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onvergence Capstone Design Activity o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융복합 Capstone Design 활동이 공학설계 역량에 미치는 효과 분석

  • Wee, Seonbouk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hoon (Department of Electrical.Electronic.Communication Engineering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위선복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Received : 2022.06.27
  • Accepted : 2022.07.24
  • Published : 2022.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convergence Capstone Design activities. To this end, it analyzed the difference i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ompleting the curriculum in the Capstone Design process, where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team up, and analyzed the impact of convergence Capstone Design activities o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on experimental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and to analyz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was improved afterwards than before, except for some competency areas.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 외(2005). 공학교육에서의 PBL 수업의 효과 연구. 공학교육연구, 8(2), 24-34.
  2. 경종수.최창하(2018). 아이디어박스를 활용한 기술인문융합형 캡스톤디자인 모형개발. 공학교육연구, 21(6), 35-43. https://doi.org/10.18108/JEER.2018.21.6.35
  3. 김인숙.김동철(2013). 종합설계 교과목의 교수-학습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6(2), 31-36. https://doi.org/10.18108/JEER.2013.16.2.31
  4. 김인영(2017).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적용한 영작문 수업모델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443-466.
  5. 김지숙.최희정(2018).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406-415.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406
  6.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https://doi.org/10.18108/JEER.2015.18.3.24
  7.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8. 김태훈.조한진.강문주(2020).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개발. 공학교육연구, 23(1), 37-46. https://doi.org/10.18108/JEER.2020.23.1.37
  9. 김홍규(2016).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활용한 디자인상품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6(4), 124-135.
  10. 남지연(2020). 융합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801-818.
  11. 노영희(2015).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89-118.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89
  12. 민혜영.김지영(2020). 캡스톤 디자인 간호연구 수업의 팀워크 역량과 팀활동 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 705-716. https://doi.org/10.5762/KAIS.2020.21.1.705
  13. 박세호(2012).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을 활용한 공학입문설계 교육내용 모형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해양대학교.
  14. 박신영 외(2018). 공과대학생의 창의공학설계능력 교육요구도분석. 공학교육연구, 21(2), 7-16. https://doi.org/10.18108/JEER.2018.21.2.7
  15. 백윤수 외(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1-16.
  16. 손화철(2011). 공학설계와 기술철학. 철학연구, 94, 107-136.
  17. 신선희(2009). 공학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을 위한 탐구활동 지원 도구 설계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8. 신수민(2018).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 학습에서 개인이 인지하는 팀 효능감, 의사소통, 학습 성과에 대한 팀 몰입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신창범.권오성(2014). 캡스톤 디자인의 디자인 교육 응용 사례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33-42. https://doi.org/10.17280/JDD.2014.14.1.004
  20. 양황규(2019).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1(5), 1276-1284.
  21. 유경현(2020). 6-sigma 방법론을 적용한 종합설계 교육모델개발. 공학교육연구, 23(4), 28-36. https://doi.org/10.18108/JEER.2020.23.4.28
  22. 유은정 외(2021). CE-PBL을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비대면 수업에서의 대학생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9), 29-47.
  23. 윤석범.장은영(2014). 한국다학제간 캡스톤디자인에 마이크로콘트롤러 보드의 적용. 디지털융복합연구, 12(2), 531-537. https://doi.org/10.14400/JDC.2014.12.2.531
  24. 이영태.정재원(2021). 공학설계의 교수.학습적 개념 고찰. 공학교육연구, 24(3), 3-1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3.3
  25. 이태식 외(2009).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적 공학설계)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공학교육연구, 12(2), 36-50. https://doi.org/10.18108/JEER.2009.12.2.36
  26. 이희원 외(2010).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1-9.
  27. 장남경(2015).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5(1), 1-14.
  28. 장용철.김건국.김민철(2013). 창의설계입문의 PBL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공학교육연구, 16(2), 78-85. https://doi.org/10.18108/JEER.2013.16.2.78
  29. 전영미(2018).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3), 601-610.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601
  30. 조한진.위선복.김태훈(2020).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규준화 연구. 공학교육연구, 23(3), 66-75. https://doi.org/10.18108/JEER.2020.23.3.66
  31. 차성운 외(2007). 설계기술역량 3요소 기반의 공학설계 교육. 공학교육연구, 10(4), 1-12.
  32. 차유미.김인경(2016). 패션 캡스톤디자인의 선순환 시스템 운영모델 설계 연구.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 20(2), 165-180.
  33. 최광학.강재관(2019). 전략적 성과 창출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운영모델 개발. 공학교육연구, 22(4), 71-77. https://doi.org/10.18108/JEER.2019.22.4.71
  34.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35. 태진미 외(2017).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통합교육과정연구, 11(3), 109-130.
  36. 한국기업교육학회(2010). HRD 용어사전. 서울: 중앙경제.
  37. 한지영(2011).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4(1), 64-73.
  38. 허미선.이정민(2021). 국내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4), 331-346.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331
  39.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1997). Criteria for Accrediting Programs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Author.
  40. Kim, T. et al.(2019). The Effects of Engineering Design-Related Activities on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8th Asian Conference on Engineering Education.
  41. Murphy, K. & Davidshofer, A.(1988). Psycological Test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entice-Hall.
  42. Thompson, B, S.(1998). Creative Engineering Design(4th ed.). Okemo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