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림원경제지(林園經濟志)』 어류지식의 한의학적 고찰 - 『동의보감(東醫寶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Knowledge on Fish in the Imwon-Gyeongje-Ji from a Korean Medical Perspective -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Dongui-bogam -

  • 전종욱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 JEON, Jongwook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zation, Chonbuk National Univ.)
  • 투고 : 2022.07.28
  • 심사 : 2022.08.11
  • 발행 : 2022.08.25

초록

Objectives : This paper summarizes contents on fish in the Injeji and Jeoneo-Ji parts in the Imwon-Gyeongje-Ji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in the Dong-uibogam from a Korean Medical perspective. Methods : Most of the knowledge of fish in the Imwon-Gyeongje-Ji is based on preceding material medica studies such as the Dongui-bogam in Joseon, the Bencao-gangmu in China, and the Hwahan Samjaedohoe in Japa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change among these knowledge information were examined within the context of each literature's development or through identifiable changes in knowledge on each particular kind of fish. Results & Conclusions : In the Imwon-Gyeongje-Ji, the consisting 16 parts are organically connected, sometimes functioning as cross-references. In particular, the medical contents on the efficacy of fish for treating disease is closely linked to contents on fish ecology and environment as written in the Jeoneo-Ji, which deals with the field of living things. On the more detailed knowledge on about 30 kinds of fish, one could grasp the formation process and changes of East Asian traditional knowledge on fishkind among historical study of influential Chinese texts, new stimulation and methodology through Japanese literature on natural history, and dynamic processes of inheriting and selectively accepting traditional knowledge of Joseon.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연구 지원(NRF-2021S1A02086985)과 2019 전북대학교 연구중점교수 지원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참고문헌

  1. 許浚 著. 동의보감번역위원회 編. 대역동의보감. 법인문화사. 서울. 1999.
  2. 徐有榘. 林園經濟志. 日本大阪府立中之島圖書館 소장.
  3. 徐有榘. 林園經濟志 1~6. 보경문화사. 1983.
  4. 徐有榘. 楓石全集. 보경문화사. 1983.
  5. 김두종. 한국의학사. 탐구당. 1993.
  6. 풍석 서유구 지음. 정명현.민철기.정정기 전종욱 외 옮기고 씀. 林園經濟志: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12/2013개정판.
  7. 서유구 원저. 이두순 평역.강우규 도판. 평역난호어명고. 서울. 수산경제연구원BOOKS.2012.
  8. 서유구 저. 정명현.김정기 역. 林園經濟志 本利志2. 서울. 소와당. 2008.
  9. 서유구 지음. 전종욱.정명현 역. 林園經濟志 보양지2. 서울. 풍석문화재단. 2020.
  10.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역. 林園經濟志 仁濟志. 미출간본.
  11.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역. 林園經濟志 鼎俎志3. 서울. 풍석문화재단. 2020.
  12.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역. 林園經濟志 佃漁志2. 서울. 풍석문화재단. 2021.
  13. 정약전.이청 지음. 정명현 옮김. 자산어보. 파주. 서해문집. 2016.
  14. 전종욱. 임원경제지와 조선의 일용기술. 파주. 2022.
  15. 전종욱. 호사자와 삼매로 본 「林園經濟志」의 정신. 파주「林園經濟志」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0.
  16. 최지원. 유학자의 동물원. 서울. 알렙. 2015.
  17. 金文基. 佃漁志의 어류박물학과 和漢三才圖會. 明淸史硏究. 2017. 48.
  18. 金文基. 近世 日本의 東醫寶鑑 魚類知識 硏究(II) -1718~1747년 朝鮮藥材調査를 중심으로-. 明淸史硏究. 2017. 53.
  19. 홍진임. 食療纂要 에서 魚類의 食治的 활용에 관한 연구.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6. 9(1).
  20. 박상영. 「仁濟志」의 조선후기 의사학적 위상과 의의. 한국실학연구. 2013. 25.
  21. 오재근. 본초강목이 조선 후기 본초학 발전에 미친 영향. 醫史學. 2012. 21(2).
  22. 오준호. 조선 후기 의학의 표면과 이면-의학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醫史學. 2021. 30(1).
  23. 조창록. 김려의 「우해이어보」와 「자산어보」.「전어지」의 비교 연구. 대동한문학. 2016. 47.
  24. 조창록. 日本 大阪 中之島圖書館本 林園經濟志의 引과 例言」. 韓國實學硏究. 10. 2005.
  25. 전종욱.조창록. 「林園經濟志」.「仁濟志」의 편집 체재와 조선후기 의학 지식의 수용 양상. 醫史學. 대한의사학회. 2012. 21(3).
  26. 이수광. 지봉유설. 한국고전종합DB [cited at 14 July, 2022]; Available from: https://db.itkc.or.kr/dir/item?itemId=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