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설명책임성 향상을 위한 시민단체 기록관리 개선 방안 연구 부산지역단체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Record Management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o Improve Accountability : Based on a Survey of NGOs in Busan

  • 정세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전공)
  • 투고 : 2022.07.01
  • 심사 : 2022.07.10
  • 발행 : 2022.07.30

초록

시민단체(NGO)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조직으로, 단체의 존립과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 반드시 시민의 참여와 지지가 필요하다. 시민단체의 기록은 단체가 활동하는 과정에서 생산·접수 및 수집되고 남겨진 것이다. 체계적으로 관리된 기록은 업무 수행을 위한 정보로 활용되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인다. 뿐만 아니라 단체활동의 적법성이나 단체가 실제로 표방하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는지 등 시민단체의 대내외 이해관계자들에게 단체 및 단체활동의 정당성을 입증함으로써, 단체가 시민사회로부터 지지를 확보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이 연구에서는 부산 지역 시민단체의 일반적인 기록관리 실태를 확인하고, 시민단체의 설명 책임을 높이기 위한 기록관리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NGOs(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organization based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Citizens' participation and support are essential for the existence and sustainable growth of the organization. The records of NGOs are produced, received, collected, and left behind in the course of their activities. Systematically managed records are used as information for business performance to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In addition, it plays a role in proving the legitimacy of the group and its activities to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of the NGO, such as whether the group's activities were performed legally and whether the group is actually working to realize the goal it stands for. Therefore record management of NGOs is required to improve accountability. In other words, NGOs can be gain the trust of civil society based on accountability through records and secur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necessary for the existence of the group. In this study, after confirming the general record management status of NGOs in Busan, improvement measures were examined in terms of record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accountability of NGOs.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익네트워크 우리는 (2020). NPO책무성을 위한 자가진단지표(개정판 버전3).
  2.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2019). 국제개발협력NGO 책무성자가진단서(2019년 개정판).
  3.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2006.6.26.). [시민단체 사회적 책임헌장 및 행동규범 선포식]. 출처 http://ccej.or.kr/11970
  4. 권세만 (2007). 대북관련 민간단체 기록관리 방안 연구-민화협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5. 권용찬 (2007). NGO기록 통합 관리.서비스를 위한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6. 김혜인 (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기록 분류체계 설계방안.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대학원
  7. 박병옥 (2007.7.2.). '시민의 신문' 10호(13면) 인터뷰. [시민에게 신뢰받는 NGO책임운동]. 출처 https://ingopress.tistory.com/
  8. 박상필 (2002). NGO개념의 역사와 실체. 현상과 인식. 통권 85호. 87~115.
  9. 박상필 (2006). NGO학 강의. 서울: 아르케.
  10. 박상필 (2011). NGO학: 자율.참여.연대의 동학. 서울: 아르케.
  11. 박주리 (2020). 산업생태계 지역 재생과 보존을 위한 시민단체 운동의 기록화: 청계천을지로 보존연대의 기록관리와 활용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2. 복원용 (2014). 한국 NGO의 책무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공공대학원.
  13. 사단법인 시민 (2020). 2020 한국시민사회관련 법제도 현황: 쟁점과 과제, 사단법인 시민.
  14.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 서울시NPO길라잡이. 서울: NPO센터.
  15. 서혜란 (2018). 기록과 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조은글터, 14-34
  16. 서혜원 (2007). NGO 기록관리체계 설계를 위한 단계별 전략.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대학원.
  17. 유정은 (2021). 시민참여형 SNS 기록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운동연합 SNS기록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8.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한국행정학보 36(4). 321~338.
  19. 이명석 (2010).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 현대사회와 행정 20(2).
  20. 이숙종, 양세진 (2007). 시민단체의 책무성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연구: 행정자치부의 비영리민간단체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2007.
  21. 이영숙 (2005). NGO 기록의 분류방안.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2. 이영철 (2009). 거버넌스와 곁길로 빠진 민주적 책임성. 한국거버넌스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권 2호. 211-222.
  23. 인권아카이브 (2021). 소규모 단체의 협업과 기록관리를 위한 가이드북.
  24. 임재형, 김재신, 김강민 (2021). 시민은 시민단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시민단체의 역할과 신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60집 2호
  25. 임진희 (2010). NGO기록관리 컨설팅 방법 연구 기록학연구 10(26) 3-32.
  26. 정한울 (2016). 한국사회 시민단체 신뢰위기의 진단과 대안 모색. 시민과세계 29. 85-123.
  27. 최성연 (2021). NGO 기록물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8. Jimeson (2016).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옮김.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9.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서울:역사비평사 출처: https://c11.kr/10r8h
  30. 한국시민단체협의회 (1999). 1999년 한국시민단체협의회 활동자료집. 출처: 환경아카이브숲.
  31. 한국행정연구원 (2020). 2020사회통합실태조사. 출처: https://www.kipa.re.kr/
  32. NGO사회적 책임 운동 준비위원회 (2007). 시민단체 사회적 책임 헌장.
  33. 한국. 부산광역시 (2021). 2021년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온라인 설명회.
  34. 한국. 충청남도공익활동지원센터 (2017). 단체설립을 위한 종합 실무 안내서 설립 신공
  35. 한국. 행정안전부 (2014).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업무편람.
  36. ICA (2004). The Records of NGOs, Memory to be Shared. 출처: https://www.ica.org/en/records-ngos-memory-be-shared
  37. UN. 유엔 (2011). NGO를 위한 ECOSOC의 협의적 지위에 관한 안내. 출처: NGO branch https://www.un.org/ecosoc/en/n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