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y on Urban Vibrancy Using Synthetic Control Method

통제집단합성법을 활용한 차 없는 거리 정책의 도시 활력 증진 효과 분석

  • 하정원 (한양대학교 도시공학) ;
  • 하재현 (미국 남가주대학교 공공정책학과) ;
  • 이수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
  • Received : 2022.02.23
  • Accepted : 2022.06.07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In line with increasing interest of climate change and pedestrian rights, the city of Seoul has been implementing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ies.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greed to introduce carfree streets, expecting to increase the urban vibrancy and attract customers in the streets. However, studies that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policy are insufficient, and there are no studies that reevaluate the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y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y at the commercial street, the Jongno 52-gil, using the synthetic control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y was valid for enhancing urban vibrancy. Also, it was found that proper time interval is required to assess the policy since the peak increase of policy was observed in 3 months after the policy implementation. However, less than a year, the increase of the de facto population density on the Jongno 52-gil was revealed to be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Jongno 52-gil was more vulnerable in the decrease of the de facto population density in the COVID-19 period than the synthetic control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ng-term population inflow measures and flexible counterplan to contagious diseases are necessary in the car-free pedestrian street policy.

기후 변화와 보행자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서울시는 차 없는 거리 정책을 적용하여 왔다. 특히 지자체와 민간은 도시 활력 증진과 소비자 유인이라는 공통의 이해관계에 따라 합의를 통해 차 없는 거리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차 없는 거리 정책에 대하여 정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COVID-19 이후 기간에서 차 없는 거리 정책을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차 없는 거리가 도입된 상업 거리인 종로 52길에 대하여 통제집단합성법을 활용하여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종로 52길에서의 차 없는 거리 정책은 유입 인구 증대를 통해 도시 활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정책이 효과를 보이기까지 3개월가량이 소요된 점을 고려할 때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선 적정한 시간 간격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그러나 정책 시행으로부터 1년이 경과하기 전에 종로 52길에서 생활인구 밀도 증가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COVID-19 시기에는 합성통제지역보다 생활인구 밀도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 없는 거리 정책에 대해 보다 장기적인 관점의 인구 유입 전략과 감염병 확산 하에서 유연한 대응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이창무.안건혁, 2001,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36(7), pp. 297-307.
  2. 김신원.박준경.최기왕, 2009, 서울시 차 없는 거리 조성실태 및 개선방향,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2), pp.25-34.
  3. 김우영.김만규, 2021,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의 인구 및 고용효과: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7(2), pp.144-163.
  4. 김윤미.박제진.이준영.하태준, 2016, 차없는 거리 선정기준 수립을 위한 방법론 정립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6(5), pp.867-879. https://doi.org/10.12652/Ksce.2016.36.5.0867
  5. 민현석.여혜진, 2012, 「차 없는 거리 개선 및 확대방안 연구: 도심부를 중심으로」, 서울: 서울연구원.
  6. 박병철.정현태.고성룡.안재락, 2009, 차 없는 거리가 가로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2), pp.135-144.
  7. 박종태, 2001, 보행자 전용공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차 없는 거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성현곤, 2009, 일상생활에서의 보행활동이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 62, pp.43-63. https://doi.org/10.15793/KSPR.2009.62..003
  9. 윤나영.최창규, 2013, 서울시 상업가로 보행량과 보행 환경요인의 관련성 실증 분석, 「국토계획」, 48(4), pp.135-150.
  10. 이상훈.신근창.양승우, 2011, 상업가로로서 신사동 가로수길의 형성과정 및 활성화 요인 연구, 「도시설계」, 12(6), pp.77-88.
  11. 이신해.정상미, 2020, 「'걷는 도시, 서울' 정책 효과와 향후 정책방향」, 서울: 서울연구원.
  12. 이용백.진장익, 2021,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주변지역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6(4), pp.120-136.
  13. 이주아.이훈.구자훈, 2014, 가로의 물리적 여건에 기초한 보행량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 주요 상업가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9(2), pp.145-163.
