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and the Ways to Cultivate the Leadership of Marine Corps Officers

신세대 장병의 특성과 해병대 간부들의 리더십 배양 방안에 관한 연구

  • 김호춘 (포항대학교/국방드론과)
  • Received : 2022.02.23
  • Accepted : 2022.03.31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R.o.K Marine Corps was established on April 15, 1949 at Deoksan Air Base in Jinhae. When they fought in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they were sure to win, so they were loved and trusted by the people. Strong combat power is only possible when an advanced barracks culture is established. Today's new generation of soldier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 self-centered and individualistic. R.o.K Marine Corps officers mus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and strive to develop creative leadership in order to make them utilize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s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o.K Marine Corps officers should work hard to acquire professional tactical knowledge and self-development. Therefore, Marine Corps officers should do their bes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and demonstrate leadership to become a strong force trusted by the people.

해병대는 1949년 4월 15일에 진해 덕산 비행장에서 창설되었다. 6.25전쟁과 월남 전쟁에서 싸우면 반드시 이겨 국민들로부터 사랑과 신뢰를 받았다. 강한 전투력은 선진병영문화가 조성 될 때 가능한 것이다. 오늘날 신세대 장병들은 자기중심적이고 개인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해병대 간부들은 신세대 장병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그들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창의적인 리더십 개발에 노력해 할 것이다. 또한 4 해병대 간부들은 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첨단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간부들의 전문적 전술지식습득과 자기개발을 위해 부단히 힘써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해병대 간부들은 신세대 장병들의 특성을 이해하여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국민에게 신뢰받는 강군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은석. "선진병영문화 환경변화에 따른 군 정신 정교육: MZ세대 특징을 중심으로", 통일문제 연구, 제33권 1호 p.45
  2.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3.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4. 임채일, "충무공 이순신 리더십의 사례 분석과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p.5. 2007. 
  5. 최두환, "충무공 이순신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대학원, p.12. 2004. 
  6.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p.5-6. 
  7. 임채일, "충무공 이순신 리더십의 사례 분석과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p.5. 2007. 
  8. 해병대사령부, '해병대 리더십'. 해병대 리더십센터, 2021. 
  9. 해병대사령부, '해병대 리더십'. 해병대 리더십센터, 2021. 
  10. 임기수,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행정대학원, p.12, 2000. 
  11. 임기수,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행정대학원, p. 12, 2000. 
  12. 변상우; '리더십' 청람, 2000. 
  13. 박승범, "해병대 조직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벤처 대학원대학교, p.8, 2015. 
  14. 안찬, "신세대 장병에 대한 효율적인 리더십 확립방안", 석사학위 논문,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p.53. 2004. 
  15. 최은석, "선진병영문화 환경변화에 따른 군 정신 정교육: MZ세대 특징을 중심으로". 통일문제 연구, 제33권, 1호, p.36 2021. 
  16.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17.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18.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19. 김규학, "신세대 장병 지휘통솔방안", 정신전력연구, 제28호,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p.191~192, 2001.  https://doi.org/10.23054/JSMFE.2021..65.005
  20.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21. 해병대 사령부, '해병대 문화와 가치', 해병대사, 2000. 
  22. 해병대 사령부, '해병대 문화와 가치', 해병대사, 2000. 
  23. 정효원, "신세대 장병의 올바른 군대문화로서의 동화 방안". 국방대학원 안보문제연구소, p. 181~182, 1999, 
  24. 임계환, "코칭 및 지시적 리더십이 군 조직의 효 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p.2, 2016. 
  25. 해병대 사령부, '앞서가는최강해병대', 해병대사, 1997. 
  26. 박범우, "군부사관 리더십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p.27, 2008. 
  27. 최병순, '군 리더십', 2009. 
  28. '2020국방부 국방백서', 국방부, 2020. 
  29. 정치영, "이순신 장군의 지도자적 역량과 임진왜란의 전쟁수행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목포 해양대학교, p.40, 2007. 
  30. 해병대사령부, '해병대 리더십', 해병대 리더십 
  31. 이선호, '이순신의 리더십', 팔복원, 2000. 
  32.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입문', 육군교육사, 2012. 
  33. 이선호, '이순신의 리더십', 팔복원, 2000. 
  34. 국방부, '2020국방백서', 국방부, 2020. 
  35. 김흔정, "이순신장군의 의사소통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p.30, 2014. 
  36. 이선호, '이순신의 리더십', 팔복원, 2000. 
  37. 구현정.전영옥, '의사소통의 기본', 박이정, 2005. 
  38. 김흔정, "이순신장군의 의사소통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p.44, 2014. 
  39. 해병대 사령부, '해병대 부대훈련 규정', 해병대사령부, 2015. 
  40. 국방부, '2020국방백서', 국방부, 2020. 
  41. 국방부, '2020국방백서', 국방부, 2020. 
  42. 이선호, '이순신의 리더십', 팔복원, 2000. 
  43. 국방부, '2020국방백서,' 국방부,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