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복수의 영화정보 프로그램의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MMIP 데이터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MIP Data Service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multiple Movie Information Programs

  • 고광일 (우송대학교 테크노미디어융합학부 미디어디자인.영상전공)
  • 투고 : 2022.09.05
  • 심사 : 2022.10.29
  • 발행 : 2022.10.31

초록

영화정보 프로그램은 신뢰를 바탕으로 영화의 간접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의 영화관람 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영화정보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영화정보 프로그램에 소개되는 영화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가 연구되었는데, 데이터서비스가 하나의 영화정보 프로그램에 한정되는 한계로 인해 여러 개의 영화정보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종합유선방송사나 위성방송사의 현실적 환경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하나의 영화정보 프로그램에 한정된 기존 연구를 여러 개의 영화정보 프로그램의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구체적으로, 방송사가 송출하는 여러 영화정보 프로그램들의 개수와 섹션 구성 정보, 섹션별 부가정보를 정의하고, 이 정보를 영화정보 프로그램들의 방송 시간대가 서로 다르다는 성질을 반영하여 증대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DVB-SI 기반 부가정보 전송 방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적으로 여러 개의 영화정보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방송사 환경에서 운영될 수 있는 데이터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movie inform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viewer's intention to watch the movie by providing an indirect experience of the movie based on trus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 movie information program, a data service that provid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movies introduced in a movie information program has been studied. However, since the study limited the data service to one movie information program, it wa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actual environment of general cable broadcasting companies or satellite broadcasting companies that transmit multiple movie informatio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expanded the existing research limited to one movie information program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f several movie information progra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ata service that can be operated in the realistic environment of a broadcaster that actually transmits several movie information program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2년도 「우송대학교 교내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참고문헌

  1. 김현정, "2020 한국 영화 결산", KOFIC 연구 2021-02, 2021. 
  2. Mi-hyun Kim, "2020 한국 영화산업 실태조사", KOFIC 연구 2022-03, 2022. 
  3. Eliashberg, J. and Shugan, S., "Film Critics: Influencers or Predictors". Journal of Marketing, No. 61, pp. 68-78, 1997. 
  4. 성영신, 박진영, 박은아, "온라인 구전 정보가 영화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57호, pp. 31~52, 2002년. 
  5. 전인수, 배일현, "영화비평이 관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경영연구, 제25호, pp. 155-177, 1999년. 
  6. 박형연, 박찬수, "영화 평론과 흥행성과 간의 관계: 인터넷 시대에도 유효한가?", 마케팅연구, 제16권 제4호, pp. 71-85, 2001년. 
  7. 전범수. "국내 영화관람객의 영화 소비 행동: 영화 관람 집단별 괌람 동기, 선택기준, 의존 미디어, 선호장르의 비교",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2호, pp. 297-323, 2003년. 
  8. 전종우, 이종윤, "영화정보 프로그램이 영화 소비에 미치는 시청자의 이원 경험 영향 모 델",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4호, pp. 89-110, 2015년. 
  9. 고광일, "영화정보 프로그램 연동형 데이터 서비스의 DVB-SI 기반 부가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22권, 제2호, pp. 91-98, 2022년. 
  10.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Specification for Service Information (SI) in DVB systems," ETSI EN 300 468 v1.16.1, 2019. 8. 
  11. altiComposer 2.0-Interactive TV Authoring Tool. https://www.digitalbroadcasting.com/doc/alticast-launches-interactive-tv-authoring-to-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