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재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황과 쟁점, 언론과정보," 부산대학교언론정보연구소, 제2권, 제1호, pp.27-49, 1996.
- 오소정, 한.중 리얼리티 예능 콘텐츠의 일상 서사 연구 <효리네 민박>과 <亲爱的客栈>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이종서, 텔레비전프로그램<삼시세끼>(tvN)의사회환경적 변화 수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김환희, 김훈순,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50권, pp.79-107, 2017.
- https://www.yna.co.kr/view/AKR20150319171300005
- https://www.joongang.co.kr/article/17449447#home
- 김수정,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방송문화연구, 제23권, 제2호, pp.42-54, 2011.
- 윤태진,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한국리얼리티 텔레비전쇼의 작동방식에 대한 고찰," 방송문화연구, 제23권, 제2호, pp.7-36, 2011. https://doi.org/10.22854/SBC.2011.23.2.7
- 김예란, 박주연,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제작자 심층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0집, 제3호, pp.7-48, 2006.
- 권주연,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 : <무한도전>, <1박2일>, <패밀리가 떴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김윤희, 리얼 버라이어티 쇼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연구 : <무한도전>, <1박 2일>, <남자의 자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김선진,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시청자 연구 : 재미 요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오세정, 장서지, "리얼리티 표방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 연구," 주관성연구, 제27호, pp.181-194, 2013.
- 김영성, TV 리얼 버라이어티 쇼 <무한도전>의 스토리텔링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김현영, 방송언어의 비표준어 사용 양상 연구 : 케이블채널 tvN 드라마, 예능에서의 음성표현과 자막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윤진서, "TV 예능 프로그램의 자막 사용에 대한 연구: '일박이일', '무한도전', '삼시세끼'를 대상으로," 텍스트언어학, 제39권, pp.233-269, 2015. https://doi.org/10.22832/TXTLNG.2015.39..007
- 김진섭, 리얼 버라이어티 쇼에 내재된 동시대인의 일상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신상기, 텔레비전 예능의 대중문화적 함의: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곽경태, 김은경, "관찰 예능 속에 담긴 일상, 집단적 의사소통의 장을 형성하다," 예술 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집, 제7권, 제7호, pp.813-820, 2017.
- 오장근, "TV 예능 프로그램 속 한국인의 가족이데올로기: <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영상문화, 제25권, pp.97-116, 2014.
- 오소정, "리얼리티 예능의 일상 스펙터클과 의미작용," 국제문화기술진흥원, 제7권, 제2호, pp.171-176, 2021.
- 김미라, "TV가 재현하는 이혼한 한부모 여성의 모성실천과 함의: <용감한 솔로육아-내가 키운다>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33집, 제4호, pp.164-192, 2021.
- 이유정, 김유승, "교육적오락물로서TV 예능의활용 가능성," 한국광고홍보학회, 제23권, 제1호, pp.5-50, 2021.
- 류재형, "사회적 배우로서의 리얼리티 관찰 예능 프로그램의 일반인 참여자:<윤식당2>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9권, 제10호, pp.274-289,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10.274
- 한기홍, 김종무. "한국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의 시청 태도 분석: tvN <삼시세끼 어촌편 1>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제71권, pp.21-32, 2020.
- 임의택, 최은경, "리얼리티 프로그램 자막에 관한 연구: <삼시세끼>와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글로컬창의문화연구, 제5권, 제1호, pp.108-117, 2016.
- 김현혜, 백선기, "일일삼식, 음식 준비와 과정의 일상성, 요리의문화성: <삼시세끼> 프로그램에대한 Levi-Strauss 개념 적용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제48권, pp.7-50, 2016.
- 함현, "텔레비전 부엌 문화와 음식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TVn <삼시세끼 어촌편>를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제24호, pp.83-101, 2016. https://doi.org/10.34269/MITAK.2016.1.24.005
- 김소라, 이병민,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장소감 연구: <삼시세끼-정선편>과 <삼시세끼-어촌편>을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제27권, 제2호, 2015.
- 김승범, 김연성, "전략적 서비스 비전으로 분석한 TV 프로그램 디자인 성공요인: 나영석 PD의 '삼시세끼'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18, 2015. https://doi.org/10.15706/JKSMS.2015.16.4.001
- 신혜진, 가정혜, "관광객의 관광지 정체성 인식이 태도, 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남이섬을 대상으로," 관광경영연구, 제91권, pp.697-719, 2019.
- 하경희, "포스트코로나 시대 섬관광의 치유가치 증진 방안 : TV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삼시세끼>를 중심으로," 해양관광학연구, 제13권, 제2호, pp.9-28, 2020. https://doi.org/10.22929/JMTR.2020.13.2.001
- 김미선, 이가영, "미디어 재현에 나타난 남성성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정치학:<삼시세끼: 어촌편>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1권, 제3호, pp.97-137, 2016.
-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 형성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6권, 제1호, pp.257-280, 2004.
- S. 채트먼 지음,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담론: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푸른사상, 2003.
- 오치아이 에미코(落合惠美子) 지음, 전미경 옮김, 근대가족, 길모퉁이를 돌아서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 류도향, "가족적인 것의 개념: 연결의 정치학을 위한 시론," 가족과 문화, 제33집, 제4호, pp.40-57, 2021.
- 전미경, "식민지 시대 가사교과서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25, 2004.
- 전미경, "1920 ~ 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5-112, 2005.
- 조준상, 은혜정,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연구: 의사 사회 상호작용 요인, 플로우 그리고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3호, pp.556-590, 2013.