). The stability of a unipolar world. International security, 24(1): 5-41. https://doi.org/10.1162/016228899560031
  44. 곽덕환. (2020). 미중 패권 경쟁 속에 한국의 안보전략. 군사발전연구, 14(1): 1-32.
  45. 김강녕. (2011).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동북아연구, 26(2): 1-30. https://doi.org/10.18013/JNAR.2011.26.2.001
  46. 김강녕. (2018). 미중관계의 전개와 현안문제 및 시사점. 한국과 국제사회, 2(2): 89-130. https://doi.org/10.22718/KGA.2018.2.2.089
  47. 김동성.정성희. (2016). 동북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대응.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1-178.
  48. 김상기. (2014). 기로에 선 한반도: 2010 년대 미중관계 변화와 한국의 전략. 한국정치학회보, 48(5): 229-247. https://doi.org/10.18854/KPSR.2014.48.5.011011
  49. 김상배. (2011). 네트워크로 보는 중견국 외교전략: 구조적 공백과 위치 권력 이론의 원용. 국제정치논총, 51(3): 51-77.
  50. 김상태. (2006).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외교안보전략. 정치정보연구, 9(2): 163-186.
  51. 김선재.김수환. (2022). 탈중국을 위한 대만 남향정책의 지속과 변화: 균형과 편승의 동학. 분석과 대안, 6(1): 69-114. https://doi.org/10.22931/AANDA.2022.6.1.003
  52. 김수민. (2012). 최근 국제질서 변동에 따른 한반도 주변정세 변화의 특징. 평화학연구, 13(4): 129-154.
  53. 김일수. (2014). 미중의 패권경쟁과 박근혜 정부의 대외정책. 대한정치학회보, 22(4): 79-100.
  54. 김재관. (2006). 미중 양국의 패권경쟁심화와 상호대응전략의 비교. 국제정치논총, 46(3): 141-168.
  55. 김태형. (2014). 1914 vs. 2014: 2014 년 동아시아는 1914년 유럽의 재현인가?. 유라시아연구, 11(2): 83-101. https://doi.org/10.31203/AEPA.2014.11.2.005
  56. 김학노. (2019). 한반도의 지정학적 인식에 대한 재고: 전략적 요충지 통념 비판. 한국정치학회보, 53(2): 5-30. https://doi.org/10.18854/KPSR.2019.53.2.001001
  57. 민병원. (2014). 국제정치체제 모델의 다양성과 변화: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비교. 한국정치학회보, 48(2): 183-203. https://doi.org/10.18854/KPSR.2014.48.2.009009
  58. 박성화. (2006).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북핵 해결과 다자협력을 중심으로. 북한학연구, 2(2): 147-179.
  59. 박용수. (2020). 미중 패권경쟁과 문재인 정부의 대응전략. 한국동북아논총, 25(1): 5-27.
  60. 박인휘. (2020). 강대국정치 (Power politics) 와 미중갈등: 한반도 문제의 연계성. 국가안보와 전략, 20(4): 1-31. https://doi.org/10.23111/NSAS.2020.20.4.001
  61. 박인휘. (2021). 동북아지역과 한반도 문제의 국제성. 한국동북아논총, 26(3): 23-41.
  62. 박창권. (2013). 미중의 지역내 패권경쟁 가능성과 우리의 전략적 선택방향. 전략연구, 57: 193-235.
  63. 박창희. (2013). 중국의 군사력 증강 평가와 우리의 대응방향. 전략연구, 57: 237-270.
  64. 박형준. (2019). 지속가능한 새로운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 추진 방안: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4(4): 5-25.
  65. 박휘락. (2017). 사드(THAAD) 논란에서 나타난 한국 "동북아시아 균형외교"의 위험. 한국동북아논총, 85: 145-167.
  66. 변창구. (2016). 제 6 장 미. 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대응전략. 통일전략, 16(3): 193-220.
  67. 송세관. (2021). 한국의 바람직한 국방개혁 방향 연구: 동북아 군비경쟁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5): 889-899.
  68. 송윤진. (2017). 동북아시아 국제체제 분쟁의 풍경: 아편전쟁에서 북핵위기까지 양국간 군사분쟁에 대한 분석. 한국동북아논총, 82: 133-152.
  69. 송주명. (2005). 일본의 민족주의 국가전략:"경제대국"을 넘어 "안보대국"으로. 황해문화, 48: 14-32.
  70. 신동만. (2015). 동북아 안보질서 변화 양상과 한국안보. 군사발전연구, 9(2): 95-115.
  71. 신재길. (2018). 한반도의 지정학적 지위의 변화: 핵 무장력 완성의 의미. 정세와노동, 146: 124-130.
