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due to the Risk of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팬데믹 위험으로 인한 소비행동의 변화 연구

  • Received : 2022.05.15
  • Accepted : 2022.06.05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covid-19 risk affects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a situation where the spread of covid-19 is prolonged. This study demonstrates how consumers' perception of covid-19 risk affects online and offline consumption behavior through the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ectiveness, and self-efficacy of the revised protective motivation theory (Rogers, 1983). We want to test it through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have purchased within the past 3 months were selected as a sample. In addition, variable data such as risk perception of covid-19,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effectiveness, self-efficacy, online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fline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A total of 363 copies of valid responses were tested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covariance structure model.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at covid-19 risk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and coping effectiveness. Second,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vulner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ffline purchasing attitude. Third,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coping plan effectiveness, and self-efficacy were all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online purchase attitude. Finally, it was found that offline purchase attitude and online purchase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ffline purchase intention and online purchase intention, respectively. Also, it was found that online purchase attitude had a negative (-) effect on offline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distribution channels according to the social risk of infectious diseases.

본 연구는 covid-19 확산이 장기화하는 현시점에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covid-19에 관한 사회적 위험지각이 소비심리와 소비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소비 행동의 변화과정을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covid-19 위험 인식이 Rogers(1983)의 개정된 보호동기이론의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방안 효율성,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소비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covid-19의 위험지각,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방안 효율성, 자기효능감, 온라인 구매 태도 및 구매 의도, 오프라인 구매 태도 및 구매 의도 등의 변수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3부의 유효응답을 대상으로 공분산구조모형을 통해 변수간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covid-19 위험지각은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방안 효율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취약성은 오프라인 구매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대처방안 효율성, 자기효능감은 모두 온라인 구매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오프라인 구매 태도와 온라인 구매 태도는 각각 오프라인 구매 의도와 온라인 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구매 태도는 오프라인 구매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감염병이라는 사회적 위험에 따른 유통채널의 전략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석,신종국,구동모(2008), "인터넷쇼핑몰의 VMD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18(2), 19-46.
  2. 김동준,최현준,조환기,김광용(2020), "코로나팬더믹 이후 관광산업 발전방안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9(4), 129-144.
  3. 김상훈,박계영,박현정(2007), "정보탐색과 구매 단계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선택의 영향요인", 유통연구, 12(3), 69-90.
  4. 김성태(2020),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관광위험지각과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Hotel & Resort, 19(5), 133-150.
  5. 김여라(2010), "신종플루 뉴스 이용 정도가 개인 및 공증에 대한 건강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8, 5-21.
  6. 김영남,홍성화(2020), "코로나 19 위험 인식과 낙관적 편향에 관한 탐색적연구: 제주 방문 관광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4(8), 79-101.
  7. 김지혜,나종연(2010), "온라인에서의 소비자프라이버시 보호행동분석: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학술대회, 1-10.
  8. 김형지,정세훈(2015),"중장년층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개인정보 노출 및 보호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2(3), 49-79.
  9. 남수정,김기옥(2002), "상품특성에 따른 인터넷 시장과 기존 시장의 효율성 비교", 소비자학연구, 13(4), 36-54.
  10. 노주현(2020), "코로나블루,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지방재정, 4, 124-127.
  11. 박명호,장영혜(2008), "인터넷쇼핑몰 업체의 서비스실패 후 불평고객유형 및 회복전략유형에 따른 회복 후 만족과 충성도", 마케팅논집, 16(2), 81-112.
  12. 박정숙(2016), 재난 위험지각이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3. 박철(2001),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유통비즈니스리뷰, 2, 49-63.
  14. 성연실,이영휘(2011), "폐결핵 환자의 질병지각, 자기효과 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3(1), 31-39.
