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Strength of Characters on the Happiness of Youth Popular Culture Artists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대중문화 예술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유현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 Received : 2022.04.04
  • Accepted : 2022.05.09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ersonality strength-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pop culture and arts peopl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16 artists from entertainment agencies and art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recruited and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pre- and post-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both groups as personality strengths and happiness tes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eight personality strength programs once a week and 6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igno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sonality strength and happiness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ing that training to strengthen personality strength can lead a happier life by promoting the happiness of youth pop culture artist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reated a starting point for managing the mental health of pop culture subjec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중문화예술인들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성격강점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연예기획사와 예술고등학교 소속 예술인 중 16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두 집단 모두에게 성격강점과 행복검사지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은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8회기의 성격강점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성격강점과 행복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어 성격강점을 강화하는 훈련은 청소년 대중문화 예술인들의 행복을 증진시켜 보다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중문화 주체들의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시작점을 만들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으며,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5A17087376)

References

  1.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362355&ref=A, KBS NEWS, 2020.10.20.
  2. http://stoo.asiae.co.kr/article.php?aid=67640984551, 스포츠투데이, 2020.10.20.
  3. 유현미, "목표설정 훈련이 배우의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 단일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345-355,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345
  4. https://news.joins.com/article/23585323, 중앙일보, 2019.11.01.
  5. 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296, 시사오늘, 2022.2.16.
  6. 제석봉, 유계식, 김창진 공역, 유능한 상담사, 서울: 학지사, 2015.
  7.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008.
  8. M. E. Seligman and M. Csikzentmihalyi,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Positive psychology, 제55권, 제1호, pp.5-14, 2000.
  9. M. E.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NY: Free Press, 2002.
  10. C. Peterson, W. Ruch, N. Beerman, M. E. P. Seligman, "Strengths of Character, Orientations to Happiness,"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2, pp.149-156, pp.149-156, 2007. https://doi.org/10.1080/17439760701228938
  11. C. Peterson and M. E. P. Seligman,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American Psychological Asociation, 2004.
  12. R. M. Niemiec, Mindfulness and chracter strengths a practical guide to flourishing, Boston: Hogrefe Publishing, 2014.
  13. C. A. Peterson,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4. 안신호, 이진환, 신현정, 홍창희,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역, 긍정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0.
  15. N. Park, C. Peterson, and M. E. Seligman, "Character strenghts in fifty-four nations and the fifty US stat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1, No.3, pp.118-129, 2006. https://doi.org/10.1080/17439760600619567
  16. 김세영 역, 마틴 셀리그만의 낙관적인 아이, 경기:물푸레, 2010.
  17. 임영진, 성격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8. 김소리, 박영숙, "종양간호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Vol.28, No.1, pp.33-39, 2020.
  19. 허혜영, 장석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성격강점과 주관적 행복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제20권, 제1호, pp.1115-1131, 2020.
  20. 마재훈, 신진숙, "긍정심리학 기반 성격강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제29권, 제1호, pp.299-326, 2019.
  21. 이문희, 이영순, "성격강점에 기반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탄력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제25권, 제4호, pp.813-831, 2013.
  22. 류재한, 강점찾기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업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3. 전기숙, 성격강점에 초점을 둔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4. 김창대, 김형수, 신을진, 이상희, 최한나, 상담심리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학지사, 2011.
  25. 변창진,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1996.
  26. 박민수,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시그마프레스, 2019.
  27. 홍길동, 오진호, 이기호,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130-139,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6.130
  28. P. Hills and M. Argyle, "Happines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happy introver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4, pp.595-607, 2001.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058-1
  29. P. A. Linley and S. Harrington, "Playing to your strengths," The Psychologist, Vol.19, pp.86-89, 2006.
  30. N. Park and C. Peterson, "Character strengths among youth," Adolescent and Family Health, Vol.4, pp.35-40, 2005.
  31. 김지영, 성격강점이 긍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2. 하승수,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기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3. 한수진,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성격강점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34. 김현미, 성격의 대표강점과 안녕감과의 관계 및 대표강점의 활용에 기반한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5. C. Peterson, "The Future of Optimism,"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44-55,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44
  36. M. E. P. Seligman, T. Steen, N. Park, and C. Peterson, "Positive psychotherap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60, pp.410-421, 2005. https://doi.org/10.1037/0003-066X.60.5.410
  37. T. Rashid, "Positive psychotherapy: A strength- based approach,"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10, No.1, pp.25-40, 2015. https://doi.org/10.1080/17439760.2014.920411
  38. 이명진, 긍정심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안녕감과 우울예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9. 전민경,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행복감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적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0. C. G. Myers and E. Diener,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Vol.6, pp.10-19, 1995.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