  72. 신종호. (2014). 기획 시리즈: 동북아 지정학의 부활-중국; 한국, 한반도문제 주도권 회복해야. 통일한국, 371: 24-25.
  73. 윤황. (2010). 동북아 안보정세의 변화에 따른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구축의 방향 모색. 평화학연구, 10(3): 77-104.
  74. 이근욱. (2017). 동아시아에서의 민족주의와 안보경쟁 가능성: "하나의 중국 원칙", 해양영토, 그리고 일본 과거사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국가전략, 2(2): 59-81.
  75. 이삼성. (2008). 동아시아 제국주의의 시대구분:"제국주의 카르텔"로 본 근대 동아시아질서. 국제정치논총, 48(3): 57-92.
  76. 이상택.윤성석. (2016). 한국에 대한 중국위협론의 성립 조건과 군사적 함의. 동북아연구, 31(1): 29-59. https://doi.org/10.18013/JNAR.2016.31.1.002
  77. 이성현. (2020). 미중 경쟁 지정학 속의 북중관계. 국제관계연구, 25(2): 61-100.
  78. 이수형. (2008). 국제체제의 변화가 동맹의 유형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국방연구, 51(2): 111-134. https://doi.org/10.23011/JNDS.2008.51.2.005
  79. 이수형. (2012). 남북한 한반도 정치와 강대국 동맹정치 간의 연계성 분석. 세계정치(Journal of World Politics), 16.
  80. 이승근. (2018).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OSCE 모델의 유용성. JPI Research Series, 43: 301-312.
  81. 이정우. (2018). 다자간 안보협력과 군비통제의 모색: 이론과 유럽의 경험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6(3): 105-130.
  82. 임재형.이성우. (2019). 동북아시아 군비경쟁과 한반도 평화: 미. 중. 일 관계를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20(1): 73-102.
  83. 장원익.김우상.이상훈. (2007). 극 체제와 강대국 전쟁. 한국정치학회보, 41(1): 255-274. https://doi.org/10.18854/KPSR.2007.41.1.012012
  84. 전봉근. (2017). 미중 경쟁시대의 동북아 국제정치와 한국 안보. 주요국제문제분석 [Preprint].
  85. 전성훈. (2018). 21 세기 강대국 경쟁시대에 북한 핵문제의 진로. 북한학보, 43(1): 4-32.
  86. 전재성. (2014). 동아시아 국제정치 질서에 대한 체제 차원 분석: 복합조직원리론의 관점에서. 국제지역연구, 18(4): 3-28.
  87. 정경영. (2012). 동북아 질서 재편과 한국의 안보전략. 군사발전연구, 6(1): 173-211.
  88. 정구연. (2020). 아세안 (ASEAN) 국가들의 헤징과 동아시아 안보아키텍처의 변화 전망: 대미. 대중 군사외교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5(2): 27-51.
  89. 정한범. (2016). 동북아: 전통적 강자들의 귀환과 위기시나리오. 국제정치연구, 19(1): 185-213.
  90. 조경근. (2020).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와 한국 안보-군사비와 군사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전략, 20(3): 157-190.
  91. 조립신. (2012). 민족주의와 동아시아의 "분열". 중국학, 43: 251-268.
  92. 조비연. (2021). 미중 간 전략경쟁과 여타 중견국의 균형-편승 스펙트럼. 국제지역연구, 30(4): 69-110.
  93. 조한승. (2005). 양자적 분쟁에 대한 상대적 국력의 영향력: 적대수준의 상승적 관점 (escalatory perspective)에서. 국제정치논총, 45(2): 29-56.
  94. 조형진. (2021). 중국의 비공식적 경제 제재. 분석과 대안, 5(1): 25-57. https://doi.org/10.22931/AANDA.2021.5.1.002
  95. 차정미. (2017). 한반도 사드배치에 대한 중국의 위협인식과 대응전략-힘, 정체성, 지정학 요인을 중심으로. 통일연구, 21(2): 39-93.
  96. 최태강. (2014). 기획 시리즈: 동북아 지정학의 부활-러시아; 나진항 사업, 남, 북, 러 경제적 연계 촉진 시발점. 통일한국, 370: 24-25.
  97. 허원영. (2020). 일본의 지정학적 인식 변화와 해양안전보장: 냉전 후기의 위협인식 변화와 시레인 방위. 한일군사문화연구, 30: 37-62.
  98. 현인택. (2021). 미.중 패권전쟁과 한국의 생존전략. 신아세아, 28(2): 57-69.
  99. 홍우택. (2007). 상대적 국력이 국가간 협력에 미치는 영향: 경험분석을 통한 전쟁이론의 확장. 세계지역연구논총, 25(2): 267-286.
  100. 황재호. (2014).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군사력 평가와 전망. 전략연구, 21(62): 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