  14. 이희선.강동우.최충, 2020, 조선업 위기가 지역상권 고용에 미친 영향: 거제시와 통영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8(2), pp.119-154. https://doi.org/10.22841/KJES.2020.68.2.004
  15. 진주혜.성병찬, 2020, 코로나-19에 따른 서울시 생활인구 변화와 동별 반응 차이 분석, 「응용통계연구」, 33(6), pp.697-712. https://doi.org/10.5351/KJAS.2020.33.6.697
  16. 최막중.신선미, 2001, 보행량이 소매업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36(2), pp.75-83.
  17. 최지연.길용현, 1999, 인사동 '차 없는 거리'에 관한 연구, 「관광지리학」, 10, pp.93-119.
  18. 황관석.박철성, 2015, 이중차분법을 이용한 수도권 DTI 규제효과 분석, 「주택연구」, 23(4), pp.157-180.
  19. Abadie, A. and Gardeazabal, J., 2003, The Economic Costs of Conflict: A Case Study of the Basque Country, American Economic Review, 93(1), pp.113-132. https://doi.org/10.1257/000282803321455188
  20. Abadie, A., Diamond, A., and Hainmueller, J., 2010, Synthetic Control Methods for Comparative Case Studies: Estimating the Effect of California's Tobacco Control Pr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5(490), pp. 493-505. https://doi.org/10.1198/jasa.2009.ap08746
  21. Acemoglu, D., Johnson, S., Kermani, A., Kwak, J., and Mitton, T., 2016, The Value of Connections in Turbulent Times: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121(2), pp.368-391. https://doi.org/10.1016/j.jfineco.2015.10.001
  22. Balsas, C. J., 2004, Measuring the Livability of an Urban Centre: An Exploratory Study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Planning, Practice & Research, 19(1), pp.101-110. https://doi.org/10.1080/0269745042000246603
  23. Calthorpe, P., 2011, Urbanism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Washington: Island Press.
  24. Chen, T., Hui, E. C., Wu, J., Lang, W., and Li, X., 2019, Identifying Urban Spatial Structure and Urban Vibrancy in Highly Dense Cities Using Georeferenced Social Media Data, Habitat International, 89, pp.1-11.
  25. Fu, R., Zhang, X., Yang, D., Cai, T., and Zhang, Y., 2021,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Vibrancy and Built Environment: An Empirical Study from an Emerging City in an Arid Reg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8(2), pp.1-20.
  26. Huang, B., Zhou, Y., Li, Z., Song, Y., Cai, J., and Tu, W., 2020, Evaluating and Characterizing Urban Vibrancy Using Spatial Big Data: Shanghai as a Case Study, Environment and Planning 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47(9), pp.1543-1559. https://doi.org/10.1177/2399808319828730
  27.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American Cities, New York: Vintage Book Company.
  28. Kang, C., Fan, D., and Jiao, H., 2021, Validating Activity, Time, and Space Diversity as Essential Components of Urban Vita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48(5), pp.1180-1197. https://doi.org/10.1177/2399808320919771
  29. Kreif, N., Grieve, R., Hangartner, D., Turner, A. J., Nikolova, S., and Sutton, M., 2016, Examination of the Synthetic Control Method for Evaluating Health Policies with Multiple Treated Units, Health Economics, 25(12), pp.1514-1528. https://doi.org/10.1002/hec.3258
  30. Lynch, K., 1984, Good City Form, Cambridge: MIT Press.
  31. Tu, W., Zhu, T., Xia, J., Zhou, Y., Lai, Y., Jiang, J., and Li, Q., 2020, Portray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Vibrancy Using Multisource Urban Big Data,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80, pp.1-16.
  32. Vickerman, R., 2021, Will COVID-19 Put the Public Back in Public Transport? A UK Perspective, Transport Policy, 103, pp.95-102. https://doi.org/10.1016/j.tranpol.2021.01.005
  33. Yue, Y., Zhuang, Y., Yeh, A. G., Xie, J. Y., Ma, C. L., and Li, Q. Q., 2017, Measurements of POI-Based Mixed Us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Neighbourhood Vibrancy,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31(4), pp. 658-675. https://doi.org/10.1080/13658816.2016.1220561
  34. 국가법령정보센터,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2021.9.1. 읽음.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136742#J16:0
  35. 서울특별시, "차 없는, 서울의 보행거리", 2021.9.24. 읽음. http://www.seoulcarfr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