  15. 성희원(2008), "가격인지차원과 점포속성이 패션제품 점포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백화점, 할인점,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8), 1274-1285. https://doi.org/10.5850/JKSCT.2008.32.8.1274
  16. 송해룡,김원찬,김원제(2014),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공중의 위험관여도, 위험인식, 심각성 지각과 예방행동의도의 관계", 한국위기관리논집, 10(5), 33-49.
  17. 우형진(2007), "텔레비전 뉴스 시청이 시청자의 건강증진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1(2), 308-333.
  18. 이민재,서원석(2012), "남북 간 정치적 불안정에 대한 위험인지와 보호동기, 여행회피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중국인 잠재방문객을 대상으로 보호동기이론을 적용하여", 관광학연구, 36(7), 33-53.
  19. 이영주,박경애,허순임(2002),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점포속성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6(8), 1265-1273.
  20. 이진의(2020), 섬 관광에 대한 관광자의 위험지각이 여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1. 이철선,방석범(2004), "쇼핑가치가 온라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변수로서의 제품속성 중요", 마케팅연구, 19(2), 41-70.
  22. 이태민,전종근(2002), "온라인, 오프라인 점포 이미지 비교에 관한 연구", 인터넷비즈니스연구, 3(2), 99-124.
  23. 이희정,이한녕(2020), "코로나(COVID-19) 사태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수준은 모든 소비자가 동일할 것인가? :코로나 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세분시장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30(4), 75-87.
  24. 임명재,임미라,이영구(2010), "관광축제에서 위험지각이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6(3), 132-143.
  25. 최재연(2020),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이 소비심리와 HMR 구매패턴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6. 홍민정,오문향(2020), "코로나 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관광연구, 35(3), 47-65.
  27. Assael, H.(1995),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28. Bandura. A,(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9. Chen, M. F.(2016), "Extending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Model to Predict Public Safe Food Choice Behavioural Intentions in Taiwan", Food Control, 68, 145-152.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6.03.041
  30. Cismaru, M. and A. M. Lavack(2006),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Examing Consumer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Review on Public and Non Profit Marketing, 3(2), 9-24. https://doi.org/10.1007/BF02893617
  31. Cohen, S., and T. B. Herbert(1996), "Health Psychology: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Diseas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Psychoneuroimmun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 113-14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7.1.113
  32. Holzmann R. and S. Jorgensen(2001), "Social Risk Management: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Protection and Beyond", International Tax and Public Finance, 4, 529-556. https://doi.org/10.1023/A:1011247814590
  33. Jacoby, J. and L. B. Kaplan(1972),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0, 382-393.
  34. Jarvenpaa, S. L. and P. A. Todd(1997),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 59-88. https://doi.org/10.1080/10864415.1996.11518283
  35. Maddux, J. E., and R. W. Rogers(1983), "Protec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 Revised Theory of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5), 469-479. https://doi.org/10.1016/0022-1031(83)90023-9
  36. Pessemier, E. A.(1980), "Store Image and Positioning", Journal of Retailing, 56, 94-106.
  37. Rimal, R. N. and K. Real(2003), "Perceived Risk and Efficacy Beliefs As Motivators of Chang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9(3), 370-399. https://doi.org/10.1093/hcr/29.3.370
  38. Rogers, R. W.(1975),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of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Journal of Psychology, 91, 93-114. https://doi.org/10.1080/00223980.1975.9915803
  39. Rogers, R. W.(1983), Cognitive and Physiological Process in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 A Revised Theory of Protection Motivation.
  40. Schiffman L. G. and L. L. Kanuk(2007), Consumer Behavior, 9th Edition, Prantice-Hall, Upper Saddle River..
  41. Slovic, P.(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New York.
  42. Witte, K.(1994), "Fear Control and Danger Control: A Test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Communications Monographs, 61(2), 113-134. https://doi.org/10.1080/03637759409376328
  43. Wynne, B.(1996), "A Reflexive View of the Expert-lay Knowledge Divide", Risk, Environment and Modernity: Towards a New Ecology, 4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