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plots and Double Sound in the Film, Sweet Smell of Success

영화 <성공의 달콤한 향기>의 서브플롯과 더블 사운드

  • 신사빈 (중부대학교 실용음악학과)
  • Received : 2022.03.15
  • Accepted : 2022.04.12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narrative of the film, Sweet Smell of Success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In Clifford Odets's scenario work, numerous lines for the main plot and subplots repeated a cycle of creation, decomposition, deletion, and modification to enhance the density of the story. As a result, whenever an actor spoke a line or paused, an action or an event that would trigger another line was created, giving depth and persuasiveness to the character's performance. The music of Sweet Smell of Success has multi-layered elements. The non-diegetic music was covered by the orchestral pieces performed by Elmer Bernstein's big band orchestra and the jazz pieces performed by Fred Katz's combo band. The diegetic music was mostly covered by the jazz pieces performed by the Chico Hamilton Quintet. The practical task of the film music was to reinforce or supplement the effect of the narrative driver, and the additional task was to realize the estrangement effect and the aesthetics of stagnation.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intertextuality of subplots and double sound of this film are not simply confined to the limits of the film noir genre.

영화 <성공의 달콤한 향기>의 서사는 중층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클리포드 오데츠의 시나리오 작업에는 중심 플롯과 서브플롯을 위한 수많은 대사가 생성-분해-삭제-수정을 반복하며 이야기의 밀도를 드높였다. 그 결과, 배우가 대사를 하거나 멈출 때마다 대사를 촉발할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하며 배역의 연기에 깊이와 설득력을 부여했다. <성공의 달콤한 향기>의 음악은 중층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비(非)디제시스의 영역은 엘머 번스타인의 빅 밴드 오케스트라에 의한 관현악곡과 프레드 캣츠의 캄보 밴드에 의한 재즈곡이, 디제시스의 영역은 치코 해밀턴의 오중주단에 의한 재즈곡이 주로 담당하였다. 영화 음악의 실질적 과제는 서사적 동인의 효과를 강화하거나 보충하는 것이었고, 추가적 과제는 소격 효과와 정체 미학을 구현하는 것이었다. 이 영화의 서브플롯과 더블 사운드가 펼쳐 보이는 상호텍스트성의 가능성과 의의는 단순히 느와르 장르의 한계에 닫혀 있지 않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태수, "미국적 가치의 정체성 혼란, 필름 누아르(film noir, 1941~1958년)," 영화연구, 제29호, p.272, 2006.
  2. A. 실버, J. 어시니, 이현수, 장서희, 필름 느와르 리더, 본북스, p.184, 2011.
  3.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82, 2012.
  4.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83, 2012.
  5.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p.111, 2006.
  6.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p.15, 2006.
  7. 이수연, "필름 누아르의 유혹-장르로서의 누아르와 필름 누아르로서의 「LA 컨피덴셜」," 영화연구, 제14호, p.168, 1998.
  8.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2, 2012.
  9. 장윤정, "필름 누아르에서 할리우드 검열 변화의 영향에 관하여," 영화연구, 제23호, p.361, 2004.
  10. F. Hirsch, The Dark Side of the Screen: Film Noir, London: De Capo Press, p.53, 2001.
  11. 서정인, 필름 누아르를 통한 미국문화 읽기-1940~50년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8-11, 2002.
  12. A. 실버, J. 어시니, 이현수, 장서희, 필름 느와르 리더, 본북스, p.113, 2011.
  13.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42, 2012.
  14.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27, 2012.
  15.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44, 2012.
  16.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95, 2012.
  17.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345, 2012.
  18.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p.85, 2006.
  19.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p.82, 2006.
  20.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pp.122-124, 2006.
  21. P. Bernstein, Sweet Smell Of Success(liner note), A Universal Music Company, 2017.
  22. H. C. 슈미트, 강석희, 김대웅, 영화음악의 실제, 집문당, p.202, 2001.
  23. H. C. 슈미트, 강석희, 김대웅, 영화음악의 실제, 집문당, p.223, 2001.
  24.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52, 2012.
  25. 박병규, "영화음악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이화음악논집, 제21권, 제4호, p.94, 2017.
  26. S. D. 캐츠, 김학순, 최병근, 영화연출론: 개념에서 스크린까지의 시각화, 시공사, p.113, 2019.
  27. T. Thomas, Film Score: The Art & Craft of Movie Music, Riverwood Press, p.324, 1991.
  28.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p.141, 2006.
  29. L. B. 마이어, 신도웅, 음악의 의미와 정서, 예솔, pp.262-264, 1991.
  30. A. 실버, J. 어시니, 이현수, 장서희, 필름 느와르 리더, 본북스, p.99, 2011.
  31. A. 실버, J. 어시니, 이현수, 장서희, 필름 느와르 리더, 본북스, pp.99-100, 2011.
  32. S. D. 캐츠, 김학순, 최병근, 영화연출론: 개념에서 스크린까지의 시각화, 시공사, p.15, 2019.
  33. T. 샤츠, 한창호, 허문영,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p.75, 1995.
  34.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24, 2012.
  35. A. 매켄드릭, 김윤철, 영화 수업, 북하우스, p.1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