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lization of Innovative Cities and Local Economy: Focused on Geonbuk Innovation City and the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in Jeonju-si

혁신도시 활성화와 지역경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북혁신도시와 전주시 상업용부동산시장을 중심으로

  • 박정아 (전주대학교 부동산국토정보학과) ;
  • 김종진 (전주대학교 부동산국토정보학과)
  • Received : 2022.05.24
  • Accepted : 2022.07.18
  • Published : 2022.07.30

Abstract

To effectively lead "Innovative City Season 2",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ether the creation of an innovative 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hinterland town economy.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external effects) of increases in the number of workers at public institutions in the innovative city of Jeollabuk-do, located closest to the hinterland town (Jeonju-si). In the results, we show that increases in the number of workers positively affected the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which is one of the barometers that show the revitalization level.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was found to be limited to the new downtown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with good accessibility and modernized facilities and services. This suggests that the innovative city adjacent to the hinterland town meets the purpose of the innovative city to some extent by generating a positive external effect, especially in accessible and modernized areas. To further expand the positive spillover effects of an innovative city on the hinterland town,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institutions for relocation,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and establish a practic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specialized public institutions and hinterland-related industries.

본 연구는 배후도시인 전주시와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전라북도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근무자 수의 증가가 전주시 상업용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외부효과)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거시적 또는 미시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던 기존 방법의 한계를 인식하고 상업용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횡단과 시계열변수를 함께 분석할 수 있는 동적패널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와 그 의미를 살펴보면,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근무인원의 증가는 특정 지역경제 활성화 수준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는 배후도시인 상업용부동산 시장에 가격적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 효과는 접근성이 좋고 현대화된 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되는 신도심 상업용 부동산시장에 한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도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배후도시와 인접한 혁신도시의 경우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 외부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혁신도시의 취지에 어느 정도 부합하지만 일부 지역에 한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와 그 의미를 바탕으로 혁신도시와 배후도시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도시 완성도의 기준인 이전 공공기관 근무자의 증가는 배후도시의 경제 활성화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혁신도시 조성이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충분한 배후도시와의 동반성장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전 공공기관의 수와 규모를 증가시키는 것과 함께 가족들이 함께 이주할수 있도록 혁신도시의 교육환경 등 정주여건이 수도권에서 이주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다. 둘째, 현대적인 시설과 서비스 그리고 높은 접근성 특성을 보이는 신도심의 상업용부동산 시장의 경우 이전 공공기관 근무자의 증가에 의해 긍정적 영향을 받는 반면, 구도심의 경우는 그러한 영향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불균형적 현상이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혁신도시 설립의 취지와 목적인 배후도시와의 동반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토균형발전 측면에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확대, 정주여건 향상 그리고 특화 공공기관과 배후도시 연관산업과의 실질적인 협력체계구축을 위한 구체적 계획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수(2018), "진주혁신도시가 기존시가지의 도시공간구조에 미친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 김세곤.황태규(2018), "혁신도시 시즌2에 따른 지역발전 주체의 역할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부동산법학」, 22(3): 34~73.
  3. 김주영.윤동건(2015), "혁신도시 개발이 주변지역 지가에 미치는 영향: 강원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25(3): 67~77.
  4. 서준교(2006),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혁신도시 전략의 한계에 대한 고찰", 「한국거버넌스학회 학술대회자료집」, 62~85.
  5. 신영재(2016), "충북혁신도시의 개발이 주변 지역의 지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6(1): 49~66. https://doi.org/10.35149/JAKPG.2016.26.1.004
  6. 안국신(1998), 「신경제학개론」, 서울: 율곡출판사.
  7. 장인규(2021), "혁신도시 상업용지의 공급가격 결정 요인",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8. 정유선(2020), 「신도시형 혁신도시 유입가구의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세종: 국토연구원.
  9. 조진상(2013), "혁신도시 우수교육환경 구축 방안: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사례로", 「지역개발연구」, 45(2): 37~63.
  10. Whitcomb, D. K. (1972), Externalities and Welfar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LX 한국국토정보공사, http://www.lx.or.kr
  12. 국립농업과학원, http://www.naas.go.kr
  13. 국민연금공단, http://www.nps.or.kr
  14.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15. 전북혁신도시, http://https://innocity.jeonbuk.go.kr
  16. 전주시청, https://www.jeon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