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of Information Exchange Requirement in the Tactical Network

전술네트워크의 정보교환요구량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박복기 (육군사관학교/전자공학과) ;
  • 박상준 (육군사관학교/전자공학과) ;
  • 조성환 (육군사관학교/전자공학과) ;
  • 김준섭 (육군사관학교/전자공학과) ;
  • 김용철 (육군사관학교/전자공학과)
  • Received : 2022.09.29
  • Accepted : 2022.12.1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e Army, Navy, and Air Force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develop a weapon system that incorporat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o that it can be used in multi-domain oper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demonstrate the integrated combat power through the weapon system to which the new technology is appli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each weapon system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smoothly. For this,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Information Exchange Requirement(IER) of each weapon system, but many IER analysis studies did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various considerations of the actual tactical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analyz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of the existing information exchange requirements analysis studies. In IER analysis, the size of the message itself, the size of the network protocol header, the transmission/reception structure of the tactical network,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process, and the message occurrence frequency. In order to be able to use it for future IER prediction, we present a technique for calculating the information exchange requirement as a probability distribution using the Poisson distribution and the probability generating function.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this technique, the results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calculation using the message list and network topology samples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Network Simulator 2.

육·해·공군은 다영역작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무기체계 개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무기체계를 통해 통합 전투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무기체계가 정보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각 무기체계의 정보교환요구량(IER, Information Exchange Requirement)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나, 현재까지 진행된 많은 정보교환능력 분석 연구는 실제 네트워크의 다양한 고려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교환 요구능력분석 연구들의 연구 방법과 결과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IER 분석시에는 메시지 자체의 크기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헤더의 크기, 전술네트워크의 송수신 구조, 정보 유통 과정, 메시지의 발생 빈도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어서 향후 IER 예측시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푸아송 분포와 확률생성함수를 이용하여 정보교환요구량을 확률 분포로 계산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메시지 목록과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샘플을 이용하여 확률 분포의 계산 결과와 Network Simulator 2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이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국방과학연구소의 지원에 의한 연구임.(No. UE211193AD) 본 논문은 2022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2R1G1A100322611)

References

  1. 김준섭, 박상준, 차진호, 김용철, "미래 전술통신체계의 발전방안," 융합정보논문지, 제11권, 제6호, pp. 14-23. 2021.
  2. 김준섭, 박상준, 차진호, 김용철, "Army TIGER 정보유통능력 분석을 통한 미래 전술통신체계 발전 방안," 융합보안논문지, 제21권, 제4호, pp. 23-30. 2021.
  3. 박동선, "4차 산업혁명 첨단기술 기반의 'SMART Navy' 大항해 계획," 대한조선학회지, 제57권, 제1호, pp.7-10. 2020.
  4. 대한민국 공군, 공군비전 2050. 2020.
  5. 우대희, 서중하, 이창훈, Changhoon Lee,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적용한 전술제대 네트워크 연구," 한국통신학회, 제46권, 제3호, pp. 499-507. 2021.
  6. 육군사관학교 산학협력단, "기동형 통합통신체계정보유통능력 분석 연구," 2021.
  7. 육군사관학교 산학협력단, "전술망 통합 M&S를 위한 작전시나리오 및 공중중계 운용 개념 연구," 2019.
  8. 솔빛시스템, "ArmyTIGER 4.0 체계 네트워크 정보유통능력 분석," 2019.
  9. 솔빛시스템, "미래 보병사단의 전투무선망 정보유통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2017.
  10. 아주대학교, "All-IP 전술네트워크 기반 무기체계 정보유통 보장방안 연구," 2014.
  11. 아주대학교 장위국방연구소, "지상군 실시간C2&SA 정보유통 보장을 위한 정보유통 구조 연구' 최종보고서," 2014.
  12. 국방기술품질원, "미래 군단의 TICN 네트워크구축방안 연구," 2013.
  13. 국방기술품질원 지휘통제전력팀, "NCW 대비 통신체계의 위성통신 운용구조 및 유통량 분석," 2012.
  14. 한국국방연구원, "TICN체계 기반 여단급 이하 정보유통 소요 분석," 2009.
  15. Stanley G. Beckner, "Information Feasability : Using the concept for Planning the information Needs of Deploying Forces," MITREE TECHNICAL REPORT, MTR 00B0000031, June 2000.
  16. Robert Suzic and Choong-ho Yi, "Information Exchange Requirements (IER) and Information Exchange Models (IEM)," Proceedings of MDISIS '08, vol. 340, pp.31-45, June 2008.
  17. 방위사업청 합동지휘통제체계사업팀, "합동지휘통제체계(KJCCS) 성능개량 연동통제문서," Ver 2.9, 2015.
  18. 박상준, 박복기, 김용철, "미래 전술네트워크의 정보교환요구량 예측 방법에 관한 연구 ," 2022년도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pp.727-728,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