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ocusing on head temples in 25 parishes of Jogye Ord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ncient literatures involved in the writing source of pillar tablets and the space layout drawings in order to examine awareness patterns of space in terms of contents of pillar tablets and Buddha and Bodhisattva enshrined in major temple sanctums in Korea. The research findings are briefed as follow: First, the different Buddhas enshrined in sanctums can be categorized and explained in accordance with their body(體), form(相) and use(用) based on Awakening of Mahayana Faith. In particular, Sakyamuni Buddha is for form(相), Amitabha Buddha and Avalokiteśvara for use(用), and Vairocana Buddha for body(體). Second, the pillar tablets of main sanctums signify oath and thoughts of the enshrined Buddhas and Bodhisattvas focusing on main Buddhas and serving Buddhas. Third, the content of pillar tablets is to symbolize and signify Buddha land where main Buddhas are always existing as they are focusing on the enshrined main Buddhas. That is, such content is to praise for Buddha. Fourth, every sanctum pillar tablets of temples express the content of attaining spiritual enlightenment for the self-cultivating truth seekers and saving all sentient beings for main Buddhas who are saving human. That is, every space of temples are perceived as "escaping torment and achieving pleasure(避苦得樂)".
본 연구는 조계종 25교구 본산을 중심으로 한국 전통 사찰의 주요 법당 내 주련의 내용과 봉안된 불·보살과의 공간의 인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주련의 출전에 해당하는 고문헌과 공간배치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찰 봉안 제불(諸佛)의 분류 특징은 『대승기신론』의 기록을 바탕으로 체(體), 상(相), 용(用)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이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 석가모니불은 '상(相)',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은 '용(用)', 비로자나불은 '체(體)'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법당의 주련은 주존불과 협시불을 중심으로 각 봉안 불·보살의 서원(誓願)과 사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련의 내용은 봉안한 주존불을 중심으로 각 주불이 항상 자재(自在)하고 존재하는 불국토를 상징하고 의미하는 것으로, 찬불(讚佛)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사찰의 각 주요 법당의 주련은 참방하는 구도자(求道者)들에게는 상구보리(上求菩提)의 내용과 중생들을 제도하는 주존불의 입장에서 하화중생(下化衆生)을 표현하여, 사찰의 각 공간이 '피고득락(避苦得樂)'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