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도 동국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References
- 이영경, 김정은, 이서율(2010). 태양열시설이 전통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통도사 진입경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14-121.
- 홍광표, 심경구, 하재호(2000). 전통사찰의 보존에 대한 문제와 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4): 77-85.
- 이원호, 김동현, 김재웅, 안혜인, 김대열, 조운연(2014).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82-95.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082
- 이선희, 진혜영, 이현채, 문애라, 최우경, 송유진, 송정화(2016). 한국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53-70.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53
- 신혁탁, 김용식, 이명훈, 윤정원(2011).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문화재. 44(1): 162-181. https://doi.org/10.22755/kjchs.2011.44.1.162
- 윤정원, 신현탁, 이며훈, 김기송, 성정원, 박기환, 이창현, 김용식(2012).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4): 550-558.
- 노재현, 오현경, 한윤희, 박경욱, 변무섭, 허준, 최영현, 신상섭, 이현우, 김효정(2013).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1-19. https://doi.org/10.14700/KITLA.2013.31.4.001
- 노재현, 오현경, 한윤희, 최영현, 변무섭, 김영숙, 이원호(2014). 제주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1): 107-119.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1.107
- 강민정, 이고운, 김신원(2018). 서울시 전통문화고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4대 고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1): 45-54.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1.045
-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 최영현, 김은옥(2018). 진안 마이산 명승구역 내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100-114.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3.100
-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https://terms.naver.com/
- 황숙영(2011). 경주 역사숲의 식생구조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경주시(2021). 제 60회 경주통계연보. 경주시.
-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국립수목원(2011). 한국의 재배식물. 국립수목원.
- 윤주복(2015). 우리나라 나무도감. 진선출판사(주).
- 국립수목원(2017). 국가표준식물목록(개정판). 국립수목원.
- 국립수목원(2016).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개정). 국립수목원.
- 국립수목원(2019). 국가외래식물목록. 국립수목원.
- 최영은, 김창환(2017).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 무인도서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29(4): 245-261.
- 정지현, 홍순천, 박희준, 백원기(2019). 낙동강 중류 지천의 식물상(영강, 내성천, 위천, 감천, 병성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2(5): 615-632. https://doi.org/10.7732/kjpr.2019.32.5.615
- 유주한, 곽수빈(2020). 도시근린공원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특성 분석-함지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1): 9-17. https://doi.org/10.22849/JKIGD.2020.6.1.002
- 허상현(2005). 전통사찰의 조경수 식재실태 연구-불국사, 분황사, 기림사, 골굴사-. 사찰조경연구. 10: 79-92.
-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 홍광표, 유주한(2015) 해인사의 조경식물 분포 및 식재특성 분석. 신라연구. 46: 365-386.
- 오충현, 정욱주, 이임규, 김민경, 박은하(2012). 아파트단지 조경수 적정식재밀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6): 140-147. https://doi.org/10.9715/KILA.2012.40.6.140
- 길지현, 김창기(2014).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Weed Turf. Sci. 3(3): 206-214. https://doi.org/10.5660/WTS.2014.3.3.206
- 추연수, 김중권, 이효혜미(2017). 도로개발 사업이 외래식물 유입에 미치는 영향.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3): 156-168. https://doi.org/10.17820/eri.2017.4.3.156
-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9-128.
- 홍광표(2005). 아름다운 사찰 만들기의 기본적 요건. 사찰조경연구. 10: 1-14.
- 홍광표, 유주한(2016) 봉정사의 조경식물 종류와 특성.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2(2): 57-64. https://doi.org/10.22849/JKIGD.2016.2.2.001
- 원종화, 정진형, 김창섭, 이기의(2005).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원주시와 횡성군을 중심으로-. 삼림과학연구. 21: 34-58.
- 김창기, 길지현(2017). 한반도 외래식물. 자연과 생태.
- 송임근, 박선주(2019). 경주시 주요 사적지 및 도시공원의 귀화식물분포. 환경생물. 37(2): 144-154. https://doi.org/10.11626/KJEB.2019.37.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