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 아버지대상 프로그램의 참여와 아버지 삶의 변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참여 아버지에 대한 FGI 분석

Participation in Community Fatherhood Programs and Changes in Fathers' Lives: The FGI of Fathers Participating in the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 이현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Lee, hyunah (Dept.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투고 : 2021.12.26
  • 심사 : 2022.01.25
  • 발행 : 2022.0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아버지대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FGI를 통해 프로그램이 아버지와 그 가족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은 4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총 5개 프로그램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각 아버지참여 프로그램에 대해 3-5명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총 2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면접내용을 내용분석을 통해 총 16개의 개념을 추출하여 7개의 카테고리와 2개의 소주제로 분류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의 기획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more depth how community fatherhood programs affected the lives of fathers and their families through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after the end of the programs. Five father participation programs from four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Focus groups with 3-5 individuals for each program were conducted, with a total sample size of 20 people. Using content analysis, 16 concept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and two sub-topic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a series of suggestions for the planning of father participation program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B5A02024132).

참고문헌

  1. 강기정.이윤정(2010). 다문화가족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89-101.
  2. 강혜원.박지연(2011).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2), 1-25.
  3. 권기남(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층 가정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능력 향상을 위한 e-Learning 기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아동교육, 21(1), 5-20.
  4. 권혜진(2013). 아버지교육 참여자 경험을 통해 살펴본 아버지교육의 의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461-48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461
  5. 김미옥(2007).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 경험에 관한 연구: 엄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4), 163-189. https://doi.org/10.20970/KASW.2007.59.4.007
  6. 김성은(2017).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 열린부모교육연구, 9(4), 75-100.
  7. 김성재.오상은.은영.손행미.이명선 역(2007). 질적 연구로서의 포커스 그룹. 서울:군자출판사.
  8. 김영철.양진희. (2014). '슈퍼맨':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바람직한 아버지 상(像). 아시아교육연구, 15(4), 81-107. https://doi.org/10.15753/AJE.2014.15.4.004
  9. 김정희(1999). 유아를 둔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7, 251-292.
  10. 김진희.정회연(2005). 아버지 역할 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2), 11-27.
  11. 박필례.김성길(2014). 건강한 가정 형성을 위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제안. 미래교육연구, 4(2), 1-14.
  12. 손순복(2016). 영유아 아버지의 아버지역할훈련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3), 197-220.
  13. 송혜림.박정윤.고선강.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남성대상 가족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14. 송혜림.이정희(2014). 아버지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37-54.
  15. 윤성민(2019). 아버지역할 증진을 위한 웹 기반 심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청소년기 자녀의 아버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10). 21-51.
  16. 양소남(2013). 아버지의 부성경험: 다양한 역할수행의 긴장과 갈등. 디지털정책연구, 11(2), 375-383.
  17. 여성가족부(2018). 2018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안내. 여성가족부.
  18. 이지연.이소현(2020). SNS 기반 아버지 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역할 만족도,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54(4), 51-80.
  19. 이현아(2014). 집단면접조사를 통한 아버지 학교참여 사례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32(5), 179-191.
  20. 이현아(2018).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 현황 및 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61-76.
  21. 이현아.박철.김선미(2017). 지역사회 건강가정지원센터 아버지대상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요구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31(2), 319-349. https://doi.org/10.18398/KJLGAS.2017.31.2.319
  22. 이현아(2020).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버지 참여 프로그램 효과 분석. 현대사회와 다문화, 10(2), 143-175.
  23. 홍길회.황정해(2006).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27(3), 301-317.
  24. 홍길희.황정해(2007). 아버지됨(fathering) 향상을 위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1(2), 5-24.
  25. 황혜신.윤명자(2015). 아버지-자녀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아버지의 부모효능감,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자녀 양성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4, 1-19.
  26. 통계청(2020.7.3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도자료.
  27. 통계청(2019). 2019년 사회조사 결과. 통계청
  28. Allen, W.P. & Doherty, W. J.(1996). The Responsibilities of Fatherhood as Perceived by African American Teenage Fathers. Families in Society, 77(3), 142-155. https://doi.org/10.1606/1044-3894.889
  29. Bronte-Tinkew, J., Carrano, J., Allen, T., Bowie, L., Mbawa, K. & Matthews, G.(2007). Elements of Promising Practice for Fatherhood Programs: Evidence-Based Research Findings on Programs for Fathers. National Responsible Fatherhood Clearinghouse,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0. Bronte-Tinkew, J., Burkhauser, M. & Metz, A.(2012). Elements of promising practices in fatherhood programs: Evidence-based research findings on interventions for fathers. Fathering, 10(1), 6-30. https://doi.org/10.3149/fth.1001.6
  31. Crompton, R.(2001). Gender restructuring, employment, and caring. Social Politics, 8(3), 266-291. https://doi.org/10.1093/sp/8.3.266
  32. Fagan, J. & Kaufman, R.(2015). Reflections on theory and outcome measures for fatherhood program. Families in Society, 96(2), 133-140. https://doi.org/10.1606/1044-3894.2015.96.19
  33. Holmes, E., Galovan, A., Yoshida, K. & Hawkins, A. (2010).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esident fathering programs: Are family life educators interested in fathers? Family Relations, 59, 240-252. https://doi.org/10.1111/j.1741-3729.2010.00599.x
  34. Barnow, Burt S., Stapleton, David C. & Office of Child Support Enforcement (DHHS), Washington, DC. & Lewin Group, Inc., Washington, DC. & Johns Hopkins Univ., Baltimore, MD.(1997). An Evaluability Assessment of Responsible Fatherhood Programs. Final Report. [Washington, D.C.] : Distributed by ERIC Clearinghouse.
  35. Martinson, K. & Nightingale, D.(2008). Ten key findings from responsible fatherhood initiatives. Washington, DC: The Urban Institute.
  36. McBride, B. A. & McBride, R. J.(1993). Parent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for fathers: Research guiding practice. Childhood Education, 70, 4-9. https://doi.org/10.1080/00094056.1993.10520973
  37. National Center on Fathers and Famlies(2002). The Fathering Indicators Framework: A Tool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Philadelphia, PA.
  38. Stoltz, H. E., Barber, B. K. & Olsen, J. A.(2005). Toward disentangling fathering and mothering: An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1076- 109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195.x
  3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2008). Office of Family Assistance Healthy Marriage and promoting responsible fatherhood Initiatives.
  40.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2010). Office of Family Assistance Evaluation Resource Guide for Responsible Fatherhood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